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조직원들의 감정 노동 현장과 해결책2025.05.091. 감정 노동 감정 노동이란 실제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는 무관하게 직무를 행해야 하는 감정적 노동을 의미하며, 이러한 직종 종사자를 감정 노동 종사자라고 말한다. 감정 노동자들은 직업상 속내를 드러나지 않은 채 다른 표정과 행동으로 손님을 대하며 감정관리활동이 직무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감정 노동자들은 직무에 따른 감정을 조절하기에 스스로 감정부조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감정적으로 소진되며 심리적 불만감을 느끼게 된다. 2. 감정 노동자 보호법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조치 등)에 따...2025.05.09
-
직장 내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기업들의 다양한 제도, 활동, 프로그램2025.05.161. 직무 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가 요구하는 것이 노동자의 능력, 자원 또는 요구를 충족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해로운 신체적, 정신적 반응을 의미한다.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관점이 소개되었다. 2.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EAP)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EAP)은 직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근로자를 돕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 및 정책을 의미한다. 고용주가 근로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이 소개되었다. 3. 선진국의 EAP 도입 사례와 효과 EAP는 1970년대 미국 등 유럽 선진...2025.05.16
-
EAP(근로자지원프로그램) 연구2025.11.161. EAP의 개념 및 정의 EAP(근로자지원프로그램)는 1970년대 미국에서 알코올 중독 근로자의 회복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시작되었다. 미국 근로자지원전문가협회(EAPA)는 EAP를 생산성 문제, 건강, 부부·가족, 법적·재정적 문제, 알코올·약물, 정서, 스트레스 등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자 문제 해결을 위한 기업 기반 프로그램으로 정의한다. 국내에서는 심리상담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으로 이해되며, 근로기준법 제83조에서는 직무수행 및 일상생활 스트레스 해결을 지원하는 전문가 상담 서비스로 정의한다. 2. EAP의 필요...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