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70개
-
학습자가 속해있거나 접근가능한 공간의 네트워크 연결도와 통신장비의 네트워크적 특성2025.01.281. 네트워크의 개념 네트워크는 Net과 Work의 합성어로서, 컴퓨터와 같은 노드들이 통신 기술을 통해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통신을 하는 형태를 뜻한다. 데이터 및 리소스를 송신, 교환 또는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케이블(유선) 또는 WiFi(무선)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된다. 네트워크의 장단점으로는 데이터 공유, 디지털 미디어 활용, 성능 향상 등의 장점과 보안 문제, 데이터 변조 등의 단점이 있다. 2. 네트워크 연결도 네트워크 연결도를 통해 네트워크의 구조와 장비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 문제...2025.01.28
-
학점은행제, 93점) 데이터통신 과제 - 네트워크 연결, 통신장비들의 네트워크적 특성2025.01.161. 공유기 공유기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이 적용된 장치이다. NAT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뜻하며 IP 패킷에 있는 출발지 및 목적지 IP 주소와 TCP/UDP 포트 숫자 등을 바꿔 재기록하면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게 하는 기술이다. 그래서 여러개의 Network Address를 가지고 있으며 정확히는 인터넷 공유기 보다는 IP 주소 공유기라고 부를 수 있다. 2. 셋톱박스 셋톱박스는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로 일반 TV와는 별도로 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가...2025.01.16
-
OSI 7계층을 나눈 이유에 대해 PC사용중 인터넷 연결이 끊긴 경우 설명2025.01.041. OSI 7계층 소개 OSI(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품군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각각 특정 기능을 가진 7개의 개별 계층으로 나눕니다. 각 계층은 직접 이웃 계층하고만 통신하며, 데이터는 전송 장치의 계층을 통해 전달됩니다. 2. OSI 7계층 사례 PC 사용 중 인터넷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OSI-7 계층 모델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각 계층의 기능을 확인하여 물리적 연결,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전...2025.01.04
-
무선 AP와 스마트폰의 연결 과정2025.01.181. 비콘 신호 무선 AP는 자신을 알리는 신호인 비콘 beacon을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기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합니다. 이 신호는 무선 클라이언트 기기들이 AP를 발견하고 연결을 수립하는 데 사용됩니다. 비콘 신호는 무선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SSID 브로드캐스팅 SSID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식별자로, 무선 AP가 자신을 식별하는 데 사용하는 이름입니다. 무선 라우터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SSID를 무선 신호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주변의 무선 클라이언트 기기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2025.01.18
-
인터네트워킹 장비의 종류와 기능2025.01.211. 인터네트워킹 인터네트워킹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인터네트워킹 장비들이 사용되는데, 트랜시버, 중계기, 허브, 브리지, 스위칭 허브,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이 대표적입니다. 각 장비는 OSI 7계층 중 1-4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간 연결과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2. 트랜시버 트랜시버는 이더넷에서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에 접속하는 기기로, OSI 1계층인 물리 계층 간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트랜시버는 수신신호의 생성, ...2025.01.21
-
[A+레포트] 무선공유기와 스마트폰의 연결과정을 그림을 그려서 설명하시오.2025.01.131. 비콘 신호의 역할과 AP 연결 과정 무선 AP(Access Point)는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기기에 주기적으로 비콘(Beacon) 신호를 전송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한다. 비콘 신호는 AP의 SSID(서비스 세트 식별자), 지원하는 암호화 타입, 연결 가능한 채널 등의 중요한 네트워크 정보를 담고 있다. 이 정보는 무선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탐색하고, 연결을 시도할 때 필수적이다. 비콘 신호의 주기적인 방출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가시성을 확보...2025.01.13
-
TCP와 UDP를 각각을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환경에 대해 실제 환경을 예를 들어 설명2025.05.061. TCP TCP는 데이터를 메시지 형태로 보내는 프로토콜로, IP와 함께 널리 사용되는 정보 연결형 프로토콜이다. TCP/IP는 가상 회선 방식을 사용하여 발신지와 수신지를 연결하고 3-way handshaking과 4-way handshaking 과정을 거쳐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한다. TCP는 신뢰성 있는 전송이 중요할 때 사용되며, 이메일 전송이나 파일 전송 등에 사용된다. 2. UDP UDP는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비 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한다. UDP는 연결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과정이 없으...2025.05.06
-
[만점]OSI 7계층을 나눈 이유에 대해 PC 사용 중 인터넷 연결이 끊긴 경우를 예로 설명하시오2025.01.131. OSI 7계층 OSI는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개방형 시스템이라는 뜻이며 OSI 7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통신 모델로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OSI 7계층은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고유한 역할을 수행한다.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어 이해하기 쉽고, 특정 계층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계층의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 ...2025.01.13
-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라우터와 L2 스위치의 역할과 차이점2025.05.021. 라우터 라우터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프로토콜, 수신 네트워크 대역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라우터는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디스패처 역할을 수행한다. 2. 스위치 스위치는 데이터의 목적지를 파악하여 적합한 경로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스위치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연결된 장치의 고유번호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위치는 소규모 비즈니스 네트워크에서 컴퓨터, 프린터, ...2025.05.02
-
IP 프로토콜의 주요 특징 설명2025.01.171. IP 프로토콜 개념 IP 프로토콜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정보를 교환하고 연결을 수행하는 기초적인 규약으로, 이 프로토콜은 특정한 연산이나 데이터의 흐름을 단순화하여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요소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IP 프로토콜의 주된 목적은 효과적인 패킷 라우팅과 전달이며, 이 프로토콜은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식별하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적절한 경로로 전달한다. 2. 무연결성 (Connectionless) 무연결성이란 통신이 이루어지기 전에 미리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 각 데이터 패킷을 독립적인 단위로 취...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