총 14개
-
요한복음 7장 37-38절 생수의 강을 마심2025.11.171. 생수의 강 요한복음 7장 37-38절에서 예수님은 목마른 사람들에게 자신에게 와서 마시라고 외치신다. 예수 그리스도는 생수의 강이시며, 부활 후 생명을 주시는 영이 되셨다. 주 예수님을 믿고 영접하는 사람은 그의 가장 깊은 곳인 영에서 생수의 강들이 흘러나올 것이다. 이는 성경의 중심사상으로, 주 예수님을 마시는 것을 의미한다. 2. 인생의 극한 갈증 인간은 금전, 학문, 성공, 오락 등으로 극한 갈증을 경험한다. 사람은 그릇으로서 약함, 공허함, 침체됨, 어두움, 고통, 불행, 불만족을 느낀다. 장막절은 성공과 성취의 시기이...2025.11.17
-
마태복음 10장: 제자의 길과 선교적 소명2025.11.151. 제자 소명과 사도 임명 예수님은 열두 사도를 특별히 구별하여 임명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 나라 복음 선포를 위한 선교적 임무와 관련이 있으며,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대신하는 새로운 이스라엘인 교회를 대표하는 지도자적 역할을 기대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모든 병과 약한 것을 고치는 권능을 부여하셨으며, 이는 하나님 나라 선포 사역의 구체적 내용입니다. 2. 선교 전략과 박해의 예견 예수님은 선교지역을 이스라엘로 제한하여 당시 이스라엘 선교의 우선권과 긴급성을 강조하셨습니다. 제자들은 '양을 이리 가운데로 보냄'과 같...2025.11.15
-
부자 삭개오의 역동적인 구원2025.11.171. 예수님의 정체성과 사역 예수님은 두 본성(신성과 인성)을 가진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구속자로서 잃어버린 사람들을 찾으시고, 구원자로서 가족 전체를 구원하시며, 전지하신 분으로 모두의 이름을 알고 계신다. 예수님은 역동적으로 구원하시며 사람들을 하늘의 자석처럼 끌어당기신다. 2. 삭개오의 변화와 구원 여리고의 세리장 삭개오는 부자이지만 키가 작고 죄인으로 잃어버린 자였다. 예수님을 보기 위해 체면을 버리고 나무에 올라갔으며, 기뻐하며 예수님을 영접하고, 자신의 소유 절반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고 속여 빼앗은 것을 네 배로 갚겠다...2025.11.17
-
참된 믿음이란 무엇인가2025.01.201. 구원받는 사람 모든 사람이 구원받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와 연합된 자만이 구원을 받을 수 있다. 만인 구원설은 잘못된 주장이며, 성경은 그리스도께 속한 자만이 구원받는다고 가르친다. 2. 참된 믿음의 정의 참된 믿음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확실한 지식과 굳건한 신뢰를 포함한다. 믿음은 성경의 진리를 배우고 그것을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3. 믿음의 근원 믿음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우리가 믿었기 때문에 구원받은 것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의 공로로 말미암아 구원받은 것이다. 믿음은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2025.01.20
-
거지 나사로의 구원과 낙원 - 누가복음 16장2025.11.171. 부자와 거지 나사로의 대조 누가복음 16장에서 묘사되는 부자는 자주색 옷과 세마포 옷을 입고 날마다 즐기며 호화롭게 지냈으나, 거지 나사로는 종기투성이의 몸으로 부자의 문간에 버려져 배고픔과 고통 속에서 살았습니다. 이 두 인물의 삶은 영적 상태와 물질적 상태의 대조를 보여주며, 죽음 이후 그들의 운명이 완전히 역전됨을 나타냅니다. 2. 죽음 이후의 영혼의 상태 거지 나사로가 죽자 천사들이 그를 아브라함의 품으로 데려갔고, 부자는 음부에서 고통을 받게 됩니다. 이는 영과 혼이 무덤의 육신과 분리되어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아브라...2025.11.17
-
갈라디아서 4장 12-20절 새벽설교2025.11.141. 바울의 목자적 사랑과 영적 양육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을 자녀처럼 여기며 영적으로 양육하고 보살핍니다. 육체적 약함에도 불구하고 성도들은 바울을 하나님의 천사와 같이 예수님처럼 영접했습니다. 참된 사역자는 믿는 자들 안에 그리스도의 형상이 이루어지기까지 해산하는 수고를 감수하며, 성도들의 영적 성장을 위해 진심으로 돌보고 기도합니다. 2. 거짓 선지자와 참된 믿음의 구분 갈라디아 교회를 음해하려던 거짓 선지자들은 좋은 뜻이 아닌 이간질을 목적으로 성도들에게 열심을 냈습니다. 바울은 성도들이 말씀 안에 바로 서서 거짓에 혹하지 ...2025.11.14
-
사사기 19장 11-15절 새벽설교: 위선과 공동체의 도덕성2025.11.111. 위선과 내적 정결성 레위인은 여부스 이방인의 성읍을 피하고 기브아로 가려 한 것은 사람의 눈을 의식한 위선적 행동입니다. 그는 첩을 거느린 비율법적 인물이면서도 외모와 형식을 중시하여 속보다 겉을 꾸미려 했습니다. 이는 예수님 시대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처럼 겉으로는 경건해 보이지만 내면은 더러운 상태를 나타냅니다. 하나님이 보시는 것은 외모가 아니라 속사람이므로 내적 강건함이 중요합니다. 2. 나그네 대접과 공동체의 도덕성 기브아의 베냐민 사람들이 레위인 일행을 영접하지 않은 것은 당시 나그네 대접 풍습에 어긋나는 행동입니다. ...2025.11.11
-
바울 사도의 서신과 초대교회의 신앙2025.11.141. 이신칭의(믿음으로 말미암은 의) 바울의 핵심 교리로, 칭의 구원이 율법의 행위가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만 경험된다는 원리.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가 믿음이라는 공통근거 위에서 동일하게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이방 기독교인들을 하나님의 합법적인 백성으로 끌어들이는 길을 열어놓았다. 십자가 사건을 통해 죄의 지배 아래 있던 옛 사람이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새 생명을 가진 존재로 살아나게 되는 구원사건으로 이해된다. 2. 초대교회의 사회적 구성과 노예제 초대교회의 많은 구성원들이 실제로 노예들이었고, 그 외 구성원들은 노예...2025.11.14
-
존 넬슨 다비와 플리머스 형제회2025.11.131. 존 넬슨 다비의 생애와 신학 존 넬슨 다비(1800-1882)는 아일랜드계 영국의 성경학자이자 현대 세대주의의 아버지로 인정받는 인물이다. 트리니티 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한 후 변호사와 성공회 신부로 활동했으나, 1827년 교회의 국가 독립성을 깨닫고 신부직을 사임했다. 그는 벨렛, 허친슨, 파넬, 그로브스, 크로닌, 스토크스 등 6명과 함께 성만찬을 시작하여 '더블린의 7형제'로 불리며 형제회 운동의 시발점을 마련했다. 다비는 히브리어, 헬라어, 라틴어에 능통했으며 성경을 여러 언어로 번역했다. 2. 플리머스 형제회의 형성과 ...2025.11.13
-
로마교회의 상황과 로마서의 저술목적2025.11.131. 로마서 저술 목적의 학파적 논쟁 로마서 저술 목적에 대해 여러 학파의 견해가 존재한다. 첫째, 바울이 로마교회를 사도적 기초 위에 세우려 했다는 주장(클라인)이 있으나, 바울이 로마 성도들의 지식과 권면 능력을 칭찬한 점에서 반박된다. 둘째, 로마서의 숨은 수신자가 예루살렘 교회라는 주장(보른캄)이 있으나, 로마서 전체의 대화체 문체와 구체적 이슈들을 설명하지 못한다. 셋째, 최근 학자들은 로마서가 로마교회의 특정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저술되었다고 주장하며,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원사적 관계에 초점을 둔다. 2. 글라우디오 황제...202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