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90개
-
뇌수술 및 시술2025.01.141. 뇌 수술 및 시술 종류 신경외과 수술 및 시술에는 개두술(craniotomy), 두개골 절제술(craniectomy), 천두술(burr hole/trephination), 두개골 성형술(Cranioplasty), 뇌실 복막간 단락술(Ventriculoperitoneal shunt), 기관절개술(Tracheostomy) 등이 있습니다. 각 수술 및 시술에 대한 주요 내용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뇌혈관 조영술 뇌혈관 조영술에는 TFCA(Trans Femoral Cerebral Angiography), 동맥 내 혈전 제거술(Th...2025.01.14
-
뇌종양 진단과 수술2025.04.281. 뇌의 해부학적 구조 뇌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되고 있으며, 대뇌, 소뇌, 뇌간(숨골)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뇌는 연막과 지주막, 경막이라는 세 겹의 뇌수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지주막하공간 속에 뇌척수액이 순환하며 완충 작용을 하고 경막은 두껍고 질긴 막으로 골막층과 뇌막층으로 구성되고, 두개골이 둘러싸여 있어 뇌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2. 뇌의 기능 뇌의 구분으로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소뇌반구가 있으며, 각 부위별로 담당하는 기능이 다르다. 전두엽은 판단과 감정, 운동능...2025.04.28
-
뇌수술 전, 후 간호2025.01.031. 두부수술의 종류 두부수술에는 개두술, 두개절제술, 접형동 접근수술, 두개성형술, 뇌실측로술, 뇌정위수술 등이 있다. 개두술은 두개골을 절개하여 병변을 제거하는 방법이며, 두개절제술은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접형동 접근수술은 코를 통해 접형동으로 접근하여 뇌하수체 종양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두개성형술은 두개골 결손 부위를 복원하는 방법이며, 뇌실측로술은 뇌척수액 순환을 위한 인위적인 통로를 만드는 방법이다. 뇌정위수술은 CT나 MRI로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 진단 및 치료하는 방법이다. 2. 수술 전 간호 수술 ...2025.01.03
-
소아뇌종양의 수술적 치료 논문 요약 보고서2025.05.081. 소아 뇌종양의 특징 소아 뇌종양은 성인 뇌종양과 다른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나이에 따라 발생하는 종양의 종류가 다르다. 둘째, 뇌실과 소뇌 부근, 즉 천막하부에 발생한다. 셋째, 수막종과 같은 축외종양은 드물게 나타난다. 넷째, 종양의 종류와 환아의 나이에 따라 치료전략이 달라진다. 2. 수술 전 관리 수술 전 뇌전증과 수두증 관리, 감별진단, 치료전략의 수립, 수술 준비 등 네 가지를 진행해야 한다. 뇌전증은 항경련제로 조절하고, 수두증은 스테로이드와 만니톨로 뇌압을 낮추며 뇌실외배액술을 고려해야 한다. 3. 수술 ...2025.05.08
-
뇌졸중 환자의 언어, 인지치료와 뇌수술 전후 간호2025.01.051. 언어치료 및 간호 뇌졸중 환자의 언어 치료 방법에는 자극 중심 치료법, 듣기 중심 치료, 말하기 중심 치료, 단어 인출 치료법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행동적 치료법, 약물, 수술적 치료법 등을 적용하여 말 명료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어증, 마비말장애, 말실행증 등의 언어 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환경적 자극을 줄이고, 간단한 질문을 사용하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활용하는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 2. 인지치료 및 간호 뇌졸중 환...2025.01.05
-
뇌수술 전 중 후 환자 간호2025.04.261. 뇌 뇌는 크게 대뇌, 간뇌, 뇌간과 소뇌로 구분되며 두개골 안에 들어있다. 두개골의 기저부에는 대공이 있어 뇌간과 척수가 연결된다. 무게는 약 1,400g~1,600g 정도이며 이는 1000억 개 정도의 뉴런을 포함한다. 가로 15cm, 너비 15cm, 깊이 20cm로 평균 1350cc 정도의 부피를 가진다. 뇌는 대부분의 움직임, 행동을 관장하고,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시킨다. 즉 심장의 박동, 혈압, 혈액 내의 농도, 체온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뇌는 인지, 감정, 기억, 학습 등을 담당한다. 2. 뇌수술의 종류 두부수술...2025.04.26
-
뇌수막종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관 관련된 출혈 위험성2025.04.281. 뇌수막종 뇌수막종은 원발 뇌종양의 15~20%를 차지하며 수술만으로 완치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양성 종양이다. 이 종양은 외를 지지하는 뇌막인 수막의 구성 성분인 지주막 세포에서 기원하여 수막종이라 불린다. 종양 자체는 단단하고 혈관분포가 풍부한것이 특징이며 수막종은 외종양의 일종이지만 수막이 있는 곳 어디에서나 발생할수 잇어 척수에 있는 수막에서도 발생가능성이 있다. 수막종은 보통 경막과 공고히 부착되어 있으며 악성을 제외하고는 보통 주위의 뇌조직과 뚜렷한 경계를 가진다. 2.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 후 환자는 수술부위...2025.04.28
-
수술 후 급성 통증 관리: 뇌수막종 제거 수술 사례2025.04.251. 수술 후 급성 통증 수술 후 발생한 급성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활력징후 모니터링, 통증 척도 사정, 진통제 투여, 비약물적 중재 등을 시행하였다. 통증 관리를 통해 환자의 안위를 도모하고 합병증 예방에 힘썼다. 2. 뇌수막종 뇌수막종은 뇌막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천천히 자라면서 주변 뇌 조직을 압박하여 두통, 마비, 간질 발작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수술적 제거가 주된 치료법이며, 수술 후 관리가 중요하다. 3. 수술 후 간호 중재 수술 후 환자의 활력징후, 통증, 합병증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2025.04.25
-
NS) 뇌동맥결찰술 케이스 수술방법, clipping procedure2025.05.081. 뇌동맥류 뇌동맥류는 뇌동맥의 일부에 결손이 생겨 그 부분이 돌출된 것을 말한다. 약해진 혈관으로 계속 혈액이 흐르게 되면서 동맥류는 점점 더 커지고 혈관은 더 얇아지게 된다. 혈관벽이 매우 얇고 구조적으로도 정상 혈관과 다르기 때문에 약해서 쉽게 터진다. 동맥류는 주로 40대에서 60대 사이에 흔히 발생하며 약 20%에서는 다발성 동맥류가 발견되고 있다. 2. 뇌혈관 구조 뇌에는 두 쌍의 동맥이 혈액을 공급한다. 척추동맥과 내경동맥이 바로 그 두 동맥이다. 이 동맥들이 연결되어 '윌리스 환'이라는 고리를 형성하는데, 이 고리는...2025.05.08
-
수술실 간호과정) STA-MCA anastomosis천측두동맥-중대뇌동맥문합술2025.05.031. 모야모야병 모야모야병은 대뇌로 들어가는 양측 속목동맥(내경동맥)의 끝부분과 앞대뇌동맥(anterior cerebral artery)과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의 시작부분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다가 막히는 소견과, 이로 인하여 좁아진 동맥부분 인접부위의 뇌기저부에서 가느다란 비정상적인 혈관(모야모야 혈관)들이 자라나와 모여 있는 혈관망이 뇌동맥조영상에서 나타나는 뇌혈관질환이다. 유일한 치료방법은 외과적 치료를 통해 튼튼한 혈액 순환로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2. STA-MCA anastomosis STA...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