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4개
-
포유류와 어류간의 면역체계의 차이점2025.05.151. 면역계의 구분 면역계는 선천적 면역과 후천적 면역으로 구분된다. 선천적 면역은 감염과 상관없이 원래 숙주에 있는 방어체계로, 감염에 대한 최초의 방어 역할을 한다. 후천적 면역은 감염 이후에 더 다양하고 강한 방어체계를 구축한다. 어류의 경우 후천적 면역보다 선천적 면역체계가 더 견고하다. 2. 어류의 면역체계 어류의 면역기관은 포유류와 달리 흉선, 신장, 비장 등이 있다. 어류의 주요 항체는 IgM이며, 단량체, 2량체, 4량체의 분자량이 작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어류는 NK 세포가 없으며, 호중구가 NK 세포의 역할을 한다...2025.05.15
-
[일반생물학실험]어류의 해부2025.01.121. 어류의 해부 어류의 화석이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지층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말기(약 4억년 전)이며, 이 무렵에 이미 어류는 무악어류·판피어류·연골어류·경골어류로 나누어졌다. 어류의 몸은 머리·몸통·꼬리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지느러미가 있어 물 속에서의 평형 유지와 운동을 보조한다. 어류의 피부는 바깥층의 표피와 안층의 진피로 나누어지며, 비늘이 있다. 경골어류는 연골성 경골과 막골이 있으나, 연골어류와 원구류는 연골이다. 어류의 골격은 뇌 등이 들어 있는 두골과 척수를 보호하는 척추골이 주체이다. 2. 연체동물 연체동물...2025.01.12
-
어류(붕어)의 해부 및 과제2025.01.121. 어류의 분류 어류는 척삭동물문, 척추동물아문에 속하며 Nelson의 체계에 따르면 8개의 강으로 나뉜다. 이번 실험에 사용한 붕어는 조기강에 속하는 담수어류이다. 2. 붕어의 외부 구조 붕어의 외부에는 눈, 아가미, 지느러미, 비늘 등이 관찰되었다. 붕어의 비늘은 둥근비늘 형태이며, 피부 보호 기능을 한다. 3. 붕어의 내부 구조 붕어의 내부에는 호흡기관인 아가미, 소화기관인 장, 심장, 부레 등이 관찰되었다. 아가미는 호흡에 관여하고, 부레는 부력 조절에 관여한다. 4. 어류의 기관 기능 어류의 각 기관들은 호흡, 순환, 소...2025.01.12
-
포유류와 어류간의 면역체계의 차이점2025.01.021. 포유류와 어류의 면역체계 차이 포유류와 어류는 각각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며 서로 다른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다. 포유류의 면역체계는 세포 매개 면역과 항체 매개 면역으로 나뉘며 상대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반면 어류의 면역체계는 주로 비특이적 방어 기전을 사용하며 항체 생성이 적은 편이다. 이러한 차이점은 동물들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각자의 생태학적 역할에 맞게 발전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포유류와 어류의 면역체계는 서로 다른 구조와 작용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생물학적, 진화적 관점에서 중요하다. 1. 포유류와 어류의...2025.01.02
-
어류와 인간의 호흡기전 및 차이점2025.05.151. 어류의 호흡기관 어류의 호흡기관은 아가미덮개(Operculum)에 의해 보호되며, 새실(Gill chamber), 새판(Gill raker), 새열(Gill slit), 새조(Gill lamella), 아가미(Gills) 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수중에서 효율적인 기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어류 중 일부는 부레(Swim bladder)를 가지고 있어 호흡, 부력 조절, 감각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2. 포유류(사람)의 호흡기관 포유류의 호흡기관은 비강(Nasal cavity), 코곁동굴(Para...2025.05.15
-
[충남대] 생태학실험 - 반석천의 어류 채집과 동정 및 IBI2025.01.241. 어류 채집 및 동정 반석천에서 어류를 채집하여 8종의 어류를 동정하였다. 피라미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납자루, 돌고기, 모래무지, 참갈겨니 등이 관찰되었다. 내성종, 중간종, 민감종 등 다양한 생태지표 특성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어류 모델 메트릭을 통한 수질 평가 어류 모델 메트릭 평가 결과, 반석천의 생태계 건강도는 '보통상태'로 나타났다. 국내종수, 민감종수, 여울성 저서종수, 총 국내종 개체수, 내성종 비율, 충식종 비율, 잡식종 비율, 비정상종 비율 등 8개 메트릭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2025.01.24
-
[일반생물학실험]적혈구 채취 및 세포 크기 분석 (어류의 혈구 관찰)2025.05.011. 적혈구 채취 및 세포 크기 분석 이 실험의 목적은 현미경을 이용하여 어류의 혈구 세포를 관찰하고, 관찰을 통해 혈구의 구성성분에 대해 알아보는 것입니다. 실험에서는 어류의 혈액을 채취하여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말하고 고정 및 염색 과정을 거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습니다. 주로 타원형의 적혈구와 원형의 백혈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적혈구가 백혈구보다 수가 많고 잘 보였지만 백혈구의 종류를 정확히 구분하기는 어려웠습니다. 이를 통해 적혈구와 백혈구의 기능과 분포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1. 적혈구 채취 및 세포 크기 분석...2025.05.01
-
생명, 그 영원한 신비2025.01.041. 생명의 탄생 46억년 전 지구 생성 후 6~9억년 만에 최초의 생명체가 탄생했다. 이산화탄소와 고온의 바닷물 속에서 운석 낙하와 화학작용으로 DNA가 형성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간단한 유전물질이 성장하고 복제하며 최초의 생명체가 되었다. 이후 시아노박테리아의 출현과 광합성으로 산소가 발생하면서 호기성 생명체가 진화할 수 있었다. 2. 어류의 상륙 5억년 전까지 모든 생명체는 바다에서만 살았지만, 지각변동으로 형성된 산맥과 강으로 인해 원시 어류가 담수로 진입할 수 있었다. 담수 적응에 성공한 케이롤레피스가 현생 어류의 조상이 ...2025.01.04
-
넙치 해부 실습2025.05.081. 넙치 해부 넙치는 흔히 광어라고 더 잘 알려진 어류이다. 이는 '넓적한 물고기'라는 뜻으로 <자산어보>에서는 접어(蝶魚)라고 소개하고 있다. 넙치의 학명은 Paralichthys olivaceus로 가자미목 넙치과 넙치속에 속하는 저서성 어류이다. 대한민국과 일본, 쿠릴열도 동남중국해 등을 포함하는 태평양 서부 지역에 서식하며 수심 10~200m 사이에 위치한 모래 바닥에 주로 서식한다. 대부분의 시간을 바닥면에 배를 붙이며 지내기 때문에 체색은 황갈색의 보호색을 띠고 있는데 눈이 있는 몸의 위쪽은 갈색 혹은 어두운 색이며 반...2025.05.08
-
반석천의 하천 생태계 건강성 평가2025.01.161. 생태학 생태학은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며, 생물의 다양성과 풍부함, 분포 등을 관찰한다. 주요 연구 영역으로는 생물다양성, 서식지, 생태적 지위, 생물권, 집단생태학, 생태계 생태학 등이 있다. 2. 하천 생태계 평가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서식지 평가 지수)는 수중 생물의 서식환경에 대한 물리적 평가지수이며, 어류의 평가등급은 FAI(fish assessment index)를 사용하여 어류 군집의 생태학적 건강 평가를 수행한다. 하천 차수는 하천의 규모...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