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한스 퀑의 교육개론에 따른 한국교회의 공동체성 회복 방안2025.01.061. 교회의 공동체성 한스 퀑은 교회는 공동체적이며, 개인화와 사유화가 거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현 한국교회에 적용하면, 교회가 목회자 개인의 사업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담임목사직의 세습화 현상이 두드러지는 등 교회의 공동체성이 퇴색되고 있다. 따라서 교회의 본질적 의미를 되새기고, 공동체적 신앙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교회 체계를 개선하여 공동체적 교회로 존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1. 교회의 공동체성 교회는 단순한 종교적 집회가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이 모여 서로 사랑하고 돌보며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입니...2025.01.06
-
교회세습 논설문2025.01.281. 교회세습 교회세습은 아버지 목사가 아들 목사에게, 가족끼리 교회를 물려주고 물려받는 담임목사직의 대물림을 말한다. 교회세습이 문제가 되는 것은 많은 교회들이 시행하면서, 교회를 마치 사유화 된 기업처럼 대물림하여 도적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인식이 되고 있고, 한국교회의 또 다른 악습으로 자리 잡을 위험에 처해있기 때문이다. 교회세습은 교회 사유화, 기득권을 가진 자의 욕심과 교만, 가족주의적 교회의 병폐 등의 문제가 있다. 교회세습을 막기 위해서는 목사직에 대한 의식 변화와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 1. 교회세습 교회세습은...2025.01.28
-
우리나라 종교의 예언자적 기능에 대한 고찰2025.01.141. 종교의 예언자적 기능 종교의 예언자적 기능이란 종교의 사회적 기능의 일부로서 기존 사회질서의 모순과 부조리, 경제적 불평등, 부정부패 등 사회의 구조적 불합리함을 고발하여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일부 종교는 이러한 예언자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방역 지침을 무시하고 대면 예배를 강행한 교회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종교가 오히려 사회의 구조적 불합리함을 만들어내고 있다. 2. 종교 지도자의 종교 공유 재산 개인화와 세습 일부 종교 지도자들이 교회의 재산을 마치 자신의 소유인 것처...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