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8개
-
직류 공급전압 Vs 400 V 부하저항 R 402025.05.071. 강압형 컨버터 설계 주어진 설계 조건에 따라 강압형 컨버터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습니다. 직류 공급전압 Vs = 400 V, 부하저항 R = 40 Ω, 듀티비 D = 0.4, 인덕터 L = 0.5 mH, 커패시터 C = 1 uF의 값을 사용하였습니다. 스위칭 주파수 fs를 계산한 결과 40 kHz가 되어야 인덕터가 연속전류모드(CCM)에서 동작하며, 맥동 전압 ΔV0는 3 V로 나타났습니다.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조건을 만족하였음을 확인하고, 각 부 파형(공급전압, 출력전압, 인덕터 전압 및 전류, 커패시터...2025.05.07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2025.05.101. PWM 제어 회로 설계 UC3845 PWM 제어 IC를 이용하여 0.1V ~ 13.5V의 PWM 제어 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 스위칭 주파수는 12.5kHz로 설정한다. PWM 제어 회로의 출력 신호는 Driver stage의 스위치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2. Buck Converter 회로 설계 PWM 제어 회로와 Buck Converter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 5V, 출력 전압 2.5V의 SMPS를 설계할 수 있다. 스위칭 주파수는 12.5kHz이며, 듀티 사이클 D=0.5이다. 인덕터 전류의 리플 전류와 출력 전압...2025.05.10
-
부산대_응용전기전자실험2_예비보고서4_MOSFET [A+보고서]2025.01.291. MOSFET Buck Chopper MOSFET Buck Chopper는 전류의 ON-OFF를 반복하여 직류 또는 교류 전원으로부터 원하는 전압이나 전류를 만들어내는 전원 회로 제어 방식입니다. 스위칭 소자가 ON일 때 전류가 흐르고 OFF일 때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낮아지는 강압형 컨버터입니다. 인덕터의 전압 특성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적절한 인덕턴스와 스위칭 주파수 선정이 중요합니다. 2. MOSFET Boost Chopper MOSFET Boost Chopper는...2025.01.29
-
[고려대학교 전기회로] 13단원 정리본2025.05.031. Laplace 변환을 이용한 회로 분석 Laplace 변환을 이용하여 회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저항, 인덕터, 캐패시터 등 회로 요소의 s-domain 표현을 통해 회로 방정식을 세우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로의 자연 응답, 계단 응답, 과도 응답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2. 회로의 전달 함수 회로의 전달 함수는 입력 신호의 Laplace 변환과 출력 신호의 Laplace 변환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전달 함수를 통해 회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부분 분수 전개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 응답을 ...2025.05.03
-
MOSFET 결과보고서2025.01.051. 모스펫 벅 초퍼 모스펫 벅 초퍼의 동작을 이해하고 시동시켜보았습니다. 실험 결과 듀티 사이클에 따른 출력전압 변화, 스위칭 제어신호 주파수의 효과, 출력전력 대 입력전력을 측정하였습니다. 벅 초퍼의 출력전압은 듀티 사이클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주파수 변화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전력 효율은 약 80.7%로 높은 편이었습니다. 2. 모스펫 부스트 초퍼 모스펫 부스트 초퍼의 동작을 이해하고 시동시켜보았습니다. 실험 결과 듀티 사이클에 따른 출력전압 변화, 스위칭 제어신호 주파수의 효과, 출력전력 대 입력전력을 측정하였습니다....2025.01.05
-
MOSFET 예비보고서 (2)2025.01.231. DC/DC 컨버터 DC/DC 컨버터는 직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로, 리니어 레귤레이터나 스위칭 레귤레이터 등의 방식으로 변환을 수행한다. MOSFET buck chopper는 입력 전압에 대해 출력 전압을 낮추는 강압형 컨버터이며, MOSFET boost chopper는 입력 전압에 대해 출력 전압을 높이는 승압형 컨버터이다. 2. MOSFET buck chopper MOSFET buck chopper는 스위칭 소자가 ON 상태일 때 전류가 흐르고 LC 회로에 의해 고주파 부분은 GND로 빠져나가고 저주파 부분만 통과하게 된...2025.01.23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2025.04.291. PWM 제어 회로 설계 PWM 칩(UC3845)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 0V ~ 10V(peak to peak), 스위칭 주파수 12.5kHz의 PWM 제어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UC3845 데이터시트를 참고하여 기준 전압, 출력 전압 범위 등을 고려하여 회로를 구성하였습니다. 2. Buck Converter 회로 설계 PWM 제어 회로와 Buck Converter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 5V, 출력 전압 2.5V, 스위칭 주파수 12.5kHz의 SMPS를 설계하였습니다. Buck Converter의 동작 원리와 인덕터 전...2025.04.29
-
전력전자공학 설계된 값을 가지고 PSIM으로 시뮬레이션을 하여 설계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확인하고 각부 파형2025.01.221. 승압 컨버터 설계 이번 설계 과제에서는 저항 부하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승압 컨버터를 설계하였다. 공급전압이 일정할 때 원하는 출력전압을 얻기 위해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설계하였으며, 설계된 컨버터의 동작을 PSI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각 부위의 파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력 변환의 원리를 깊이 이해하고 실제 설계와 시뮬레이션을 경험할 수 있었다. 2. 승압 컨버터의 동작 원리 승압 컨버터(Boost Converter)는 입력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DC-DC 변환기로, 스위치가 꺼져...2025.01.22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 실습 실습2_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_예비보고서2025.01.211.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동작 원리와 회로 모듈을 이해하여 SMPS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준비물로는 PWM UC3845, MOSFET IRF540, Inductor, Capacitor, 저항, 가변저항, Diode, Inverter 등이 필요하며, 오실로스코프, 브레드보드, 파워서플라이, 함수발생기 등의 장비를 사용합니다. 설계 실습으로는 PWM 제어 회로 설계, Buck Converter 회로 ...2025.01.21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예비) 설계 실습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A+2025.01.291. PWM 제어 회로 설계 PWM 칩(UC3845)을 이용하여 출력전압 0 V ~ 10 V (peak to peak), 스위칭 주파수 12.5 kHz의 PWM 제어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PWM 제어 회로와 Buck Converter 회로를 이용하여 스위칭 주파수 12.5 kHz, 입력 전압 5 V, 출력 전압 2.5 V의 SMPS를 설계하였습니다. 또한 PWM 제어 회로와 Boost Converter 회로를 이용하여 스위칭 주파수 12.5 kHz, 입력 전압 5 V, 출력 전압 10 V의 SMPS를 설계하였습니다. 2. Buck...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