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전문학과 근현대 언어문화 연구
2025.11.12
1. 정약용의 농아광지와 송준길의 제망자문
정약용의 <농아광지>는 유배지 강진에서 어린 아들 농아의 죽음을 애도한 글로, 아버지의 애틋한 감정과 삶과 죽음의 역설을 표현한다. 송준길의 <제망자문>은 장성한 아들의 죽음을 다루며 하늘의 이치와 인간의 슬픔 사이의 괴리를 드러낸다. 두 글은 모두 자식을 먼저 잃은 아버지의 제문으로서 죽음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통해 시대를 초월한 감정의 진실성을 보여준다.
2. 이광수의 동포에고함과 친일 문제
1940년 이광수가 창씨개명 후 작성한 <동포에 고함>은 일본을 조국으로 삼고 내선일체를 주장하는...
2025.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