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라라랜드와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비교 분석2025.11.161. 아스펙트 비율과 시네마스코프 기법 라라랜드는 1.33:1의 시네마스코프 비율로 촬영되어 1930년대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1.37:1 아카데미 비율을 의도적으로 재현했다. 영화 초반 1.33:1에서 2.55:1로 확장되는 화면 전환은 흑백에서 컬러로의 변화와 함께 고전 영화에 대한 경의를 표현한다. 현대 영화가 1.77:1, 1.85:1, 2.35:1로 점점 넓어지는 추세와 달리, 라라랜드는 1950년대 고전 뮤지컬 영화의 미학을 강조하는 선택을 했다. 2. 롱테이크 기법과 뮤지컬 연출 라라랜드는 고전 영화의 특징인 롱테이크 ...2025.11.16
-
몽타주 기법이 인상적인 히치콕의 싸이코에 대한 분석2025.01.221. 몽타주 기법의 개념 에이젠슈테인은 몽타주 기법의 기본은 쇼트와 쇼트 사이의 충돌과 대립으로 제3의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만들어진 이미지를 묘사적인 쇼트로 연결하여 주는 것이 영화 표현의 기본 방법이라고 하였다. 쇼트의 특징은 충돌로 만들어지고 대립하는 두 장면이 충돌하는 것으로 새로운 표현을 할 수 있으며, 쇼트의 연결은 단순한 합이 아닌 제3의 의미를 만드는 창조라고 할 수 있다. 2. 알프레드 히치콕의 「싸이코」에 적용된 영상기법에 대한 분석 알프레드 히치콕은 영화사에서 가장 위대한 영화형식 창조자로 평가하고 있으며...2025.01.22
-
조던필 감독의 영화 '어스'를 통한 예술과 사회 메시지 분석2025.11.151. 현대 예술의 매체 변화와 오브제의 의미 예술작품은 작가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의식적 산출물이다. 과거 희곡, 에세이, 미술작품 등 클래식 장르에서 현대에는 영화, 음악, 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확장되었다. 정적인 미술작품의 오브제와 달리 영상의 오브제는 시간의 흐름을 담아 더 입체적인 의미를 전달한다. 영화는 시각이미지, 텍스트, 사운드를 조합하여 관객을 몰입시키고 작가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2. 조던필 감독의 독보적 영화 스타일과 특징 조던필 감독은 평범한 주인공이 사회적 현상으로 인해 비현실적 일상을 겪는 스...2025.11.15
-
영화 '현기증' 줄거리 요약 및 영상커뮤니케이션 분석2025.11.171. 영화 줄거리 및 감상 1958년 개봉한 히치콕 감독의 '현기증'은 고소공포증으로 인한 현기증을 겪는 전직 경찰 스코티가 대학 친구의 부인 매들린을 미행하면서 벌어지는 미스터리 로맨스 영화이다. 스코티는 매들린에게 첫눈에 반하지만, 그녀가 교회 종탑에서 자살하자 정신병원에 입원한다. 퇴원 후 매들린과 똑같은 외모의 주디를 만나 그녀를 매들린처럼 변화시키려 하는데, 사실 이 모든 것은 개빈이 꾸민 음모였다. 결국 주디는 종탑에서 떨어져 죽으며 영화는 끝난다. 2. 영상미학 및 촬영기법 히치콕 감독은 스코티의 고소공포증으로 인한 현...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