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형태소와 단어2025.05.071. 서론 국어학은 언어학과 마찬가지로 국어를 어떤 각도에서 다루며 어떤 영역을 다루느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뉠 수 있다. 그래서 좀 더 구체적으로 나눠보자면 음운론, 문법론, 계통론, 방언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문법론은 다시 형태론과 통사론으로 나뉘는데, 형태론을 '문장의 재료학'이라 한다면 통사론은 '문장의 건축학'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형태론이라 함은 단어의 형태적 특성을 다루는 문법론의 하위 부문이다. 형태론의 문법단위는 형태소와 단어이다. 국어는 첨가어이므로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는 형태소들이 많고 각 형태소들의 기능...2025.05.07
-
한국어의 유형적 특징2025.05.181. 서론 한국어는 매우 다양한 유형론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한국어는 풍부한 교착적·통합적 어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는 어간, 접사, 어미가 결합되어 복잡한 단어 구조를 형성하며, 단일 단어 안에 문장의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안녕하십니까?"와 같이 어휘적 형태소와 문법적 형태소가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다. 또한 한국어는 목적어-타동사, 주어-자동사 구조가 단일 어형으로 통합되는 등 전형적인 교착어-통합어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둘째, 한국어는 주어-술어 구조와 주제-해설 구조가 공존하는 특징이 있다....2025.05.18
-
국어문법2025.06.171. 국어문법 1.1. 국어의 문법적 특성 국어의 문법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국어는 형태적 특성과 통사적 특성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고 하나의 문법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며, 유정명사와 무정명사의 구분이 중요하고 분류사가 발달했다. 또한 대명사의 쓰임이 극히 제한적이며 관계대명사, 관사, 접속사가 없다. 통사적 특성으로는 SOV형 언어이며 수식어-피수식어의 어순을 따르는 좌분지 언어이고, 피수식어와 동사가 문장의 끝에 위치하는 핵 끝머리 언어이다. 이와 함께 자유어...2025.06.17
-
국어문법2025.06.171. 국어문법 1.1. 국어의 문법적 특성 1.1.1. 형태적 특성 국어의 형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여 하나의 문법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유정명사와 무정명사의 구분이 중요하며 분류사(단위성의존명사)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대명사의 쓰임이 극히 제한적이고 관계대명사, 관사, 접속사가 없는 것도 국어의 형태적 특성이다. 국어에는 허형식(가주어), 잉여사(존재문)가 없으며 성, 수, 인칭 등의 일치현상도 없다. 또한 복수대상에 복수표지를 하지 않아도 되며 동사와 형용사가 ...2025.06.17
-
형태소2025.05.101. 서론 1.1. 형태소와 단어의 개념 형태소는 문법 단위 중 최소 단위로 의미를 가지는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이기 때문에 더 이상 쪼개면 그 의미가 없어진다. 형태소가 유의적 단위, 즉 의미를 가지는 단위라고 할 때의 의미란 어휘적 의미뿐만 아니라 문법적인 의미도 포함한다. 국어사전에서는 '흙, 얼굴, 나무'와 같은 어휘의 의미와 '책을, 밥을, 사람을'의 '을'이 목적어를 만들어 주는 문법적 의미, '뛰어라, 먹어라, 읽어라'의 '-어라'가 명령을 나타내 주는 문법적 의미를 규정해 주고 있다....2025.05.10
-
영어학개론 요약2025.07.181. 영어학개론 개관 1.1. 형태론: 단어의 구조 단어는 언어 지식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단어를 안다고 해서 언어를 완전히 안다고 할 수 없다. 단어를 안다는 것은 일련의 음의 연속이 특정 의미와 관련된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같은 음의 연속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이유는 음과 의미의 관계가 자의적인 결합이기 때문이다. 단어를 안다는 것은 음(발음)과 의미를 아는 것이며, 음과 의미의 관계는 자의적이기 때문에 동음이의어와 이음동의어가 가능하다. 단어는 음-의미 단위이며, 단어에는 음운 표기, 의미, 정서법이 포함되어 있다...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