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Gram staining and microscopic observation2025.05.041. Gram staining Gram staining is a method used to classify bacteria into two main groups: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lies in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ir cell walls. Gram-positive bacteria have a thick peptidoglycan layer, while Gram-negative ba...2025.05.04
-
그람 염색을 통한 박테리아 분류 실험 결과2025.11.171. 그람 염색 (Gram Staining) 그람 염색은 박테리아를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구별하는 미생물학적 기법입니다. Crystal violet, iodine, ethanol, safranin의 4단계 염색 과정을 거칩니다. 그람 양성균은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으로 인해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그람 음성균은 얇은 펩티도글리칸 층과 지방질 외막으로 인해 에탄올에 의해 탈색되어 분홍색으로 염색됩니다. 이 차이는 세포벽 구조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2. 그람 염색 단계별 원리 Step 1 (Crystal violet): CV ...2025.11.17
-
그람 염색을 통한 박테리아 분류 및 원리2025.11.171. 그람 염색(Gram Staining) 박테리아를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분류하는 분별 염색 방법이다. 그람 양성균은 크리스탈 바이올렛-요오드 복합체가 세포벽에 남아 자주색으로 염색되고, 그람 음성균은 복합체가 씻겨나가 사프라닌으로 분홍색으로 염색된다. 이 차이는 두 균의 세포벽 구조 차이에서 비롯된다. 2.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 구조 그람 양성균의 세포벽은 80~90%가 펩티도글리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막이 없다.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이 10~20%만 존재하고, 인지질, 리포폴리사카라이드,...2025.11.17
-
미생물학 실습 평판계수법과 catalase test 레포트2025.01.031. 평판계수법 평판계수법 실험에서 학생들이 진행한 실험의 결과에 문제가 생겨서 결과확인이 미뤄졌다. 따라서 평판계수법 실험에 문제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 원인을 생각해보면, 처음에 agar가 다 마르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평판계수법을 통해 구한 E.coli 개수를 구하여 CFU/ml 단위를 기록하였다. 2. catalase test catalase test에서는 S.aureus와 E.coli를 도말한 슬라이드 글라스 둘 다 거품이 생성된 조가 있는 반면에 S.aureus만 거품이 생성된 조가 있었다.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