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0.1N NaOH, HCl 표준용액의 제조와 표정2025.01.281. 0.1N HCl 표준용액 제조 실험을 통해 약 0.1N 농도의 HCl 표준용액을 제조하였다. 먼저 약 0.1N 농도의 Na2CO3 표준용액을 만들고, 이를 0.1N HCl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HCl 표준용액의 농도계수를 구하였다. 이때 오차가 발생한 이유는 탄산나트륨 용액 제조 과정과 적정 과정에서의 오차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2. 0.1N NaOH 표준용액 제조 실험을 통해 약 0.1N 농도의 NaOH 표준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구한 0.1N HCl 표준용액의 농도계수를 이용하여 NaOH 표준용액의 농도계수를 구하였...2025.01.28
-
재결정 결과보고서2025.05.131. 재결정 재결정은 산-염기 성질을 이용하여 용해도가 비슷한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를 분리하여 순수한 물질을 얻는 실험이다. 재결정 실험은 원하지 않는 불순물이 포함된 경우 원하는 물질을 순수한 상태로 분리시키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2. 표준용액 제조 주어진 질량의 시약 A와 완전히 반응하는 데 필요한 시약 B의 질량을 계산할 때 질량 A→ 몰 A→ 몰 B → 질량 B의 순으로 계산한다. 실제 실험에서는 3 M NaOH 수용액을 제조하고 25 mL에 맞게 제조하였다. 3. 감압 여과 감압 플라스크의 가지에 감압기를 연결하면 빨아...2025.05.13
-
분석화학실험 과요오드산 표준용액 제조, 글리세린 정량 결과레포트 A+2025.01.291. 과요오드산 표준용액 제조 실험을 통해 0.03M 과요오드산 표준용액을 제조하였다. KIO4 약 1.725g을 H2O 200mL에 녹이고 3M H2SO4 10mL를 넣어 가온 용해시켰다. 이 과정을 총 3회 수행하여 과요오드산 표준용액의 농도를 평균 0.0380M로 결정하였다. 2. 요오드 표준용액 제조 실험에서는 0.1M Na2S2O3 용액과 0.05M 요오드 용액을 제조하였다. Na2S2O3 용액은 Na2S2O3·5H2O 6.3g을 H2O 250mL에 녹여 만들었고, 요오드 용액은 KI 1.3g, HCl 1M 3mL를 H2O...2025.01.29
-
0.1N HCl 및 0.1N NaOH용액 제조 및 표정 예비레포트2025.01.031. 0.1N HCl 용액의 조제 및 표정 이 실험의 목적은 산 표준용액을 만들고 순수한 염기를 사용하여 표정하는 것입니다. 염산 표준용액을 조제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염산용액을 직접 증류한 증류수로 묽혀 얻는 방법이고, 둘째, 순수한 염기성 고체를 정확히 무게를 단 다음 증류수로 희석한 후, 대략적으로 조제된 염산용액으로 적정하여 염산용액의 factor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후자의 방법을 사용하여 0.1N HCl 용액을 조제하고 KHCO3로 표정하였습니다. 2. 0.1N NaOH 용액의 조제 및...2025.01.03
-
기초분석화학실험 레포트_표준액 적정 및 역가 결정, 알칼리도 측정2025.01.211. 산-염기 적정 실험의 목표는 산 및 염기 표준용액의 제법과 지시약을 이용한 산-염기 적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그 응용으로써 용액의 pH에 따른 산-염기 지시약의 색 변화를 관찰하여 표준 용액으로 다른 용액의 농도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측정 용액의 농도와 제조 용액의 농도를 이용하여 역가를 계산합니다. 2. 알칼리도 측정 실험에서는 제조 및 검증을 마친 HCl 용액을 가지고 미지의 시료인 수돗물의 알칼리도를 측정합니다. 알칼리도는 산을 중화시키는 능력으로, 수소이온을 중화시킬 수 있는 이온량을 의미합니다. 알칼리도 측...2025.01.21
-
수원대학교 A+ 화학및실험2 적정 결과레포트2025.01.031. 적정 실험 적정 실험에서는 적정되는 물질의 성분과 적정하는 성분 사이의 화학량론적 반응이 완결되는 지점을 당량점이라고 하며, 이 지점을 알기 위해 지시약을 사용한다. 지시약의 색 변화로 적정액의 투입을 중지하는 지점을 종말점이라고 한다. 센산과 센염기, 약산과 센염기, 센산과 약염기의 중화 반응에 사용되는 지시약이 다르다. 약산과 약염기의 중화 반응은 당량점 부근에서 pH 변화가 크지 않아 거의 적정하지 않는다. 표준 용액을 만들 때는 농도, 분자량, 부피, 밀도, 순도 등의 정보를 이용한다. 2. 적정 실험 결과 분석 실험 ...2025.01.03
-
7주차 분석화학실험 EDTA 표준 용액 제조 및 표준화2025.01.241. EDTA EDTA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chelator)이며, 직접적정법, 치환적정법, 역적정법 등 다양한 적정법을 사용하면, EDTA로 주기율표 상 대부분의 원소를 분석할 수 있다. EDTA는 수소 이온을 받거나 내줄 수 있는 두 개의 아민 그룹과 네 개의 카르복실산 그룹을 가진 육양성자성 산(hexaprotic acid)이다. EDTA는 알칼리금속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과 1:1로 안정한 착물을 형성한다. 2. EDTA 표준용액 제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EDTA시약은 Na2H2Y∙2H2O (분자...2025.01.24
-
[식품분석실험 레포트] 0.1N 표준용액의 제조와 표정2025.05.131. 용량분석법(적정분석법) 용량 분석법이란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물질이 시료중의 목적성분과 당량점까지 반응하는데 사용된 부피를 이용해 목적성분의 함량을 구하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중화적정을 이용할 것이다. 2. 농도 단위 여러 가지 농도 단위에는 퍼센트 농도(%), 몰농도(M), 몰랄농도(m), 노르말농도(N) 등이 있다. 노르말농도(N)는 용질의 g당량수/용액의 부피(L)로 계산되며, 적정분석에 많이 쓰인다. 3. 표정 표정이란 용량분석에서 표준용액의 농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1차 표정에서는 순수한 물질을 이용하고, 2차 ...2025.05.13
-
표준 산-염기 조제 및 표정 결과 레포트2025.01.031. 산-염기 표준용액 제조 및 표정 이 실험의 목적은 산, 염기 표준용액을 만들고 정확한 농도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표정하는 것입니다. 실험 방법으로는 KHCO3와 NaOH 용액을 제조하고 미지의 HCl 용액을 사용하여 3회 반복 적정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결과, KHCO3를 이용한 HCl 표정에서는 4%의 오차율이, NaOH를 이용한 HCl 표정에서는 2.5%의 오차율이 나왔습니다. 이러한 오차 원인으로는 정확한 색 변화 구분의 어려움과 뷰렛 세척 과정에서 발생한 시약 농도 변화 등이 고려되었습니다. 1. 산-염기 표준용...2025.01.03
-
ICP/AES를 이용한 CU 분석2025.04.261. ICP/AES의 원리 및 활용 ICP/AES는 들뜬 상태의 원자나 이온이 방출하는 빛을 측정하여 시료를 정성 및 정량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액체 시료를 고주파 유도 코일에 의해 형성된 아르곤 플라즈마에 주입하면 시료가 원자화, 이온화되어 들뜬 상태가 됩니다. 이 들뜬 상태의 원자나 이온이 바닥 상태로 이동하면서 방출하는 발광선의 강도를 측정하여 원소를 분석합니다. ICP/AES는 토양 시료 중 비소 분석, 할로겐 원소 측정, KP 수재 염화나트륨의 칼륨 불순물 측정 등에 활용됩니다. 2. 무기물 분석을 위한 전처리 방법 무기물...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