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개
-
구강생리학 요점정리2024.08.311. 세포의 구조와 기능 1.1. 세포소기관의 종류와 기능 세포소기관의 종류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핵은 유전정보를 저장하는 기관이다. 미토콘드리아(사립체)는 세포호흡과 에너지 생산의 장소이자 ATP를 저장하며, 자가증식이 가능한데 이는 핵에 DNA가 있기 때문이다. 리보솜은 단백질 합성의 장소이다. 과립형질내세망은 단백질의 합성과 이동을, 무과립형질내세망은 지질 합성 및 칼슘 저장을 담당한다. 골지체는 물질의 저장고 역할을 하며, 용해소체(리소좀)는 가수분해효소를 함유하여 세포 내 소화작용과 해독작용을 한다. 중심소체는 세포분...2024.08.31
-
생리학 혈액생리2025.04.251. 생리학 혈액생리 1.1. 혈액의 일반기능 1.1.1. 가스대사 혈액은 허파꽈리로부터 각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한다. 혈액은 에너지 생성을 위한 산화작용에 필요한 산소를 각 조직으로 전달한다. 혈액은 허파를 통해 흡수된 산소를 몸의 각 부위로 운반하여 세포 호흡에 이용되게 한다. 혈액은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1.1.2. 영양소 운반 창자에서 흡수한 영양소들을 몸 각 부위의 조직으로 운반하여 세포들의 생존과 기능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혈액은 영양소의 운반체 역할을 수행하는데, 소화기관에서...2025.04.25
-
병리학 용어 정리2025.06.211. 병리학 용어 정리 1.1. 병리학의 영역 질병의 발병이나 예후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인은 내적요인, 병원체나 유해물질 등의 외적요인, 식습관, 운동, 흡연, 음주 등 생활습관요인이다. 생활습관을 개선함으로써 질병의 발병이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질환들이 있다. 괴사(necrosis)는 손상이 심해져 회복 불능 상태가 되면 살아 있는 개체 내의 세포나 조직이 죽는 세포내 국소적인 조직의 죽음을 의미한다. 세포자멸사(apoptosis)는 세포사 기전이 작용하여 일어나는 세포사로, 조직의 발생 및 분화 과정이나 신체의 항상성 유...2025.06.21
-
혈전증 환자 교육 및 항혈전제 개발 현황2025.06.111. 혈전증 환자 교육 및 항혈전제 개발 현황 1.1. 혈전증 환자 교육 1.1.1. 교육적 요구 대상자 측면 혈전증 환자 교육에서 교육적 요구 대상자는 혈전증 환자와 그의 가족이다. 혈전증 환자는 자신의 질환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며, 올바른 치료 및 관리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또한 가족들도 환자의 질환과 치료과정을 이해하고 협조하여 돌봄에 참여해야 한다. 환자와 가족 모두가 혈전증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 관리 방법 등에 대해 심도 있게 교육받을 필요가 있다. 특히 항혈전제 복용, 금기사항, 부작용 관...2025.06.11
-
항혈전제 종류 및 환자 관리2025.06.161. 서론 1.1. 혈전증의 정의와 원인 혈전은 혈관 내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한다. 혈전증은 혈전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말한다. 혈전 색전증이라고도 하는데, 특히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힌 질환을 일컫는다. 혈전은 급성심근경색증, 뇌졸중, 폐혈전증, 심부정맥혈전증과 같이 생명에 영향을 주는 심각한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혈전증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혈류의 변화이다. 혈관 내에서 혈소판이 형성되면 혈류의 느림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혈소판과 백혈구가 혈관 주변에 축적된다. 둘째, 혈관 내벽의 손상...2025.06.16
-
항혈전제 종류와 개발 현황 및 관리2025.06.161. 항혈전제의 종류와 개발 현황 1.1. 항혈전제의 분류 1.1.1. 항응고제 헤파린 및 저분자량 헤파린은 혈액응고 과정에서 손상된 부위에서 내인성 경로와 외인성 경로로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혈액응고 반응을 억제한다. 헤파린은 주로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데 출혈의 위험으로 근육주사는 피하며, 치료적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활력징후, 혈색소 수치, 혈소판 수치, aPTT를 감시한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출혈, 골다공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있는데, 출혈 시 길항제인 protamine sulfate를 투여하면 신속히 지혈이 된...2025.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