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526개
-
임신성 당뇨와 임신성 고혈압의 간호진단2025.05.021. 임신성 고혈압과 임신성 당뇨의 간호진단 1.1. 임신성 당뇨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에 발견되거나 생긴 내당능 이상으로 정의된다. 대부분 증상은 없으며 산전 검사를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목표 혈당은 공복 시 95mg/dL 미만, 식후 1시간 140mg/dL 미만, 식후 2시간 120mg/dL 미만이다. 전문 영양사와 영양상담 후 식사요법을 시행하며, 식사요법만으로 혈당조절이 되지 않으면 인슐린을 투여한다. 경구 혈당 강하제는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산전 진단은 하루 1회 같은 시간에 혈당 체크와 당뇨 검사를 통해 ...2025.05.02
-
치질 간호진단2025.03.191. 서론 치질은 항문 및 직장의 정맥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부풀어 오른 상태이다. 치질의 원인으로는 복압 상승, 변비, 장기간 서 있기, 임신 등이 있으며, 출혈, 통증,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치질은 직장 수지 검사, 직장경 검사 등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구분되며, 증상 정도에 따라 선택한다. 내과적 치료로는 식이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고, 외과적 치료로는 고무밴드 결찰술, 레이저 수술, 치핵절제술 등이 있다. 치질 수술 후에는 통증 관리, 자가 관리 교육, 스트레스와 안위 관리...2025.03.19
-
ankle fusion2024.11.131. 근골격계 손상과 관련된 보행장애 1.1. 간호사정 대상자의 기능적 상태 및 보행능력에 관한 정보를 사정하였다. Subjective data에 따르면 대상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 것이 힘들긴 한데 이렇게라도 운동해야지"라고 말하며 보행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Objective data에 따르면 대상자는 지난 6월 23일 우측 발목 관절 융합술을 받았으며, 보행이 원활하지 않아 이동식 변기를 사용 중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수술 부위에 냉찜질을 유지하고 있으며 휠체어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2024.11.13
-
근골격계 캐이스2024.12.151. 간호과정 1.1. 간호과정1 간호과정1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사정하고 분석하여 간호진단을 내리며, 이에 따른 간호목표와 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간호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간호과정은 크게 5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첫째, 간호사정 단계에서는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둘째, 간호진단...2024.12.15
-
자연분만 progress note2024.08.201. 서론 1.1. 배경 배경은 정상분만의 중요성과 관련이 있다. 정상분만은 산모와 태아에게 가장 이상적인 분만 방법이다.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정상분만은 산모와 태아에게 수술적 개입이 최소화되고, 산모와 태아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모자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 최근 산모들의 건강한 분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정상분만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의학기술의 발달과 의료 환경의 변화로 인해 제왕절개 분만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정상분만의 장점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정상분만은 산...2024.08.20
-
empyema2025.07.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농흉(Pleural Empyema)의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흉막은 허파와 흉곽을 둘러싸고 있는 두 겹의 막으로, 그 사이에 약간의 액체가 차 있어 호흡하는 동안 윤활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흉막강 내에 농(pus)이 차게 되면 폐의 확장을 저해하여 흉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흉막의 질환인 pleural empyema는 원인으로 폐렴, 폐농양, 흉막삼출액의 감염 등이 있으며, 발열, 오한, 야간발한,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항생...2025.07.07
-
비골골절 동반한 경골하단의 골절2025.03.201. 서론 비골골절 동반 경골하단 골절은 최근 교통사고의 증가 및 스포츠 활동의 대중화로 인해 그 발생 빈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경골은 피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손상 시 개방성 골절이 생기기 쉬우며, 광범위한 연부 조직 및 골막 손상으로 인해 골수염 및 골유합 지연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골골절 동반 경골하단 골절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2. 비골골절 동반 경골하단 골절의 이해 2.1. 골절의 정의 및 분류 골절은 뼈 구조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2025.03.20
-
안위손상 간호2024.11.201. 간호진단과 간호사정 1.1. 고체온과 관련된 안위손상 고체온과 관련된 안위손상은 대상자의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피부가 홍조되고 열감이 있으며, 오한과 발열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고체온은 주로 감염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때 대상자는 자주 운다거나 보챌 수 있다. 간호사정 시,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로는 보호자가 "열이 떨어져도 또 올라가고 그러더라고요", "아이가 자꾸 보채요", "지금 아이 몸이 뜨거운데 열 한 번만 재주세요" 등의 진술을 확인할 수 있다. 객관적 자료로는...2024.11.20
-
낙상차팅2025.06.011. 낙상차팅 1.1. 상황별 사용하는 차팅 상황별 사용하는 차팅이다. 일반적으로 Dr.&Nr. rounding이 이루어지며, side rail을 유지하고 와상 상태 및 air mattress를 유지한다. 2시간마다 체위 변경 및 back care를 시행하고, 기저귀도 4시간마다 교체한다. 또한 morning care를 수행하며, L-tube를 유지하고 tube feeding을 한다. Foley cath와 u. bag도 유지한다.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하여 기록하고, 필요한 경우 의사에게 보고한다. 예를 들어, 와상 be...2025.06.01
-
담낭절제술 수술실2024.12.141. 서 론 1.1. 담낭절제술의 정의 담낭절제술은 담낭에서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해결하기 위해 담낭을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치료 방법이다. 보통 오른쪽 갈비뼈 밑을 절개하여 담관, 담낭과 관련된 정맥과 동맥을 결찰한 후 간후엽에서 담낭을 떼어내는 수술이다. 1.2. 담낭절제술의 필요성 담낭절제술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담석증 환자의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하다. 담석이 담관을 막거나 담낭벽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면 극심한 통증, 빈맥, 발한,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들은 환자의 삶의 질을 크...202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