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6개
-
수문사 생리학2025.04.121. 수문사 생리학 1.1. 중추신경계통과 말초신경계통 1.1.1. 중추신경계통의 발생 신경관을 형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발생 초기의 배아에서는 외배엽이라는 배아조직이 생기고, 이 외배엽에 신경판이라는 평평한 구역에 신경계통이 될 세포들이 위치하게 된다. 발생 23일쯤 신경관을 형성하기 시작하고, 발생 4주까지 신경관의 앞부분은 전뇌, 중간뇌, 후뇌라는 두뇌의 세부분으로 분리된다. 발생 6주에는 대뇌, 사이뇌, 중간뇌, 소뇌, 다리뇌, 숨뇌, 척수 7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발생 11주 대뇌는 다른 부위에 비해 주목할 만큼...2025.04.12
-
임상병리 국시2025.05.011. 혈액학 1.1. 혈액의 구성성분 혈액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혈액은 체중의 약 7%~8%를 차지하며, 성인의 혈액 총량은 4L~6L이다. 혈액은 크게 혈장,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은 54%, 적혈구는 45%, 백혈구와 혈소판은 약 1%를 차지한다. 혈장은 주로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전해질, 비타민, 호르몬, 효소, 항체 등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혈장 내 주요 단백질로는 알부민, 글로불린, 섬유소원이 있다. 적혈구는 혈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산소를 운...2025.05.01
-
종양 사전학습2024.10.181.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1.1. 혈액의 구성 혈액은 체액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종의 결합조직으로, 심장과 혈관을 통해 전신을 순환하며 혈장과 혈구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은 혈액에서 혈구 성분을 제거한 액체 부분으로, 전체 혈액의 약 55%를 차지한다. 혈장은 주로 물(92%)과 단백질(7%)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에서 생성되는 알부민은 혈장 콜로이드 삼투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다양한 호르몬, 영양분, 응고인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혈구(red blood cel...2024.10.18
-
생리학 혈액생리2025.04.251. 생리학 혈액생리 1.1. 혈액의 일반기능 1.1.1. 가스대사 혈액은 허파꽈리로부터 각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한다. 혈액은 에너지 생성을 위한 산화작용에 필요한 산소를 각 조직으로 전달한다. 혈액은 허파를 통해 흡수된 산소를 몸의 각 부위로 운반하여 세포 호흡에 이용되게 한다. 혈액은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1.1.2. 영양소 운반 창자에서 흡수한 영양소들을 몸 각 부위의 조직으로 운반하여 세포들의 생존과 기능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혈액은 영양소의 운반체 역할을 수행하는데, 소화기관에서...2025.04.25
-
수혈2025.07.101. 수혈 1.1. 수혈의 정의 수혈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을, 혈액이나 그 성분이 부족한 환자(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가지 이유)의 혈관 내에 주입하는 치료 방법이다. 수혈요법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생명을 위협하는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ABO부적합의 우려와 최근 급증하는 혈액을 통한 질병전파의 우려 때문이다. 1.2. 수혈의 목적 질병이나 손상으...2025.07.10
-
항혈전제 항혈소판제 항응고제2025.07.261. 서론 1.1. 항혈전제의 정의와 분류 항혈전제(抗血栓劑, antithrombotic)는 혈액이 묽어지도록 하여 혈전이 생성됨을 예방하는 약물이다.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로, 혈소판의 응집기능을 억제해 혈소판이 뭉치지 않도록 한다. 항혈전제에는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혈전용해제가 포함된다. 항혈소판제는 혈소판 응집을 방해해 혈전 생성을 억제하고, 항응고제는 혈액응고인자에 작용해 혈전 생성을 차단하며, 혈전용해제는 체내 단백성분 분해요소로 혈액응고로 형성된 덩어리를 녹이는 약물이다. 이와 같이 항혈전...2025.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