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관세법에서의 납세의무자2025.01.161. 납세의무자 관세법에 따르면 납세의무자는 크게 원칙적 납세의무자, 연대납세의무자, 납세보증자, 제2차 납세의무자로 구분됩니다. 원칙적 납세의무자는 수입신고를 하는 화주이며, 연대납세의무자는 수입신고인, 납세보증자는 납세보증보험회사 등입니다. 제2차 납세의무자는 해산한 법인의 청산인 등입니다. 또한 화주가 불분명한 경우, 수입을 위탁받아 대행수입한 업체, 송품장상의 수하인, 양수인, 실수요부처의 장 등이 납세의무자가 될 수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선(기)용품, 보세구역 외 작업물품, 보세운송물품 등의 경우에도 별도의 납세의무자가 규...2025.01.16
-
무역법규 - 대외무역법, 관세법, 외국환거래법2025.01.251. 대외무역법 대외무역법은 대외 무역을 진흥하고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여 국제 수지의 균형과 통상의 확대를 도모함으로써 국민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외무역법은 수출입 거래 전반을 총괄하는 수출입 기본질서의 관리를 위한 기본법으로, 수출입 거래 품목 관리, 수출입 공고, 거래 형태와 상대방에 따른 요건과 절차, 수출입 승인 및 인정, 전략물자 허가, 원산지 제도, 수출입 실적과 외화 획득용 원료 및 기재 등을 관리한다. 2. 관세법 관세법은 수출입 물품에 대한 관세 부과, 징수, 통관을 규제하는 법으로, 재정 ...2025.01.25
-
국내무역법규2025.01.181. 대외무역법 대외무역법은 무역의 주체에 대한 인적관리, 행정관리로서의 수출입 질서 유지, 객체에 대한 물적 관리로서 전략물자 수출입 공고 등을 규제하는 무역에 관한 기본법이다. 대외무역법은 거래 물품에 관한 수출입공고제도에 의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규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 수출입의 승인제도와 거래형태 및 수출입가격 등에 관하여도 규제를 하고 있다. 2. 관세법 관세법은 관세의 부과와 징수 수출입물품의 통관을 적정하게 하고 관세수입을 확보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관세법은 관세행정, 즉 관세의...2025.01.18
-
대외무역관리, 무역관리와 법규2025.04.281. 대외무역관리의 의의 무역관리(international trade control)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가 또는 정부가 대외무역거래에 대한 간섭이나 통제 및 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무역의 전부 혹은 일부에 대하여 총액, 내용, 시기, 결제방법 및 거래 대상국을 규제하는 것을 말한다. 즉, 특정 국가가 무역거래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대외무역의 질서를 유지하고, 자국의 수출을 촉진하며 수입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2. 대외무역법 대외무역법은 대외무역의 기본법으로 대외무역법과 대외무역법시행령, 대외무...2025.04.28
-
무역법규 ) 대외무역법에서 원산지 제도와 관세법에서 보세제도에 대한 설명2025.04.261. 원산지 제도 대외무역법에서는 원산지 제도에 대해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원산지 제도는 물품의 원산지를 판정하고 표시하는 제도로, 소비자 보호와 무역 질서 확립을 목적으로 한다. 대외무역법에서는 원산지 표시 대상 물품, 표시 방법, 표시 확인 및 검사, 표시 금지 행위, 원산지 판정 기준 등을 규정하고 있다. 2. 보세제도 관세법에서는 보세제도에 대해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보세제도는 수입신고가 완료되지 않은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제도로, 관세 징수권 확보와 통관 업무 효율화를 목적으로 한다. 관세법에서는 지정보세구...2025.04.26
-
우리나라의 무역관련법규2025.01.211. 대외무역법 대외무역에 관한 일반법이며 기준법인 대외무역법이 있다. 대외무역법은 대외무역을 진흥하고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여 국제수지의 균형과 통상의 확대를 도모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관세법 관세법은 관세의 부과 ? 징수 및 수출입물품의 통관을 적정하게 하며 국민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고 관세수입의 확보를 기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관세법은 관세의 과세와 징수 및 통관의 규정을 핵심으로 한 제도로서 국제관세협력, 운송기관, 보세구역, 운송, 관세사, 관세공무원의 직권, 벌칙, 조사와 처분...2025.01.21
-
대외무역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관세법의 성격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61. 대외무역법 대외무역법은 한국의 대외무역을 관리하는 기본 법률이며, 1945년 해방 이후 미군정령의 대외무역규칙이 효시가 되었다. 이후 1957년 무역법이 제정되었고, 1967년 무역거래법, 1987년 대외무역법으로 발전해왔다. 대외무역법은 수출입관리를 위한 기본법이자 국제성과 최소한의 무역규제를 특징으로 한다. 대외무역법은 무역진흥과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을 목적으로 하며, 관련 법규와 행정체계를 갖추고 있다. 2. 관세법 관세법은 조세법적, 통관법적, 형사법적, 통칙법적, 국제법 수용적, 행정법적 성격을 가진다. 관세법은 관세...2025.01.26
-
무역의 개념과 절차(수출입절차)2025.01.291. 무역의 개념 무역은 국가 간 상품과 서비스의 교환 또는 매매를 의미하는 국제상거래이다. 무역의 용어는 'International Trade'와 '貿易'로 불리며, 최근에는 '통상'이라는 말로 대체되고 있다. 무역은 관세법과 대외무역법에 따라 정의되며, 수출입 거래를 통해 성립한다. 2. 수출절차 수출절차는 계약체결을 위한 준비, 수출계약의 성립, 수출계약의 이행, 계약 종료 및 클레임 처리 등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수출마케팅조사, 거래상대방 물색 및 신용조사, 매매계약서 작성, 수출승인 및 무역금융, 수출통관 및 선적, 수출대...2025.01.29
-
수입통관절차2025.01.191. 수입신고 수입통관이란 수입신고를 받은 세관장이 신고사항을 확인하여 일정한 요건을 갖추었을 때 신고인에게 수입을 허용하는 것으로 수입신고 사항과 현품이 부합한지 여부와 수입과 관련하여 제반 법 규정을 충족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외국물품을 내국물품화하는 행정행위이다. 수입신고는 신고시점에 과세물건이 확정되고 신고일에 시행되는 법령(세율, 과세환율, 감면규정 포함)이 당해 수입물품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 가격신고 가격신고제도란 관세의 신고납부제를 실시함에 따라서 납세의무자는 납부하여야 할 관세액을 스스로...2025.01.19
-
[통관행정] 수출입통관(수입통관, 수출통관), 간이통관2025.01.291. 수입통관 수입통관이란 외국물품의 국내반입과 관련하여 각종 법령상의 규제사항을 확인 ? 집행하는 것으로 수입승인사항 또는 관련 법규의 인 ? 허가사항 등의 제반사항과 세관에 신고된 사항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입신고에 대한 수입신고수리라는 유효한 행정행위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수입통관의 기능은 관세법 기타 수입과 관련된 각종 법령에서 정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해서 적법여부를 확인하여 수입여부를 결정하고, 수입 관련 법령상 규제내용을 신고내용과 현품에 의하여 확인함으로써 실물에 입각하여 수입내용을 확인하며, 수입물품에 관세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