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401개
-
이중관 열교환기의 향류와 병류 특성 분석2025.01.171. 이중관 열교환기의 구조와 원리 이중관 열교환기는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관과 외관 사이의 벽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냉매와 열매의 흐름 방향에 따라 향류와 병류로 구분할 수 있다. 향류는 내관과 외관의 유체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로, 모든 지점에서 온도차이가 유사하여 열교환 효율이 높다. 병류는 내관과 외관의 유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로, 입구 쪽에서 온도차이가 크고 출구 쪽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열교환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2. 향류와 병류의 열전달 특성 비교 실험 결과, 향류의 경우 냉각수의...2025.01.17
-
PET와 PBT의 블렌딩 비율에 따른 열적 특성 분석2025.01.28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ET는 주로 섬유, 음료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로,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열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PET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DSC와 TGA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ET의 열분해 온도는 약 404.37℃, 융해온도는 257.76℃로 나타났다. 2.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BT는 전자기기, 자동차 부품 등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로, PET와 함께 뛰어난 기계적 특성...2025.01.28
-
PET PBT 블렌드의 유변학적, 결정성, 열적 특성 분석2025.01.281. PET/PBT 블렌드의 유변학적 특성 Rheometer 측정 결과, PET 비율이 높을수록 점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BT 비율이 증가할수록 점성이 감소하였다. PBT 시료는 첫 번째 측정에서 온도 설정이 높아 녹아내리면서 G'' 값의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 이는 적절한 온도 조건 조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2. PET/PBT 블렌드의 결정성 XRD 결과, PET와 PBT는 각각 고유의 결정 구조를 가져 θ 값에서 특징적인 피크를 보였다. PET100의 경우 peak가 broad하게 나타나 결정화가 덜 이루어진 것으로...2025.01.28
-
재료의 전기화학적 성질, 미세구조 및 열적 특성 분석2025.05.161. 광학 현미경을 통한 미세조직 관찰 및 분석 광학 현미경은 볼록렌즈를 통해 시료의 상을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polishing과 etching 과정을 거쳐 시료의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Al-Ni 합금의 미세구조를 200배율로 관찰하였지만, 배율이 낮아 lamella 구조를 관찰하기 어려웠고 초점 및 대비가 좋지 않았습니다. 2. 주사 전자 현미경을 통한 미세조직 관찰 및 분석 주사 전자 현미경(SEM)은 진공 중에서 시료 표면을 전자선으로 주사하여 미세조직과 형상을 관찰할 수 있는 장치...2025.05.16
-
PET PBT 블렌딩 필름의 열적 특성 분석2025.01.281. PET/PBT 블렌딩 필름의 열적 특성 이 연구에서는 PET와 PBT를 다양한 비율로 블렌딩하여 핫프레스로 필름을 제조하고, DSC와 TGA 분석을 통해 열적 특성을 평가하였습니다. DSC 분석 결과, PET 비율이 높을수록 용융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0:60 비율에서는 두 개의 피크가 나타나 상용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TGA 분석에서는 PET 비율이 증가할수록 분해온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필름 제조 과정에서 일부 필름이 울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했지만, 물성 측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2025.01.28
-
PET PBT 블렌딩 비율에 따른 열적 특성 및 필름 제조 특성 분석2025.01.281. PET/PBT 블렌딩 PET와 PBT는 각각 뛰어난 기계적 성질과 열적 안정성을 지닌 고분자 물질로, 두 물질을 블렌딩하여 새로운 고분자 복합체를 제작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PET와 PBT의 혼합 비율이 필름 형태의 물리적 및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2. 필름 제조 및 품질 PET와 PBT를 각각 60:40 및 40:60 비율로 블렌딩한 후, 핫프레스를 통해 필름을 제조하였습니다. 필름 제조 과정에서 필름이 울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이미드 필름의 크기가 충...2025.01.28
-
[실험설계] PE PP 비율에 따른 필름의 물리적 및 열적 특성 연구2025.01.241. PE-PP 블렌딩 조건에 따른 플라스틱 백 특성 연구 이번 실험의 목적은 PE와 PP 필름을 100% 순수 형태로 제작한 뒤, 이를 각각 다른 비율로 블렌딩하여 필름의 물리적, 열적 특성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PE와 PP의 비율에 따른 필름의 투명도, 열 안정성, 기계적 특성 등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블렌딩 조건을 최적화하여 다양한 산업 응용에 적합한 고성능 필름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1. PE-PP 블렌딩 조건에 따른 플라스틱 백 특성 연구 PE-PP...2025.01.24
-
PE-PP 혼합 비율에 따른 열적 특성과 필름 제조 연구2025.01.281. PE-PP 혼합 비율 PE(Polyethylene)와 PP(Polypropylene)는 각각의 장점이 뚜렷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됩니다. 그러나 PE와 PP는 상용성이 낮아 혼합 시 균질한 특성을 얻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혼합 비율과 열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비닐봉투 소재의 적합한 혼합 조건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입니다. 2. DSC 실험 DSC 실험은 PE:PP 혼합 비율에 따른 융점(Tm)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실험 결과, PE와 PP의 혼합물에서 두 개의 융점이 관찰...2025.01.28
-
[실험설계] DSC, TGA를 이용한 PE 및 PP의 열적 특성 분석2025.01.241. Impact behavior of Polypropylene & Polyethylene blends 이 실험에서는 DSC와 TGA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의 열적 특성(Tg, Tc, Tm)을 측정하였습니다. PE의 경우 Td는 402.33°C, Tm은 125°C, Tc는 100°C였고, PP의 경우 Td는 349.22°C, Tm은 164°C, Tc는 108°C였습니다. 시료의 양이 너무 적거나 많으면 데이터 측정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적절한 양의 시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TGA 측정 시 영점을 잡는 것이 ...2025.01.24
-
[실험설계] PE와 PP 혼합물의 열적 특성 분석을 위한 DSC 및 TGA 측정 연구2025.01.241. PE-PP Blending condition for plastic bag properties 본 실험의 목적은 다양한 PE 혼합비(0:100, 50:50, 10:90)를 적용하여 Blending한 후, 해당 시료의 TGA 및 DSC 분석을 통해 열적 특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PE와 PP의 혼합비율에 따라 분해온도(Td)와 융점(Tm)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PE와 PP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한 조건 설정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추가로, Hot press를 이용한 필름 제작을 통해 PE와 PP의 물리적 ...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