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7개
-
식물생명공학을 통한 유용 대사물질 생산2025.01.021. 식물 대사물질의 유용성 식물이 생산하는 대사물질은 인류에게 유용한 물질로 쓰일 수 있다. 이는 미생물 발효법을 이용하여 유용물질을 생산한 이후로 식물에게도 해당 시스템을 적용하여 이를 대량생산하며 시작하였다. 식물을 이용한 생산의 대사물질은 화학적 합성법이나 미생물 발효법을 사용하여 생산할 수 없는 복잡한 구조나 입체적 구조 등을 가지고 있어 식물생명공학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 식물 대사물질의 종류와 활용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은 색소, 향신료, 농약, 향수 그리고 의약품 등의 기능성 소재로 사용되어 왔고, 특히 의약...2025.01.02
-
밭작물에서 조직배양이 이용되는 분야를 설명하시오.2025.01.251. 종자생산 조직배양을 통한 종자 생산은 작물의 생장 환경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한 유전적 특성을 가진 작물을 선택하여 생산할 수 있다. 조직배양을 통한 종자 생산은 종자 품질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원하는 품종의 종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종자의 품질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2. 병해충 관리 조직배양은 생물학적 방제를 통한 병해충 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유해한 병해충을 제어하기 위해 적절한 바이러스나 미생물을 조직배양하여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개발...2025.01.25
-
식용작물학24B밭작물에서 조직배양이 이용되는 분야를 설명하시오2025.01.251. 밭작물에서 조직배양 식물 조직배양은 식물체의 기관, 조직, 세포 등을 모체에서 분리하여 무균상태에서 배양하여 완전한 개체를 획득하는 것이다. 밭작물에서의 조직배양은 주로 특정 작물이나 유전자 조작, 즉 특정 특성을 가진 작물을 개발하거나 대량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직배양을 통해 작물의 생산성, 내성, 영양가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밭작물에서 조직배양이 이용되는 분야 1) 유전자 개량 및 선택: 조직배양은 유전자 조작 및 개량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2) 종자 생산: 조직배양은 정밀하고 대량으로 종자를 생산하는 데 사...2025.01.25
-
[융합과학] 우리 주변의 그람 양성군2025.05.061. 그람 염색 그람 염색은 이용 가치에 비해 그 과정이 간단하고 쉽기 때문에 과학자들에게 기본적인 실험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러한 그람 양성군, 음성군과 연관된 건강상의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해지고, 그람 염색의 가치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2. 그람 양성균 2015년 말에 일어난 건대 집단 폐렴 사건의 원인으로 지목된 방선균과 올해 미국의 한 연구를 통해 유방암 환자들의 세포에서 현저히 많이 관찰되었다고 밝혀진 포도상규군, 코리네박테리움 등의 세균들이 모두 그람 양성군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2025.05.06
-
식물 호르몬의 종류, 역할 및 현장 활용법2025.01.091. 식물 호르몬의 개념과 중요성 식물 호르몬은 식물의 성장, 발달 및 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러 가지 종류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식물 호르몬으로는 옥신, 지브렐린, 사이토카인, 에틸렌, 아브시스산 등이 있다. 이들 식물 호르몬은 광합성, 굴기, 꽃 개화 등의 생리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식물의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과 반응을 조절한다. 또한, 식물 호르몬은 식물의 성장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식물 호르몬의 종류 식물 호르몬은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2025.01.09
-
밭작물에서 조직배양이 이용되는 분야를 설명2025.01.251. 조직배양기술을 응용한 밭작물 조직배양기술을 응용한 밭작물을 키우는 기술은 다양한 목적이 있다. 식물을 번식 시키는 것, 상업적 목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 병충해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병 식물체를 생산하는 것, 퇴화되고 있는 배나 배주의 배양과 반수체 식물의 생산, 유전자 조작 식물체를 분화하기 위한 것, 기내 배양 변이체 선발, 유전 자원의 보존 등이 그 목적이다. 2. 조직배양이 응용되는 밭작물의 종류 조직 배양이 응용되는 대표적인 밭작물은 감자와 고구마이다. 감자의 경우 조직 배양을 통해 바이러스 무병주 생산과 대량 생산이...2025.01.25
-
내부, 외부요인에 따른 오오히라균의 변화2025.01.271. 오오히라균 오오히라균은 버섯 균사로, 유기 호흡을 통해 단당류를 재료로 산소를 더해 에너지와 이산화탄소, 물을 만들어내며 이 과정에서 균사의 질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오오히라균에 곤충 유충(Dorcus hopei)을 투입하여 균, 첨가제, 유충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 균사 배양 1차 실험에서는 예비실험으로 150cc병에 순수한 균사, 트레할로스, 단백질, 밀기울, 원두 등을 분류하여 균사를 배양하였다. 균사를 재배양할 때 위생 상태가 매우 중요하므로 클린벤치(무균 실험대)를 사용하여 배양하고, 작업...2025.01.27
-
양파 표피세포를 통한 원형질 분리 현상 관찰 실험2025.05.131. 세포벽 식물세포의 가장 바깥층을 에워싸고 있는 막으로, 변형균을 제외한 모든 식물 세포에 존재하며, 동물세포에는 없다. 세포벽은 식물세포를 보호하고, 형태를 유지하며, 적당량의 물만 흡수할 수 있도록 물의 흡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식물의 세포벽은 세포막보다 매우 두꺼워 0.1mu m에서 수mu m에 이른다. 세포벽의 정확한 화학 조성은 종에 따라 다양한데, 대부분 다당류인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미세한 섬유는 셀룰로오스 합성효소에 의해 합성되어 세포 외부로 분비된다. 2. 세포막 세포를 둘러싼 세포막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살아...2025.05.13
-
[식품미생물공학실험] 토양 미생물의 분리 및 식별2025.01.291.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niger는 토양에 풍부하고 실내 환경에서 흔히 발견되는 곰팡이이다. 식품의 일반적인 오염물질인 식물 병원성 곰팡이지만, 셀룰로오스, 펙틴 등의 식물 바이오매스 다당류를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로 이화시키는 효소 활성을 가진다. 더불어 인간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유기산이자 식품, 제약 산업에 널리 사용되는 구연산의 주요 산업 동력원인 산업 미생물로 사용된다. 최근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식물 숙주 감염에 대한 식물 백신 연구의 모델 균주로 활용되기도 한다. 2. Ba...2025.01.29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Plant Transformation 결과보고서2025.01.181. Floral-dipping method Floral-dipping method는 Arabidopsis를 간단하게 형질 전환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며 1993년 Bechtold et al.(1)의 논문을 통하여 제안되었다. 이 방식은 대부분의 형질 전환된 자손에서 유전적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조직 배양 및 재생과 관련된 체세포 변이가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의 주요 단점은 단 하나의 식물 종인 Arabidopsisthaliana에 대해서만 정상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으로, 다른 식물종에 이 방식을 활용하지못한다는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