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성리학과 신진 사대부2025.11.131. 성리학의 전래와 발전 중국 남송시기 주자에 의해 성립된 성리학은 원나라 시기에 안향에 의해 고려에 전래되었습니다. 고려말엽에는 이제현, 이색, 정몽주, 정도전 등에 의해 발달했습니다. 정도전은 성리학을 옹호하면서 불교를 비판하고 '불씨잡변'을 저술했습니다. 성리학은 원나라에서 중심 학문이었으나 명나라 이후 쇠퇴했습니다. 2. 신진 사대부의 등장과 성장 고려 후기 원나라와 결탁한 권문 세족에 도전하는 새로운 사회 세력으로 신진 사대부가 출현했습니다. 성리학을 바탕으로 유교적 소양을 갖춘 학자 출신 관료들이었으며, 무신 집권기부터...2025.11.13
-
동서양고전의 이해와 비판적 사고2025.01.251. 신채호의 『조선상고사』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는 일제강점기에 대한민국(조선) 상고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학술 역사서이다. 신채호는 역사를 '아'와 '비아'의 투쟁으로 보며, 조선 문명의 기원, 시대상의 변천, 민족의식 및 주변 국가와의 관계, 조선의 지위 및 부흥문제 등을 서술하여 일제에 대항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사관은 독립운동의 근간이 되었으나, 현재 일부 친일 사학자들에 의해 폄하되고 있다. 2.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는 정의로운 국가와 국민들의 의식을 다루고 있다. 현실주의자 글라우콘의 관점과 소크라테스의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