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미생물학실험] 배지제작과 멸균법 A2024.09.261. 서론 1.1. 실험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세균의 증식, 보존, 수송 등을 위해 사용되는 액체 또는 고형의 재료인 배지를 제조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배지는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번 실험을 통해 미생물의 배양을 위해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인 배지를 습열멸균하여 제조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1.2. 실험의 중요성 생장은 그 생물의 종에 따라 영양분의 적정 농도 외에도 산소 농도, 습도, pH, 온도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미생물의 생장에 필요한 주요 영양분은 단백질, 당질, 물과 비타민...2024.09.26
-
staphylococcal scald2024.10.271. 포도상구균의 특성 1.1. 정의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은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 epidermidis) 및 스타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커스(S. saprophyticus)의 세 종류를 총칭해서 일컫는 직경 0.8~1.0㎛의 그람양성구균이다. 이들은 포도송이상으로 배열하는 특성을 보이며, 편모가 없고 아포를 형성하지 않는다." 1.2. 감별 검사 3종의 포도상구균 가운데 황색포도상구균은 사람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병원성을 나타내므로, 검사재료에서 분리한 포도상구균이 황색포도상구균인지 ...2024.10.27
-
보고서개요쓰는법2025.05.181. 서론 1.1. 균 명명법에 대한 탐구 배경 인체 내의 많은 미생물들이 비만, 당뇨, 아토피 같은 질환과도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최근에는 노화와 정신질환 등도 인체 내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인체 내 미생물들이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실제 필자가 실험했었던 해당화 추출물의 항균실험을 하다가 왜 하필 수많은 균들 중에서 이 두 균으로만 실험을 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생겼고, 이를 알아보기 전에 균들을 명명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하고 싶었기 때문에 균...2025.05.18
-
천연항생물질 비교2024.08.271. 서론 1.1. 연구 동기 및 목적 새로운 감염병의 등장과 더불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개인 및 공공위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손 씻기가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시간적 제약 등으로 인해 실행이 어려워짐에 따라 손소독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같이 화학 성분에 대한 부작용 우려가 높아지면서 천연물질을 이용한 항균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해조류를 활용하여 천연 항균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해조류는 바다에서 쉽게 구할 수 ...2024.08.27
-
천연항생물질을 이용한 항생능력 확인 실험 방법2025.06.151. 서론 얼마 전 유독성 가습기 살균제 때문에 무고한 소비자들의 생명을 앗아갔던 '옥시 가습기 살균제'사건은 소비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들 가습기 살균제에 쓰인 살균물질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MG)과 염화 올리고-(혹은 2-)에톡시에틸 구아니딘(Oligo(2-)ethoxy ethoxyethyl guanidine chloride; PGH)이고,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은 다른 살균물질과는 다르게 피부독성이 1/5에 불과해서 다른 제품에도 많이 쓰이는 물질이였으나, 이 물...2025.06.15
-
천연 항생물질 실험2025.03.311. 서론 1.1. 동기 및 목적 최근 몇 년간 항생제의 오남용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경미한 질병에도 항생제를 복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천연 항생물질의 항생 효과를 비교 분석을 통해 천연 항생물질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실험하고 항생제 오남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들을 탐구해보고자 했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을 통해 생명과학1에서 배우는 세균성 질병 치료에 쓰이는 항생제를 쓸 때의 적절한 용법과 용량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실험을...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