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조선 시대의 국제 무역2025.05.081. 조선후기 국제무역 조선후기에는 자유로운 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상인들의 활약이 한층 더 활발해졌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조선후기에는 국내상업활동에 그치지 않고 국제무역을 통하여 이득을 올리는 경우도 매우 많았습니다. 조선후기에는 사적인 무역이 허용되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무역 활동에 참여하는 상인이 매우 많았습니다. 2. 만상 조선후기에 사적인 무역이 허용되는 가운데 국제무역을 통하여 이득을 얻은 대표적인 상인은 만상입니다. 만상은 국경지대인 의주를 무대로 활동하던 상인을 말하는데 의주의 만상은 중국과의 무역을 통하여 많은...2025.05.08
-
조선시대의 무역2025.01.221. 조선시대 상업 조선 시대에 상업은 농본주의 정책으로 크게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상업은 국내상업과 대외무역으로 구분되는데, 국내상업에는 도시상업과 지방상업이 있었습니다. 도시상업의 대표적인 것이 한양의 시전이었고, 지방상업에는 장시가 있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청나라와의 자유무역이 성행했습니다. 2. 중강개시 중강개시는 조선 시대 의주의 중강(中江)에서 중국과 공무역을 하던 국제시장이었습니다. 영의정 유성룡의 건의로 개설되었으며, 은, 구리, 무쇠 등을 교역했습니다. 그러나 폐단이 발생하여 선조 34년에 폐쇄되었다가 1년 후 다...2025.01.22
-
조선 후기의 상업2025.05.061. 조선 후기 상업 활동 조선 후기에는 자유로운 상업 활동이 많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시기에 보부상의 활동이 활발해졌는데, 보상은 비교적 값비싼 물품을 팔고 다니는 봇짐장수이고, 부상은 일용품을 팔고 다니는 등짐장수를 말합니다. 정조 때에는 신해통공이 발표되면서 자유로운 상업 활동이 완전히 정착되었습니다. 2. 조선 후기 국제 무역 조선 후기에는 청나라와의 무역, 일본과의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청나라와의 무역에서는 비단, 약재, 문방구 등을 수입하고 은, 종이, 무명, 인삼 등을 수출했습니다. 일본과의 무역에서는 인삼,...2025.05.06
-
무역계약의 인도조건2025.01.241. 무역계약의 인도조건 무역계약의 본질은 수출자가 적격품을 적기에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원만하게 구현하기 위해 무역계약에 정하는 사항이 인도(선적) 조건이다. 무역거래가 원거리 격지간에 발생하므로 계약품의 운송이 수반되어 간접인도계약의 성격을 띠게 된다. 간접인도계약 하에서 수출자가 계약품을 원만하게 인도하기 위해서는 인도시기, 운송구간, 운송방식과 인도장소, 운송계약의 체결주체, 분할인도여부 등을 결정해야 한다. 2. 인도시기 인도시기를 정하는 방법은 특정일을 지정하는 방식과 기간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기간을 설정하는...2025.01.24
-
상호수요설(상호수요이론)2025.01.201. 상호수요설의 주요 개념 상호수요설은 수요 ? 공급에 의한 무역 균형의 설명을 처음으로 전개한 이론으로, 밀(J. S. Mill)이 수요조건을 무역이론에 도입했다. 이 이론은 이후 마샬 ? 에지워드 등에 의해 오퍼곡선(Offer Curve)으로 발전되었다. 상호수요설은 양국 간의 무역이 이루어질 때 두 상품의 국제교환비율이 어떻게 결정되며 이 비율에 따라 무역이익이 어떻게 배분되는지를 설명한다. 2. 상호수요설의 예시 한국과 미국의 생산 능력을 가정할 때, 한국은 신발 생산에 비교우위를, 미국은 옷감 생산에 비교우위를 가진다. ...2025.01.20
-
2015년 12월 20일 한국ㆍ중국 FTA가 발효되었다2025.05.011. 한중 FTA의 의의 한중 FTA는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체결한 자유무역협정으로 2012년 5월에 양국 간의 협상이 개시된 이후로 2015년 11월 10일에 공식적으로 타결되었습니다. 한미 FTA 이후로 우리나라 체결하 가장 큰 규모의 자유무역 협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에 버금가는 경제 대국이 되었기 때문에 중국과 체결한 자유무역 협정은 우리나라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수밖에 없습니다. 1. 한중 FTA의 의의 한중 FTA는 세계 2위와 3위의 경제대국 간 체결된 자유무역협정으로, 양국 간 경제...2025.05.01
-
국제무역론2025.05.141. 제품수명주기설 제품수명주기설은 무역의 발생 및 형태를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분석하여 기술혁신과 그 변화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 중에 가장 중요한 이론이다. Vernon, Hirsch 등은 모방시차설을 발전시켜 제품의 생산기술이 변화함에 따라 무역의 형태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제품의 생산기술에는 신상품 도입단계, 성숙단계, 표준화단계 등 여러 단계의 생애(life cycle)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무역의 패턴이 결정된다. 2. 모방시차설 Posner, Hufbauer 등은 모방시차설을 주장하였다. 이는 새로...2025.05.14
-
우리 조상의 인삼 재배와 무역에 대해2025.01.021. 17세기 전반 인삼 무역의 특징과 개성상인 조선전기 인삼 무역은 사신이 중국으로 가는 사행을 통해 이루어졌다. 인삼이 명나라로 수출되는 방식은 사신이 중국 황실에 진헌하는 인삼, 사신들이 중국에서 판매하는 인삼, 중국 사신이 조선에 왔을 때 조선 정부가 선물로 주는 인삼 등이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명상인이 국내에 들어와 활동하면서 중강개시에서 중국과의 공무역이 이루어졌다. 청나라가 명나라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조선의 인삼 무역도 큰 변화를 맞이했는데, 후금에서 조선으로 인삼이 유입되면서 조선이 인삼 수입국이 되었다. 2. 17...2025.01.02
-
현대무역이론2025.01.181. 헥셔-오린 이론 헥셔-오린 이론은 동일한 상품에 대해서는 각국의 생산함수가 동일하고 각국의 수요조건(기호)이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비슷하다고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무역의 원리를 보다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현대무역이론에 있어서 하나의 특수한 경우에 불과하다. 2. 현대무역이론 현대무역이론은 공급조건과 수요조건을 모두 고려한다. 이를 통해 무역의 원리를 보다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현대무역이론에서는 양국의 생산가능곡선과 무차별곡선을 고려하여 무역의 발생 원리와 각국의 이익을 설명한다. 3. 비교우위 현대무역이론에 따르면, 양국 ...2025.01.18
-
고전적 무역이론(절대우위론, 비교우위론, 상호수요설)2025.01.201. 국제분업과 국제무역 한 사람이 필요한 모든 상품을 생산하는 것보다 각자가 가장 잘 만드는 상품을 생산하여 교환하면 훨씬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분업이론의 설명이다. 국제분업도 국내분업과 기본적으로 다를 것이 없다. 즉 한 나라가 가장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상품을 생산 특화한 후 무역을 통하여 다른 나라와 상품을 교환한다는 것이다. 2. 절대우위론(절대생산비설) 아담 스미스는 한 나라가 두 상품 중 하나를 외국보다 더 낮은 생산비로 생산할 수 있다면 그 국가는 더 낮은 생산비로 생산할 수 있는 상품에 완전 특화함으로...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