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8개
-
심장의 구조, 기능, 대동맥판막 협착증, 경피적 대동맥판막 치환술TAVI(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2025.01.171. 심장의 구조 심장은 흉골 아래 왼쪽 옆구리 쪽으로 향해서 위치한 기관으로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 등 네 개의 방으로 나뉜다. 우심방, 우심실이 약간 앞쪽으로 나와 있고 좌심방 좌심실은 약간 뒤로 누워있는 형태를 보인다. 피를 쥐어짜서 전신으로 보내야 하므로 심방보다 심실이 크다. 판막은 대동맥판막, 폐동맥판막, 승모판막, 삼천판막 등 4개의 판막으로 이루어져있다. 2. 심장의 기능 심장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전신으로 순환하게 하며 1분에 60~100 회 정도 수축한다. 우심방은 상대정맥, 하대정맥으로 들어온 정맥혈...2025.01.17
-
심장, 심폐소생술 관련 레포트 A+2025.01.231. 심장의 정의 및 구조 심장은 보통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로 1분에 60~80회 정도 수축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한다. 심장은 크게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에는 심방과 심실이 있고 이들 사이에는 판막이 있다. 왼쪽 부분은 신선한 혈액을 뿜어내고, 오른쪽 부분은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실은 혈액을 폐로 보낸다. 2. 심장의 기능 심장의 기능은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켜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다.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액이 한 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왼쪽 ...2025.01.23
-
e-cart 약물 정리2025.01.231. digoxin digoxin(250μg/1ml)은 세포막의 na+/k+ 펌프를 억제하여 심장근육의 세포내 칼슘농도를 높여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늘이고 비정상적인 심박동수를 조절한다. 급속 포화 요법(포화량 : 1.0-2.0㎎)은 1회 0.25-0.5㎎을 2-4시간마다 주사하며, 유지요법은 1일 0.25㎎을 투여한다. 부작용으로는 서맥 또는 빈맥을 포함한 심박동 장애, 혼돈, 발작 등이 있다. 2. cordarone cordarone(150mg/3ml)은 나트륨 및 칼륨 채널 억제, 알파 및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2025.01.23
-
협심증 케이스2025.01.031. 심장의 구조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 정도이며 보통 성인의 주먹크기만 하다. 심장은 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 아래쪽에 위치하며 좌우 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다. 심장은 심낭에 둘러싸여 있으며 장측심막과 벽측심막 사이인 심낭강에는 약 10~20mL의 심낭액이 있다. 심장 조직은 심외막, 심근, 심내막의 3개 층으로 구성된다. 2. 관상동맥 관상동맥은 대동맥 시작 부위인 대동맥판막 바로 위에서 나오며 왼쪽과 오른쪽, 2개의 가지로 나뉜다. ...2025.01.03
-
생리학 요점요약정리22025.05.011. 중추신경계통의 구조 및 기능 중추신경계통은 몸 안팎의 환경변화에 대하여 적절히 적응하도록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뇌(대뇌, 중뇌, 시상하부, 시상, 소뇌, 뇌교, 연수)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위별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대뇌는 지각, 청각, 시각, 후각 등의 중추와 운동중추를 가지고 있으며, 중뇌는 감각정보 전달, 눈의 움직임과 청각에 관여한다. 시상하부는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최고위 조절 기능을 하며, 시상은 감각정보 전달과 정서 반응 조절을 담당한다. 소뇌는 운동 조절과 몸의 평형...2025.05.01
-
심근경색, 심장, MI2025.01.281. 심장의 위치 심장은 가슴의 왼쪽에 위치하며, 흉골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2/3, 오른쪽으로 1/3이 위치한다. 심첨은 제 5늑골과 제 6늑골 사이, 제 5늑간과 흉골 중앙선상에 위치한다. 2. 심장의 구조 심장은 주먹만한 크기의 두꺼운 근육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방과 심실은 혈액이 섞이지 않도록 좌, 우 분리되어 있다. 심실에 비해 심방은 수축/이완 등의 움직임이 더 크다. 심장의 주기적인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액이 온몸을 순환하게 된다. 3. 심장의 위치 오해 환자가 심장에 통...2025.01.28
-
성인간호학 심부전 케이스2025.01.101. 심장의 정의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비교적 작은 근육기관으로, 크기는 보통 자신의 주먹만하다. 심장의 위치는 폐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종격동의 중앙에 있다. 심장에는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고, 1회 70cc 정도의 혈액을 내보내어 1분당 5L이상, 하루에 약 7,000L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 2. 심부전의 정의 심부전(心不全, Heart failure)은 심장기능부전으로 심장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가장 많은 원인은 심장의 비대로 인한 심부전이다. 거꾸로 심부전이 생기면 ...2025.01.10
-
심방세동 CASE STUDY2025.01.1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양쪽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 기관으로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횡경막 위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3개의 층(심외막, 심근, 심내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벽의 심낭(per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다. 심장은 중격(septum)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되며, 다시 위 아래의 심방, 심실로 나뉜다. 우심방은 신체를 돌고 온 정맥혈을 받으며, 우심실은 심실의 이완기 동안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여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낸다. 1...2025.01.11
-
해부학A+ / 심혈관계 & 림프계 / 요약집 / 핵심정리 / 인체해부학2025.05.061. 동맥(artery) 동맥은 심장을 나와 몸의 말단을 향해 나가는 혈관(원심성)이다. 벽이 두껍고 튼튼하여 혈압이 높으며, 중간막에 민무늬근육과 탄력섬유가 풍부해 신축성과 신전성이 좋다. 동맥은 대동맥, 중동맥, 소동맥, 세동맥으로 분류된다. 2. 정맥(vein) 정맥은 몸의 말단으로부터 심장을 향해 돌아오는 혈관(구심성)으로, 혈압이 낮아 벽이 얇다. 정맥은 혈액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판막이 있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3. 모세혈관(capillary) 모세혈관은 세동맥과 세정맥 사이의 매우 가는 혈관으로, 편평상피 한 ...2025.05.06
-
순환계통 간단 정리2025.05.041. 순환계통 순환계통은 인체의 각 부위에 혈액을 수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심장은 끊임없는 수축과 이완으로 혈액을 방출하며, 1분에 약 5리터의 혈액을 방출하고 1회 박동 시 75~80밀리리터의 혈액을 방출합니다. 심장은 근육으로 된 속이 비어있는 장기로, 무게는 250~300그램이며 정중선 상 2/3이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가로막 위에 얹혀있습니다. 심장의 위치는 둘째 갈비연골 위쪽, 왼쪽은 셋째~다섯째 갈비연골, 오른쪽은 복장뼈의 오른편에 위치합니다. 1. 순환계통 순환계통은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혈액이 심장...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