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5개
-
연결어미 '-니까'에 대한 정리2025.04.27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니까'는 문법적 기능은 연결어미이나 의미는 여러 가지가 있다. 1) 뒤에 오는 말에 대하여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냄, 2)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냄, 3)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됨을 나타냄, 4)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냄. 2.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체계 1) 문법항목의 선정과 단계화에 활용되는 기준: 사용빈도, 난이도, 무표적/유표적, 학습자 선호도 2) 난이도 결정 준거: 형태적 복잡성, 기능적 복잡성,...2025.04.27
-
한국어 연결어미 '-아서/-어서/-여서'의 의미와 용법2025.01.051. 한국어 연결어미 '-아서/-어서/-여서' '-아서/-어서/-여서'는 한국어 연결어미로, 두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연결어미는 앞의 말과 뒤의 말이 시간적으로 순차적으로 일어남을 나타내거나, 이유와 근거 또는 수단과 방법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세 가지 연결어미는 앞에 오는 동사나 형용사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하다'를 제외하고 모음 끝이 'ㅏ,ㅗ'인 경우는 '-아서', 모음 끝이 'ㅏ,ㅗ'가 아니거나 '이다/아니다'에 경우는 '-어서', '-하다'에 경우 '-여서'를 사용합니다. 초급 학습자들에...2025.01.05
-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배열순서2025.04.27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연결어미 '-니까'는 크게 네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낸다. 둘째,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낸다. 셋째,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낸다. 2. 연결어미 '-니까'의 배열순서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배열순서는 사용빈도, 난이도, 일반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가장 먼저 제시할 용법은 이유와 근...2025.04.27
-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단계적 교육 방안2025.05.10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 교육에서는 선정된 문법항목에 대해 등급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교육에 적용합니다.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유, 발견, 행동 후 발견, 관용적 의미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의미와 용법에 따라 초급, 중급,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습니다. 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용법 연결어미 '-니까'는 한국어에서 매우 중요한 문법 요소 중 하나입니다. '-니까'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문장을 자연스럽게 ...2025.05.10
-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단계적 교육 적용2025.04.27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연결어미 '-니까'는 크게 네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 및 근거를 나타냅니다. 둘째,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냅니다. 셋째,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됨을 나타냅니다. 넷째,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냅니다. 2. 연결어미 '-니까'의 배열 순서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를 고려하여 배열 순서를 결정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원인 및 근거 나타내기 ②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2025.04.27
-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배열 순서2025.05.01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연결어미 '-니까'는 크게 4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냅니다. 둘째,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됨을 나타냅니다. 셋째,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냅니다. 넷째, 뒤에 오는 말에 대하여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냅니다. 2. 연결어미 '-니까'의 배열 순서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를 배열할 때는 용법상의 난이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가장 쉬운 의미부터 시작하여 점차 어려운 의미로 배열하는 것이 좋습니다....2025.05.01
-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단계적 교육2025.05.10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교육 순서 한국어 교육에서는 선정된 문법항목에 대해 등급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교육에 적용합니다.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의미입니다. 둘째,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에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내는 의미입니다. 셋째,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곧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의미입니다. 넷째,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내는 관용적 표현의 의미입니다. 이러한 '-니까'의 의미를 고려하여 초급에서는 이유나 ...2025.05.10
-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단계적 교육2025.01.18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연결어미 '-니까'는 크게 네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용법, 2)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내는 용법, 3)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곧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용법, 4)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내는 용법입니다. 2. 한국어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배열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법 항목을 단계적으로 교육하는데, 연결어미 '-니까'의 경우 이유/근거의 의미와 발견(상황설명)의 의미로 나누어 교육하는 것이 ...2025.01.18
-
한국어 교육 중급에서 다루고 있는 연결 어미 '-어야'의 문법 수업 지도안2025.05.051. 한국어 교육 중급 연결 어미 '-어야' 이 문서는 한국어 교육 중급 과정에서 다루는 연결 어미 '-어야'에 대한 문법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도안은 도입, 제시, 연습, 활용, 마무리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 학습자들이 '-어야'의 문법 형태와 의미를 이해하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 어미의 종류와 단계별 학습 내용, 문법 정보 등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1. 한국어 교육 중급 연결 어미 '-어야' 한국어 교육에서 중급 학습자들이 연결 어미 '-어야'를 ...2025.05.05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네 가지 정리, 배열 순서 결정,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와 해당 예문 5가지 제시하기2025.01.20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용법 연결어미 '-니까'는 크게 네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이유와 근거를 나타내는 용법으로 [동사/형용사 + '-니까'] 형태와 [명사 + 이다 '-니까'] 형태가 있습니다. 둘째, 발견의 의미로서의 용법으로 동사와만 결합하는 제약이 있습니다. 셋째, 경험을 통해 발견을 나타내는 의미의 용법으로 '-아/어 보다'와 같이 결합하여 경험, 시도를 나타냅니다. 넷째, 이유의 용법과 발견의 용법을 결합한 형태로 '-아/어 보다', '-고 보다', '-다가 보다'와 결합하여 사용됩니다. 이러...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