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오류 유형과 교육 방안2025.11.141.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음 체계 비교 한국어는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어는 단운모 10개, 복운모 13개, 비음 운모 16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어의 /ㅔ/, /ㅚ/, /ㅡ/ 발음과 상향이중모음 /ㅕ/, /ㅛ/, /ㅠ/, /ㅖ/, /ㅙ/, /ㅢ/는 중국어에 존재하지 않아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가 예상된다. 2. 중국어권 학습자의 모음 오류 유형 중국인 학습자들은 /ㅓ/를 /ㅗ/로 발음(재벌→재볼), /ㅡ/를 /ㅜ/나 /ㅗ/로 발음(오늘은→오눌), /ㅐ/를 /ㅏ/로 발음(논쟁→논장), /ㅔ/...2025.11.14
-
모음, 자음, 반모음의 음성학적 특징과 분류2025.11.171. 모음의 특징과 분류 모음은 성대를 진동시킨 호기가 조음기관에 의해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음으로, 구강의 모양에 따라 음색이 결정된다. 조음위치(전설, 후설, 중설), 개구도(개모음, 폐모음, 반개모음, 반폐모음), 입술 모양(원순, 평순)에 따라 분류되며, 비강 공명 여부에 따라 비모음과 구강모음으로도 구분된다. 모음은 유성음이며 자음과 대립된다. 2. 자음의 특징과 분류 자음은 날숨이 목이나 입에서 완전 또는 불완전한 장애를 받고 나는 음으로, 닿소리라고도 한다. 조음위치(양순음, 순치음, 치간음, 치경음 등 10가지)와 ...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