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심전도 모니터링 및 판독, 중환자실 워드클래스2025.01.041.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심장은 수축, 이완 운동을 통해 전류를 발생시킵니다. 이 심장에 흐르는 전류를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도록 그림으로 그려낸 것이 심전도입니다. 심전도를 통해 심장 상태를 측정하고 손상 범위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심장의 자극전도계 심장의 자극전도계는 자극이 전달되는 길입니다. 심장의 일정한 부위가 규칙에 따라 주기적으로 흥분하고, 그 흥분이 길을 따라 심장 전체에 확산되어 가는 것입니다. 1.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심전도(ECG)는 심장의 전기...2025.01.04
-
국내에서 발생한 감전사고 사례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발생 과정, 발생 원인, 예방대책을 논하시오2025.05.141. 감전의 개념과 종류 감전은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서 인체 내에 전류가 통과되는 것을 말한다. 감전의 강도에 따라 감지 전류, 경련 전류, 심실세동 전류로 분류할 수 있다. 감지 전류는 0.5mA에서 1mA 사이로 찌릿한 느낌을 주며, 경련 전류는 5mA에서 20mA 사이로 근육 경련과 신경 마비 등이 나타난다. 심실세동 전류는 20mA 이상으로 심장에 경련이 일어나 수 분 내에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 2. 사건의 원인과 경과 올해 8월 경기도 고양시의 전기 공사 현장에서 한국전력 협력 업체 소속 52세 남성 노동자가 변압...2025.05.14
-
산소포화도 및 심전도 측정 시나리오(선행지식 포함)2025.01.201. 산소포화도 측정 산소포화도는 혈액 중 산화된 헤모글로빈의 양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정상범위는 95-100%입니다. 산소포화도 측정은 손가락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하며, 혈액순환을 잘 측정하기 위해 팔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센서에 강한 외부 빛이 비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심전도 측정 심전도 모니터링은 심장 기능 문제나 상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전극을 오른쪽 쇄골 아래, 왼쪽 쇄골 아래, 왼쪽 5번째 늑간 중심 액와선에 부착하며, 부착 부위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여 교류에 의한 전류 방해로 인한 오...2025.01.20
-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1.281. 심장의 구조 심장은 가슴의 왼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된 기관이며,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는 삼첨판이,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는 이첨판이 있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막습니다. 심장 근육은 가로무늬근과 민무늬근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강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뛸 수 있습니다. 2. 심장의 기능 심장은 혈액을 온몸에 순환시키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 심장은 1분에 60~80회 정도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며, 이 과정에서 심장 박동이 발생합니다. 심장 박동은 우심방에 있...2025.01.28
-
EKG 상세, 심장약물 및 사용법, 제세동기 사용법2025.04.301. EKG EKG는 심장의 심박동 주기 중에 일어나는 심장 근육의 전기적인 활동 상태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V1은 오른쪽 흉골의 네 번째 늑간, V2는 V1과 대칭되는 왼쪽 흉골의 네 번째 늑간, V3는 V2와 V4 사이의 중간지점, V4는 좌측 쇄골 중앙선상의 5번째 늑간, V5는 V4에서 수평으로 좌측 전액와선상의 5번째 늑간, V6는 V5에서 수평으로 좌측 액와중안선상의 5번째 늑간에서 측정합니다. 정상 심전도의 기본 파형은 P파, QRS파, T파입니다. 2. 심장약물 에피네프린(Epinephrine)은 교감신경 흥분...2025.04.30
-
Electric Burn 전기화상 케이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모두 포함)2025.05.081. Electric Burn의 원인과 역학 전기화상(Electric burn)의 주된 원인은 전기감전이며, 손상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 4도 화상으로 분류된다. 1도 화상은 피부 표면의 발적, 2도 화상은 수포 형성, 3도 화상은 피부 전층 손상, 4도 화상은 근육, 힘줄, 신경 등의 손상이 있다. 2. Electric Burn의 병태생리 전기화상 환자는 체액 상실기, 급성기, 재활기를 거치게 된다. 체액 상실기에는 수액요법이 중요하며, 급성기에는 드레싱, 수술 합병증 예방이 필요하다. 재활기에는 입원 당시부터 시작하여...2025.05.08
-
[생리학/일반생물] 심혈관계에 대해2025.05.07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가슴우리 안에 위치하며, 가로막 위, 허파 사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심장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무게는 250~350g 정도이다. 두 겹으로 이루어진 심낭막에 싸여있고, 심장의 표면으로는 심장근육에 혈액을 순환시키는 심장 혈관이 있다. 심장은 크게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 사이에는 판막이 있다. 동방결절에서 심장근육의 주기적인 수축과 이완을 일으키는 전기자극이 생성된다. 2. 심장의 자동성과 박동 조절 심장의 박동은 자율적이어서 심장을 체외로 척출하여도 ...2025.05.07
-
신생아 및 영아의 심리생리학적 반응2025.01.291. 신생아 및 영아의 심리생리학적 반응 신생아 및 영아의 심리생리학적 반응(psychophysiological response)이란 환경의 자극이나 사건에 대한 비자발적 반응, 즉 인간이 의지적으로 통제하기 어려운 신체 내 생리학적 반응을 말한다. 두뇌활동이나 심장박동 정보, 호르몬 수준, 피부 온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심리생리학적 반응은 측정 시 고가의 기재나 장비,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데 고도의 훈련이나 추론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영아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2. 영아의 ...2025.01.29
-
CPR (발표PPT)2025.05.021. CPR (심폐소생술)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시작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이후 1분이 늦어질 때마다 생존가능성은 10%씩 감소되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 0~4분은 소생술을 실시하면 뇌 손상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4~6분은 뇌 손상 가능성이 높고, 6~10분은 뇌 손상이 확실하며, 10분 이상은 심한 뇌 손상 또는 뇌사상태가 될 수 있다. 2. BLS (기본심폐소생술) 기본인명구조술로 흉부 압박, 인공 환기, AED기 사용 등이 포함된다. 3. ACLS (전문심장소생술) 심정지의 예방 및 ...2025.05.02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장비사용법(NBP,PT M등)2025.05.111. patient monitor patient monitor는 환자의 상태(심전도, 심박/맥박, 산소포화도, 체온 등)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사용방법으로는 electrode 부착 위치, NIBP 측정 방법, 장비의 기능(전원, NIBP start/stop, 알람 일시 정지, 메인 화면, 트렌드, 출력, 환자 정보 입력, 화면 배열 변경, 화면 밝기 조절, 서비스 모드, 전체 알람 설정값 변경, 배터리 잔량 표시, AC 전원 표시) 등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NIBP NIBP는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사...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