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62개
-
심장사상충 질병에 대한 수의학적 이해2025.01.151. 심장사상충 심장사상충(Dirofilaria immitis)은 실처럼 생긴 기생충으로, 실제 기생하는 부위는 폐동맥이다. 개가 고유숙주이며, 고양이, 늑대, 코요테, 여우 등에도 감염된다. 사람도 드물게 감염되지만 고유숙주가 아니므로 성충이 되기 전에 죽거나 성충이 되더라도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고 번식도 하지 못한다. 심장사상충의 생활사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모기가 중간숙주로 필요하다. 감염 후 6-7개월의 잠복기 동안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성충이 존재할 때만 진단이 가능하다. 치료는 melarsomine dihydrochlo...2025.01.15
-
에티오피아의 국제 보건분야 협력사업과 사업 제안2025.01.131. 에티오피아와 우리나라의 보건분야 협력 현황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서는 에티오피아 SHaPE(Small, Happy and Prosperous Family in Ethiopia) 2차 사업을 시행 중이다. 인구 · 생식보건 에드보커시, 미디어 캠페인을 통한 행동변화 유도, 보건요원(HEW) 역량강화를 통한 가족계획과 생식보건 서비스 강화의 활동을 통해 정치인, 공무원, 언론인, 종교·지역 지도자의 인구 및 생식보건에 대한 문제인식을 제고하고, 가임기(15~49세) 남녀 및 가족의 가족계획 및 생식보건 행동변화를 유도하고, ...2025.01.13
-
[R & E 연구 활동 보고서] 기생충이 사람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arasites on humans.)2025.05.131. 기생충 사람들은 자연과 함께 살아가며, 자연과 함께 살아가려면 생물들과도 살아가야 한다. 공생관계인 생물이 있는 반면에 기생 관계인 생물도 존재한다. 기생을 하는 생물이 사람과 어떤 관계인지 알아내어 기생충이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여 찾는다. 기생충의 여러 종류와 형태 등을 보여주어 알리며, 기생충이 우리 몸에 기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몸을 유지하는 법과 음식을 섭취하는 방법 등을 알려 기생충을 피해달라는 말 또한 하기 위함이다. 2. 기생관계 일반적으로 먹이사슬에서 일어나는 두 종간 관계를 일컫는 말로, 여...2025.05.13
-
병원미생물과 감염관리-기생충학과 미생물의 진단을 위한 검체관리2025.01.041. 인체감염 기생충학 인체에 감염될 수 있는 다양한 기생충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원생동물, 후생동물(연충류, 윤충류) 등 주요 기생충의 종류, 감염경로,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법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미생물의 진단을 위한 검체관리 미생물 검사실의 기능, 검체 선택, 채취 시기 및 방법, 검체 취급 등 감염병 진단을 위한 검체 관리의 중요성과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인체감염 기생충학 인체감염 기생충학은 인체에 감염되는 다양한 기생충들의 생물학적 특성, 감염경로, 증상, 진단 및 치료 등을 다...2025.01.04
-
[병리학 레포트] 감염성 질환에 관한 모든 것2025.05.111. 감염이란 감염(infection)은 미생물이 인체에 침범하는 것을 의미한다. 감염이 발생하면 대개 면역반응이나 염증과 같은 숙주 측의 반응이 일어난다. 감염결과 자각적, 타각적으로 병적 상태가 나타나면 이것을 발증(crisis)이라 한다. 그리고 감염의 결과로 생기는 질병을 감염증(infectious disease syndrom)이라 한다. 미생물에 감염된 숙주는 염증반응, 즉 통증 발열 발적, 종창, 기능장애 등 5대 소견을 나타낸다. 2. 감염병 발생의 기본인자 질병 발생의 원인적 인자로서 생물학적 인자로는 세균, 바이러스...2025.05.11
-
간흡충증2025.05.081. 간흡충증 간흡충증은 간에 기생하는 기생충에 의한 질환입니다. 가장 흔한 간흡충은 '간흡충 (Fasciola hepatica)'이라고 불리는 기생충입니다. 이 기생충은 주로 양, 소, 염소 등의 집축동물에서 발견되며, 인간에게도 간흡충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흡충은 주로 간 내 쓸개에 서식하며, 성장하는 과정에서 간조직을 침범하고 파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간염, 간경화, 출혈 및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흡충 감염은 간통, 소화 장애, 체중 감소, 알레르기 반응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만약 치료되지 ...2025.05.08
-
공중보건 국가고시 요약본2025.01.161. 공중보건 총론 WHO의 건강의 정의, Winslow의 공중보건학에 대한 정의, 공중보건사업의 최소단위지역 사회, 1차 보건의료의 실천, 알마아타 선언의 내용과 배경, 보건관리, 영양 상태 평가 지수, 중추신경계 억제제와 흥분제, 직업병, 보건 지표, 인구 구조 유형, 환경보건, 역학 및 질병관리, 감염병 관리, 예방접종, 식중독, 기생충 질환, 법정감염병 분류와 특성 1. 공중보건 총론 공중보건은 개인의 건강과 더불어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질병 예방, 건강 증진, 환경 위생 관리 등...2025.01.16
-
감염병(infection disease)의 이해와 예방2025.01.201. 감염병의 정의와 특징 감염병(infection disease)은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특정 병원체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을 말한다. 감염병은 인류가 언제나 겪어온 문제이며, 현대사회에서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감염병은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며, 직접적인 접촉이나 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특히 현대사회의 교통수단 발달, 문화생활 다양화, 인구이동 등으로 인해 감염병 전파 위험이 높아졌다. 2. 현대사회의 주요 감염병 현대사회에서 쉽게 감염될 수 있...2025.01.20
-
회충감염의 자연사와 관리2025.01.211. 회충감염증 회충증은 대표적인 토양 매개성 연충의 기생충으로, 소장에 기생하며 100°C에서 즉시, 95°C에서 1초, 70°C에서 10초에 사멸하고 -5°C에서 생존한다. 알코올, 포르말린, 염산 등 화학약품에 저항성이 강하고 김치, 거름 속에서도 수개월 동안 생존이 가능한 강한 생존력을 가졌다.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감염지역 범위가 넓고 재감염이 흔히 나타나는 특성 때문에 정확한 유병률 확인은 어려우며, WHO의 자료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연간 약 8-12억 명의 사람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회충감염의 자연사 ...2025.01.21
-
간농양 A+ 사례보고서2025.01.131. 간농양 간농양은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화농성 간농양과 기생충성(아메바성) 간농양으로 구분됩니다. 화농성 간농양은 세균이 원인이고 그중에서 클렙시엘라균(Klebsiella pneumonia)에 의한 것이 전체의 약 80%에 해당합니다. 기생충성(아메바성) 간농양은 아메바(Entameoba histolytica)에 의해 발생하며, 국내의 경우 과거 위생 상태가 좋지 못했을 때는 흔하였지만 1990년대 이후에는 국내에서 발생 보고가 거의 없습니다. 간농양의 발생기전은 감염경로를 모르는 경우(50%), 담도계 원인(40%), 혈행성...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