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무주혁명과 지배집단의 변화2025.01.121. 관롱집단의 형성 관롱집단은 서위 이래 관롱 지역의 호족과 한족 중 무력과 재지를 갖춘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이다. 관롱집단의 출현은 북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수도를 옮기며 한화정책을 실시한 효문제에 의해 북방 변경 군진의 병사들은 관료로 나아갈 수 있는 자격이 박탈되었다. 이로 인해 축적된 불만은 효문제 사후 육진의 난으로 폭발한다. 이후 관동과 관서 지역에 각각 새로운 세력이 나타나는데, 이는 옛 육진의 진민 출신인 고환과 우문태이다. 우문태는 관서 지방으로 모인 호족과 한족의 융합에 매진하여 관롱집단을 형성한다. 2....2025.01.12
-
한국의 사회문화적 정체성: 홉스테드의 차원을 중심으로2025.01.021. 권력거리(Power Distance) 한국은 권력거리가 높은 국가로 분류되며, 권위주의적인 사고방식과 계층 간의 거리가 크게 나타난다. 조직 내에서 중요한 결정은 주로 상위 계층이 내리며, 개인들은 상위자의 의견을 존중하고 따르는 경향이 있다. 2. 집단주의(Collectivism) 대 개인주의(Individualism) 한국은 집단주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가족과 집단이 개인보다 중요하고 집단의 이익과 조화가 강조된다. 개인의 행동은 종종 집단의 기대와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조절된다. 3. 여성성(Femininity) 대 ...2025.01.02
-
홉스테드(Geert Hofstede)의 문화 차원 모델과 한국인의 사회 문화적 정체성2025.01.141. 홉스테드(Geert Hofstede)의 문화 차원 모델 홉스테드는 1967년에서 1973년까지 전 세계 50여 개국 국민들이 일하는 다국적 기업 IBM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각 국가별 가치관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나는 공통적인 문제점들을 1)권력거리(power distance), 2)집단주의 대 개인주의(collectivism vs. individualism), 3)불확실성 회피(uncertainty avoidance), 4)남성성 대 여성성(masculinity vs. femininity...2025.01.14
-
영유아들에게 성 고정관념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단어와 언어, 그리고 성역할 발달에 가장 중요한 요인2025.05.071. 성 고정관념 성 고정관념이란 특정 문화에서 남성과 여성의 행동양식, 외모, 감정 등에 대한 고정된 개념을 말한다. 이러한 성 고정관념은 개인의 행동을 억압하고 남녀 간 차이를 왜곡할 수 있어 위험하다. 중국의 한 자녀 정책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성 고정관념은 새로운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2. 영유아들에게 성 고정관념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단어와 언어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성차별적 표현에 노출된다. 인기 동요 '상어가족'에서 '어여쁜 엄마, 힘센 아빠'와 같은 표현을 듣고, 애니메이션 '뽀롱 뽀롱 뽀로로'에서도 여...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