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8개
-
전류계의 분류기 및 전압계의 배율기 예비보고서2025.01.121. 전류계의 분류기 분류기(shunt)는 전류계에 병렬로 접속시켜서 전류의 측정범위를 넓히기 위한 일종의 저항기입니다. 분류기의 저항을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하면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m배로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분류기의 저항은 (m-1)배가 되도록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전압계의 배율기 배율기(multiplier)는 전압계에 직렬로 접속시켜서 전압의 측정범위를 넓히기 위한 일종의 저항기입니다. 배율기의 저항을 전압계와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m배로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배율기의 저항은 (m-1)배가 되도록 계산할...2025.01.12
-
[생물] 현미경의 구조와 사용법2025.05.011. 현미경의 구조 현미경의 주요 구성 요소인 접안렌즈, 대물렌즈, 초점조절 나사, 조리개, 광원 장치 등의 기능과 역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접안렌즈는 눈으로 관찰하는 렌즈이고, 대물렌즈는 표본을 대하는 렌즈로 배율이 높습니다. 초점조절 나사는 상을 찾고 초점을 맞추는 데 사용되며, 조리개는 빛의 양을 조절하고 광원 장치는 빛을 공급합니다. 2. 현미경 사용법 현미경 사용 순서를 단계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먼저 가장 낮은 배율의 대물렌즈를 사용하고, 광원과 조리개로 빛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그 다음 표본을 재물대에 올려놓고 대물...2025.05.01
-
렌즈에 대한 정리2025.01.091. 렌즈 공식 렌즈는 중심축을 공유하는 두 개의 굴절 구면을 가진 투명한 물체입니다. 렌즈를 공기 중에 놓으면 빛은 공기에서 렌즈로 굴절되어 들어와 통과한 후 다시 공기 중으로 굴절되어 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두 굴절 구면에서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뀝니다. 수렴렌즈(볼록렌즈)는 입사한 광선이 한 점에 모일 때 이용되고, 발산렌즈(오목렌즈)는 입사한 광선이 퍼져나갈 때 이용됩니다. 렌즈 공식은 물체거리, 초점거리, 영상거리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굴절률이 n인 얇은 렌즈가 공기 중에 있을 때의 공식은 {1} over {f} = (n-...2025.01.09
-
렌즈 초점거리 측정 실험2025.05.051.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 이 실험의 목적은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초점거리를 측정하고, 볼록렌즈에 의한 상의 배율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광선 공식을 이용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계산하고, 상의 크기와 물체의 크기 비율을 통해 배율을 구합니다. 실험 방법으로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사용하여 상의 위치와 크기를 측정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2. 광선 공식 광선 공식은 렌즈와 물체, 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으로, {1} over {a} + {1} over {b} = {1} over {f}의 형태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a는 렌즈와 물체...2025.05.05
-
렌즈에 대해서2025.01.091. 렌즈의 정의 렌즈는 중심축을 공유하는 두 굴절 구면을 갖는 투명한 물체로, 두 굴절 구면이 공유하는 중심축이 렌즈의 중심축이 된다. 렌즈를 공기 중에 놓으면 빛은 공기로부터 렌즈로 굴절해 들어와 통과한 후 다시 공기 중으로 굴절해 나간다. 이때 빛이 통과하는 두 굴절 구면에서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뀐다. 렌즈는 크게 수렴렌즈와 발산렌즈로 나뉜다. 수렴렌즈는 입사한 광선이 한 점에 모일 때 이용되는 렌즈로 볼록렌즈라고 불린다. 발산렌즈는 입사한 광선이 퍼져나갈 때 이용되는 렌즈로 오목렌즈라고 불린다. 2. 광선추적법 렌즈를 통해 ...2025.01.09
-
전류계 분류기 및 전압계 배율기 & 옴의 법칙 결과보고서2025.01.121. 전류계 분류기 및 전압계 배율기 이번 실험에서는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과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전류를 측정할 때는 멀티미터를 회로와 직렬로 연결해야 하고, 전압을 측정할 때는 멀티미터를 저항과 병렬로 연결해야 합니다. 실험을 통해 이를 이해하게 되었고, 오차율도 5% 미만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2.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고정저항과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를 측정하였고, 실험값과 이론값이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전압이 증가하면 전류도 증가하고...2025.01.12
-
전류계 및 전압계 사용법 예비보고서2025.01.121. 가동 코일형 계기의 구조와 원리 영구자석이 만드는 자계 내에 가동 코일을 놓고 코일에 측정하고자 하는 전류를 흘리면 전자력이 발생하여 구동 토크를 발생시킨다. 이를 영구자석 가동 코일형 계기라고 한다. 가동 코일의 회전각은 피측정 전류에 비례하여 균등눈금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직류 전류계의 분류기 사용 가동 코일에 직접 흘릴 수 있는 전류가 작기 때문에 분류기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전류의 일부를 분류시켜 측정 범위를 확대한다. 분류기의 배율을 이용하여 피측정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3. 직류 전압계의 배율기 사용 가동...2025.01.12
-
현미경의 종류 및 사용법2025.01.121. 현미경의 종류 현미경에는 광학 현미경, 복합 현미경, 해부 현미경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광학 현미경은 가시광선을 이용하며, 복합 현미경은 단안 현미경과 쌍안 현미경으로 구분된다. 해부 현미경은 물체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이용한다. 그 외에도 현미 수술기, 편광 현미경, 형광 현미경, 위상차 현미경, 암시야 현미경, 공초점 현미경 등이 있으며, 전자를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하는 전자 현미경도 있다. 2. 현미경의 구조 현미경의 주요 구성 요소로는 접안렌즈, 대물렌즈, 경통, 경각, 경주, 재물대, 초점 조절 장치(조동나사, 미...2025.01.12
-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 실험2025.01.191. 초점과 초점거리 초점은 광축에 평행한 빛이 입사되었을 때 렌즈를 통과한 빛이 광축과 만나는 점이며, 렌즈의 중심점과 초점까지의 거리가 초점거리이다. 물체가 초점거리에 위치한 경우 빛이 발산하고, 초점거리 밖에 위치한 경우 빛이 정립 실상을 만든다. 2. 볼록렌즈와 오목렌즈 볼록렌즈는 렌즈 중심부의 두께가 가장자리보다 두꺼운 렌즈로, 물체의 위치에 따라 정립 허상이나 도립 실상을 만든다. 오목렌즈는 렌즈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얇은 렌즈로, 일반적으로 빛을 퍼트려 물체에 대해 허상을 가진다. 3. 렌즈의 근축광선 결상식 렌즈의 근...2025.01.19
-
기초전기실험 예비, 결과 레포트 2주차 ~ 7주차, 9주차 ~ 14주차2025.01.271. 키르히호프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과 전압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한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키르히호프의 법칙이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이론값과 측정값이 거의 일치하여 실험이 올바르게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중첩의 원리 중첩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한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중첩의 원리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단락된 전압원과 개방된 전류원을 이용하여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을 익혔다. 3. 테브낭 정리 테브낭 정리를 이해하고 이의 응용능력을 키운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테브낭 정리...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