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5개
-
중앙대학교 3학년 1학기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2025.05.14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Common Emitter Amplifier를 설계하였다. 직류 전압에서의 회로에서 Vb, Vc, Ve를 측정한 후 Ic, Ie, Av를 구한 후 simulation 값과 비교하였다. 최대 오차율은 2.27%로 성공적인 실험이었다. 100kHz, 20 mVpp의 주파수를 넣은 실험에서도 같은 과정을 반복하였다. 오차율은 최대 3.21%로 만족스런 실험이었다. 2. BJT 동작 원리 EBJ는 forward bias, CBJ는 reverse bias에 두어 BJT를 active m...2025.05.14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2025.05.15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Digital Multimeter를 이용한 저항(2-wire 측정법, 4-wire 측정법),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을 익히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힌다. 측정 회로를 설계하고 실습을 통하여 확인한다. 2. 고정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저항(10kΩ, 1/4W, 5% 30개)을 측정하고, 평균값과 오차 분포도, 표준편차를 구한다. 식스시그마에 대해 설명한다. 3. 병렬 연결 저항 측정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측정하면 표준편차가 작아질 것이며, 이를 이론적으로 설명한다...2025.05.15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 (보고서 1등)2025.05.10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10kΩ, 1/4 W, 5% 저항 30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저항 측정 시 반드시 회로에서 분리해야 하며, DMM의 HI, LO 단자에 연결하여 측정합니다. 측정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오차 분포도를 작성했습니다. 또한 병렬 연결된 저항의 표준편차가 작아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 가변저항 측정 가변저항은 단자가 3개이며, 축을 돌리면 가운데 단자와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이 변하는 것을 설명했습니다. 3. 4-wire 저항 측정 4-wire 측정법을 사용하면 전선 저항의 영향...2025.05.10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1 결과보고서2025.01.201. DMM을 이용한 저항 및 전압 측정 이 실험에서는 DMM을 이용해 고정저항 및 가변저항의 저항을 측정하였으며, 가변저항에서는 어떤 단자를 연결하는지에 따라 저항 변화 여부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퍼선의 저항을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으로 측정함으로써 점퍼선 자체에 작은 저항이 존재함을 알고, 두 측정법 간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2. 건전지 전압 측정 건전지의 전압을 측정하였으며, 직렬과 병렬로 회로를 구성하여 직접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옴의 법칙이 성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DC Po...2025.01.20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예비보고서2025.05.12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저항(10 kΩ, 1/4, W, 5%, 30 개)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평균값과 오차 분포도, 표준편차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병렬 연결된 저항의 표준편차가 감소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2. 가변저항 가변저항의 구조와 단자 사이의 저항 변화 특성을 설명하였다. 3. 4-wire 저항 측정 4-wire 저항 측정 방식의 원리와 장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전선 길이가 변하면 저항이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였다. 4. 전압 측정 DMM을 사용하여 6 V 건전지와 DC 전원 공급기의 전압을...2025.05.12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2025.04.291. 저항 측정 실험을 통해 단일 고정 저항과 병렬 연결된 합성 저항의 측정값을 확인하였다. 단일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0.7% ~ 2.1% 이내로 나타났고, 병렬 연결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더 작아졌다. 이를 통해 저항 측정 시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가변 저항 측정 가변 저항의 경우 가운데 단자와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값을 더하면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이 나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가변 저항의 동작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다. 3.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 비교 저항 값이 작...2025.04.29
-
전기회로설계 및 실습_설계 실습8. 인턱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Transient Response)_결과보고서2025.01.211. 인덕터 인덕터란 에너지를 자기장의 현태로 저장하는 수동소자이다. 인덕터에 전류가 흐를 때 에너지는 LI^2/2이고 시간에 따라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는 각각 L*di/dt, I이다. 이처럼전압과 전류는 각각 지수함수의 형태를 띄고 있고 전압 최대치의 0.63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시정수라고 한다. 2. RL회로 RL회로에서 시정수는 L/R이므로 L=10mH, R=1kΩ에서 저항 값은 1kΩ이어야 한다. 가변저항의 저항 값을 측정하면 1.01kΩ이 된다. 인덕터의 저항을 측정하면 27.6Ω이다. 시정수는 9.6ms이...2025.01.21
-
저항의 종류 및 측정_결과레포트2024.12.311. 전자전기공학도의 윤리 강령 전자공학도로서 전자공학이 전 세계 인류의 삶에 끼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최고의 윤리적, 전문적 행위를 수행할 것을 다짐하고 있습니다. 공중의 안전, 건강, 복리에 대한 책임, 이해 상충 배제, 정직성, 뇌물 수수 금지, 기술의 영향력 이해, 자기계발 및 책무성, 솔직한 비평, 차별 금지, 도덕성, 동료애 등 10가지 윤리 강령을 준수하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2. 저항의 종류 및 측정 이 실험에서는 4개의 다른 색상의 저항을 사용하여 저항값의 범위와 실제 측정 결과를 확인하였습니다. 저항의 색띠 코드를...2024.12.31
-
기초 회로 실험 제 23장 평형 브리지 회로(결과레포트)2025.01.171. 평형 브리지 회로 이번 장에서는 평형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저항들 사이의 관계식을 입증하였다. 실험 결과 평형 브리지 회로 공식인 Rx = (Ra * Rb) / Rc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브리지 회로의 측정 범위를 30kΩ과 100kΩ까지 확장하기 위해 저항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와 이론치의 차이는 실제 저항, 전류, 전압 등의 값이 이론치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평형 브리지 회로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도 좋은 검류계, 정밀한 저항기, 가...2025.01.17
-
전압분배회로와 전류분배회로 실습2025.01.041. 전압분배회로 이번 실험에서는 100kΩ의 가변저항기를 사용하여 직류 전압을 2.5V와 7.5V의 비율로 분배하는 전압분배회로를 구성하였습니다.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실제 측정한 결과, V1은 2.48V, V2는 7.52V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전압분배회로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2. 전류분배회로 전류분배회로 실습에서는 100kΩ의 가변저항기를 사용하여 1mA의 전류를 3:2의 비율로 분배하였습니다. 저항값 계산 결과 R1은 44.4kΩ, R2는 65.1kΩ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전류분배회로의 설계 방법을 이...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