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높임법: 종류, 체계, 문법 표지
2025.11.17
1. 상대높임법
상대높임법은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한국어 높임법 중 가장 발달된 형태입니다. 문장 끝의 서술어 어간 뒤에 종결어미를 붙여 표현되며, 격식체와 비격식체로 나뉩니다. 격식체는 공식적 상황에서 사용되고 비격식체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됩니다. 현대 한국어 교육에서는 격식체의 '합쇼체'와 '해라체', 비격식체의 '해요체'와 '해체'로 체계화하여 가르치고 있습니다.
2. 주체높임법
주체높임법은 문장의 주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이는 방법으로, 나이나 사회적 지위가 상위자일 때 사용됩니다. 서술어의 어...
2025.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