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
-
열하일기의 등장인물과 사건2025.05.051. 열하일기의 등장인물 열하일기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에 대해 설명합니다. 박명원은 정사(총책임자)로, 연암 박지원의 팔촌형이었습니다. 정진사는 정사를 호위하는 무관으로 성격이 조금 부족했습니다. 홍명복은 수석 통역관, 변계함은 어의로 눈치가 없고 겁이 많은 성격이었습니다. 조명회와 주명신은 주부(문서 관리 벼슬)였고, 조달동은 통역관이었습니다. 박내원은 정사의 팔촌동생으로 성미가 급한 성격이었습니다. 조정진과 정원시는 서장관과 부사로, 박지원보다 나이가 많았습니다. 창대와 장복은 마두(역마 책임자)와 하인이었고, 득룡은 중국통으...2025.05.05
-
고전 읽기와 쓰기: 열하일기의 도강록과 일신수필 속 장면을 여행 경험과 연결하여 소개2025.04.271. 열하일기 열하일기는 조선 정조 때 북학파였던 박지원이 청나라 건륭제의 만수절을 축하하기 위한 사절로 북경을 갔던 시기에 본인이 보고 들은 내용을 남긴 견문기이다. 도강록, 성경잡지, 일신수필, 관내정사, 막북행정록 등의 내용이 26권으로 정리되어 있다. 2. 도강록 도강록은 압록강에서 랴오양까지의 15일 여행에 대한 기록을 남긴 것이며, 일신 수필은 신광녕으로부터 산해관까지를 중심으로 하여 기록을 남긴 내용이다. 3. 도박 도강록 7월 2일 자에는 비가 계속 와서 이동을 하지 못하던 박지원이 도박판에 뛰어들게 되는데, 연거푸 ...2025.04.27
-
조선 후기 실학자 박지원2025.01.221. 박지원의 실학사상 조선 후기 실학자 박지원은 상업을 중시하는 중상주의 실학사상을 주장하였고, 청나라의 문물도입을 도입한 사상부류인 북학파 사상가이기도 합니다. 이와 함께 박지원은 농업부문에서 적극적인 토지개혁론도 제시하였습니다. 때문에 박지원은 모든 부분에 관여를 한 실학사상의 집대성자라고도 할 수가 있습니다. 2. 박지원의 허생전 박지원이 지은 허생전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풍자 소설입니다. 허생전에서 박지원은 허생과 실존 인물인 이완과의 대화를 통해 허례허식에 물들어 있고 보수적인 양반을 신랄하게 비판하였습니다. 3. 박지원...2025.01.22
-
조선 시대의 수필2025.05.051. 조선 시대의 한문 수필 조선 시대에도 고려시대에 이어 한문 수필의 창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조선 시대의 한문 수필은 성리학의 영향을 받아서 교훈적이거나 성찰적인 성격의 내용을 나타낸 수필들이 많았습니다.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전쟁의 양상을 기록한 수필을 비롯하여 중국이나 일본을 돌아보고 와서 적은 기행문 형식의 수필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2. 조선 시대의 기행 수필 국문 수필의 중요한 형태로 기행 수필이 있습니다. 조선 내의 지방을 유람하고 쓴 기행 수필 외에도 청나라나 일본에 사절단으로 다녀온 뒤 쓴 것들이 있습니다....2025.05.05
-
조선 후기의 실학자들이 지은 저서2025.01.181. 정약용 정조시기에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 (1762-1836)은 지방 관리들의 청렴하고 공정한 행정을 강조한 저서인 목민심서를 비롯하여 경세유표, 흠흠신서, 아방강역고 등을 저술하였습니다. 2. 박지원 조선후기의 실학자인 박지원은 열하일기, 양반전, 호질, 허생전 등을 저술하였습니다. 열하일기는 박지원이 청나라를 여행하며 쓴 기행문으로, 청나라의 발전된 문물을 소개하고 조선의 개혁 필요성을 강조한 저서입니다. 3. 이익 중농주의 실학사상가인 이익은 성호사설과 곽우록 등을 저술하였습니다. 성호사설은 철학, 천문학, 지리학, 역사...2025.01.18
-
근대 문학의 기점과 근거2025.01.171. 영·정조 시대 조선 사회가 자체 내의 모순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그 극복의 노력을 보인 것은 임진왜란 이후부터였다. 영·정조 시대에는 나름의 이론적 배경과 실천 운동을 보여주었다. 임진왜란 이후 양반들의 신뢰가 떨어지면서 서민의식이 대두되고 양반들을 풍자하는 문학이 나타났다. 2. 이념과 현실의 대결 광해군은 현실주의적 외교정책을 비판하고 숭명의 이념 위주의 외교정책을 펼쳤다. 박지원의 <허생전>과 박제가의 <북학의>를 통해 양반을 희화화하고 조롱하며 발전된 나라를 배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문체반정을 통해 패관잡서를...2025.01.17
-
조선 전기와 후기 문학의 종류와 특징2025.01.091. 조선 전기 문학 조선 전기 문학은 주로 성리학적 윤리관을 강조하였으며, 생활의 교양이나 심성 수양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훈민정음 창제와 아악의 정비로 가사와 시조가 발달하여 민족 문학으로서의 장르를 확고히 하였습니다. 주요 문학 장르로는 악장, 경기체가, 가사, 시조 등이 있습니다. 2. 조선 후기 문학 조선 후기에는 농민들의 경제력 향상과 서당 교육의 보급으로 서민들의 의식이 확대되고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면서, 기존의 양반 중심 문예 활동에서 벗어나 일반 서민들이 창작하고 향유하는 문학이 대두되었습니다. 이 시...2025.01.09
-
조선 전기와 후기 문학의 종류와 특징2025.01.081. 조선 전기 문학 조선 전기에는 새로운 왕조 건립을 지지하는 이들과 고려에 충성하는 이들 사이에 문학에 대한 태도가 갈렸다. 정도전, 권근 등은 새 왕조 위업을 높이는 노래를 지었지만, 길재, 원천석 등은 은거하며 절개와 의리를 표방하는 문학을 창작했다.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로 국문 문학이 시작되었고,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의 서사시가 등장했다. 경기체가, 가사, 시조 등의 장르가 발전했으며, 한문학도 집현전 설립으로 크게 발전했다. 2. 조선 후기 문학 조선 후기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영향으로 문학이 현실에 주...2025.01.08
-
조선시대의 가사2025.04.271. 조선 시대 가사 조선 시대의 가사는 운문과 산문이 합쳐진 문학 장르로, 당시 많은 가사 작품들이 나왔습니다. 특히 전라도 담양은 가사문학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사문학관도 있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정극인의 '상춘곡'이 가사의 효시로 여겨지며, 이후 송순의 '면앙정가' 등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조선 시대 가사 작품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정치가이자 문학가인 송강 정철을 들 수 있습니다. 2. 조선 후기 장편 기행 가사 조선 후기에는 길이가 긴 장편 기행 가사가 많이 등장했습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김인겸의 '일동장유가'와 홍...2025.04.27
-
연암 박지원의 <양반전>에 나타난 조선 후기 사회 비판2025.05.031.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 연암 박지원은 1737년 조선 한성부에서 태어난 실학자이자 문신으로, 외교관과 소설가로도 유명했다. 그는 당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청나라의 강점을 터득하여 실용적인 측면을 조선에 접목하려 했던 학자였다. 그러나 노론의 분파로서 북학파는 주류파에 편입되지 않았고, 사대부들은 여전히 명나라를 따라야 할 처지였기 때문에 조선은 임시로 할 수밖에 없었다. 2. <양반전>의 내용 및 의의 <양반전>은 연암이 부패한 귀족들의 사회를 풍자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조선 후기 사회에서 봉건사회가 해체되고 양반들의 지...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