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6개
-
검사수치2024.12.251. 혈액 검사 1.1. CBC(Complete Blood Count) 검사 1.1.1. 백혈구(WBC) 백혈구(WBC)는 체내에 유입된 이물질이나 세균을 탐식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혈액 세포이다. 전체 백혈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상적인 WBC 수치는 4.0-10.0 x 10^3/μL 범위이다. 이 수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다양한 질병의 징후를 나타낼 수 있다. WBC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급성 감염, 외상, 순환 장애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2024.12.25
-
혈액검사 종류2024.12.261. 혈액 검사의 이해 1.1. 일반 혈액 검사(CBC) 1.1.1. 적혈구 적혈구는 순환하는 총 적혈구 수를 측정하는 검사로, 정상범위는 남자 450만~600만/mm3, 여자 400만~500만/mm3이다. 적혈구는 적혈구 속에 포함되어 산소를 운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혈색소를 가지고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에도 관여하며, 적혈구 하나에는 약 2억 8천만 개의 혈색소가 포함되어 있다. 적혈구의 증가는 탈수를 의미하며, 감소는 빈혈, 출혈, 골수 질환, 면역 질환, 독극물 섭취에 의한 적혈구 파괴를 나타낸다. 적혈구용적률(헤마토...2024.12.26
-
혈액검사 정상수치2024.11.181. 혈액 검사 1.1. 백혈구(WBC) 백혈구(WBC)는 체내에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침입했을 때 탐식과 식균작용으로 그들을 막거나 억제하는 주된 역할을 한다. 때문에 세균감염이나 염증이 진행이 골수 자극에 의해 백혈구 생산이 증대되어 혈중에 백혈구 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목욕 후나 자극적인 운동, 감정적 자극, 분노, 식사 등과 같은 생리적인 현상에 의해서도 일부 증가할 수 있다. 보통은 생리적 활동이 늘어나는 저녁이 아침보다는 백혈구 수가 약간 상승한다. 반대로 바이러스나 화학약품과 같은 자극요인에 의하여 골수에서의 백혈...2024.11.18
-
임상병리 국시2024.11.181. 혈액학 1.1. 혈액의 구성성분 혈액은 체중의 약 7~8%를 차지하는 중요한 체액으로, 성인의 총 혈액량은 4L~6L 정도이다. 혈액의 주요 구성성분은 크게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적혈구(erythrocyte)는 적혈구 내부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여 온 몸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체 혈액량의 약 45%를 차지한다. 백혈구(leukocyte)는 면역 체계를 담당하는 세포로서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단구, 림프구 등으로 구분된다. 혈소판(platelet)은 혈액 응고에 ...2024.11.18
-
혈액검사임상적의의2024.10.231. 혈액 검사 개요 1.1. 일반 혈액 검사(CBC) 1.1.1. 백혈구(WBC) 백혈구(WBC)는 신체 내 감염과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백혈구는 크게 중성구(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호산구, 호염기구의 5가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여 인체의 면역 기능을 담당한다. 정상범위는 성인기준 4.8-10.8 x 103/μL이다.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순환장애 등의 질병을 시사할 수 있다. 반면 감소하는 경우 세균감염, 약물 부작용,...2024.10.23
-
수혈의학2024.11.281. 혈액형 항원 및 항체 1.1. ABO 혈액형 1.1.1. ABO 혈액형 항원 및 항체 ABO 혈액형 항원 및 항체는 수혈과 장기이식에서 가장 중요한 혈액형이다. ABO 혈액형 항원은 적혈구 막에 존재하는 탄수화물 항원으로, A형은 N-acetylgalactosamine, B형은 D-galactose의 당사슬로 구성되어 있다. A형과 B형은 이러한 항원 구조가 유사하지만 말단의 당이 다르다. AB형은 A형과 B형의 항원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O형은 항원 결정기가 없는 구조이다. 이러한 ABO 혈액형 항원에 대응하는 항체...2024.11.28
-
식도정맥류 간호과정과 간성혼수 케이스 연구2024.10.311.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의 간호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저번처럼 기침할 때 침이랑 피가 같이 섞여서 나왔어요."라고 하면서 전에 입원했을 때보다 피가 더 많이 나왔다고 호소하였다. 또한 최근에 술을 많이 마셔서 그런 것 같다고 말하였다." 1.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는 내시경 검사 결과, 활력징후, 혈액 검사 결과, 복부 초음파 검사 결과, CT 검사 결과 등을 포함한다"" 내시경 검사 결과는 "E.Varix, F3CbLm RCS(+)"로 식도정맥류가 확인되었다"" 활력징후는 혈...2024.10.31
-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요약 정리2024.10.011.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1.1. 혈액검사 1.1.1. 전 혈구 검사(CBC) 전 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는 혈액 내 다양한 혈구 성분들의 양적 및 질적 정보를 분석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혈액학 검사이다.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 구성 성분들의 수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감염, 빈혈, 백혈병 등 다양한 질병들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된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노화되거나 파괴되면 비장, 간 등에서 제거된다. 적혈구 수(RBC cou...2024.10.01
-
항혈전제2024.11.081. 항혈전제 개요 1.1. 항혈전제의 정의 및 종류 1.1.1.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혈액의 응고능력을 감소시켜 혈관 내에 비정상적으로 일어나는 혈전의 형성을 방지하는 약물이다. 심방세동, 부정맥 등 심장의 이상이나 혈액응고장애, 혈관박리로 인한 뇌경색 환자들에게 선택적으로 투여되는 강력한 항혈전제이다. 혈전은 보통 혈관 손상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며 혈소판의 응집과 혈액 응고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혈관에 손상이 생기면 먼저 혈구 세포의 하나인 혈소판이 손상 부위에 부착되어 덩어리를 만든다. 그 후에 혈액 응고 단백질...2024.11.08
-
진단검사 임상적의의2025.06.231. 진단검사의 임상적 의의 1.1. 혈액검사 (Hematology) 혈액검사(Hematology) 혈액검사는 인체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데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혈액 내 다양한 성분들의 농도와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질병의 진단, 치료경과 모니터링, 그리고 건강상태 파악이 가능하다. 먼저 적혈구(RBC)와 관련하여, RBC 수치가 높은 경우 만성호흡기 질환, 탈수, 부신기능항진증 등을 의미하며, RBC 수치가 낮은 경우 각종 빈혈, 골수기능저하, 용혈성 빈혈, 출혈 등을 시사한다. 헤모글로빈(Hb) 수치 역시 이와 ...2025.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