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7개
-
생리학 노트정리2024.12.011. 심장과 혈관계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 구조 심장은 전신순환계와 폐순환계를 포함하는 폐쇄순환계의 중심기관으로, 심방과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방은 혈액을 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심실은 혈액을 높은 압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심장은 크게 네 개의 방(chamber)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상부 방이 심방이고, 두 개의 하부 방이 심실이다. 심방과 심실 사이에는 삼첨판막(우심방과 우심실 사이)과 승모판막(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이 있다. 이 판막들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2024.12.01
-
혈액 요약2024.10.121. 혈액과 조혈기관의 이해 1.1. 혈액의 구조와 기능 1.1.1. 골수 골수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혈액세포를 생산하는 조혈기관이다. 골수는 체중의 4~5%를 차지하며, 적골수와 황골수로 분류된다. 적골수는 활발하게 혈구를 생산하지만, 황골수는 대부분 지방으로 차 있어 혈구생성에는 별로 관여하지 않는다. 혈구는 태아기에는 간과 비장에서 생성되고, 임신말기에는 골수에서 생성된다. 골수에서 적혈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철분, 비타민, 구리, 아미노산, 탄수화물 등과 같은 요소가 필요하다. 이런 물질이 부족하면 적혈구 생...2024.10.12
-
생리학 요점정리2024.10.091. 신경계통의 구조와 기능 1.1. 중추신경계통 1.1.1. 대뇌 대뇌는 인간의 사고, 운동, 감각 등 모든 활동과 인체의 변화를 관장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대뇌는 크게 왼쪽과 오른쪽 두 개의 대뇌반구로 구성되며, 세로틈새에 의해 양쪽으로 나뉜다. 이 두 반구는 뇌들보라는 신경섬유다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대뇌의 바깥층은 회색질로 이루어진 대뇌겉질이며, 안쪽의 층은 백색질이다. 대뇌겉질은 수의운동을 조절하는 운동영역, 후각, 시각, 미각, 청각 등의 모든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영역, 기억, 사고, 판단, 정서 등...2024.10.09
-
혈액학2024.08.151. 서론 1.1. 혈액의 구성과 기능 혈액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모든 조직에 필요한 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한 체액이다. 정상 성인의 혈액 부피는 약 6L이며, 이 중 45%가 유형성분이고 나머지 55%가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형성분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된다. 적혈구는 핵이 없는 원반형 세포로 헤모글로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조직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정상 성인 남성의 혈액 1mm³당 약 500만 개, 여성은 약 450만 개의 적혈구가 존재한다...2024.08.15
-
인체구조와기능 문제2024.10.201. 인체 구조와 기능 1.1. 심장혈관계통 1.1.1. 혈관 혈관은 심장과 더불어 순환계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혈관은 체내에서 혈액을 운반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크기와 기능에 따라 동맥, 정맥, 모세혈관으로 구분된다. 동맥은 전체 순환계에서 혈액을 심장으로부터 각 신체 기관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동맥에는 대동맥, 폐동맥, 대뇌동맥 등이 있으며, 이들은 원심성 혈액 운반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동맥의 벽은 강한 근육층을 가지고 있어 혈압의 변화에도 견딜 수 있다. 정맥은 각 신체 기관에서 혈액을 심장으로...2024.10.20
-
심장구조와해부생리2024.11.211. 심장과 혈관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장의 위치와 크기 심장은 가슴의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양쪽 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의 약 2/3는 정중선의 왼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심장의 아래쪽 부분인 심첨(심장끝)은 횡경막 위에 놓여 있다. 심장의 크기는 대략 주먹만 한 크기이며, 성인 여성의 경우 평균 255g, 성인 남성의 경우 평균 310g 정도의 무게를 가진다. 1.1.2. 심장의 내부 구조 심장의 내부는 심방과 심실의 4개의 방으로 나뉘어져 있다. 심장벽을 구성하는 내막, 심근, 외...2024.11.21
-
염료희석법 적분 원리 설명 및 활용2024.11.261. 염료희석법을 이용한 심박출량 분석과 의학적 활용 1.1. 심박출량의 정의 및 측정 방법 심박출량은 심장이 단위 시간, 보통 1분 동안 박출하는 혈액의 양으로, 심장이 제대로 혈액을 움직이는 펌프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단위는 mL/min 또는 L/min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심박출량은 심박수(heart rate, HR)와 일회박출량(stroke volume, SV)의 곱으로 정의된다. 심박수가 1분당 심장이 뛰는 횟수이고, 일회박출량이 심장이 1회 박동하였을 때 박출하는 혈액의 양인 것을 생각해 보면 ...2024.11.26
-
혈액 DNA 추출2024.11.131. 혈액, 조직, 타액에서 DNA 추출 1.1. 실험 목적 및 개요 이 실험의 목적은 혈액, 조직, 타액에서 DNA를 추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혈액에서 DNA를 추출하고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산물을 만든다. 둘째, 추출한 DNA의 PCR 결과를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한다. 셋째, 타액과 근육 조직에서도 DNA를 추출하고 이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생체 시료로부터 DNA를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확립하고자 한다. 이는 유전자 분석, 질병 진단, 친자 감별 등 생물학 및 의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2024.11.13
-
소용2025.03.161. 혈액의 구조와 기능 1.1. 혈액계 혈액, 골수, 비장, 간은 혈액계를 구성한다. 혈액계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혈액응고, 감염에 대한 저항능력 발휘와 같은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전혈(whole blood)은 혈장과 혈구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은 주로 물(92%), 단백질(7%), 그리고 항체, 효소, 영양분, 응고인자 등(1%)으로 구성된다. 혈구에는 혈소판, 백혈구, 적혈구가 있다. 백혈구는 무과립구(림프구, 단핵구)와 과립구(호중구, 호산구, 호염구)로 나뉜다. 적혈구는 세포막(5%)과 혈색소(95%)로 이루어...2025.03.16
-
아동간호학 전신홍반성루푸스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2025.02.271. 서론 전신홍반성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는 자가면역 질환의 한 종류로, 신체의 여러 부위에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키는 만성 진행성 질환이다. 주로 15~45세 여성에게 발병하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SLE는 증상과 진행 경과가 매우 다양하여 악화기와 완화기를 반복하는 특징을 보인다. 피부, 관절, 혈액, 신장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약물치료, 그리고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