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3개
-
stroke icu2025.02.271. 서론 뇌졸중은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 중 암 다음으로 많은 질환이다. 그중 뇌경색과 뇌출혈이 포함된 뇌졸중이 가장 큰 사망 원인이다. 최근 조사 결과, 뇌경색 비율이 뇌출혈에 비해 4.78배나 높아졌다. 이는 과거 뇌경색이 뇌출혈의 2.15배였던 것에 비해 2.5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즉, 우리나라의 뇌졸중 유형이 점점 서구화되고 있다. 이에 대해 사례연구를 통하여 뇌경색의 원인, 진단 및 치료 등을 알아보고, 고통받는 환자 및 가족들을 위하여 간호사례연구를 통해 이론과 실제를 적용하고자 한다. 2. 사례연구 개요 2.1....2025.02.27
-
ECMO2024.09.081. 체외막산소화장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1.1. ECMO의 정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심장과 폐의 기능을 보조할 목적으로 수일부터 2주간 심폐 우회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경부 또는 대퇴부의 혈관을 도관으로 사용한다. 심폐 부전 환자들이 자체 치유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심폐보조를 해주는 것이 ECMO의 주된 목적이다. 1.2. ECMO의 구성 1.2.1. Membrane Oxygenator Membrane Oxygen...2024.09.08
-
뇌혈관질환 뇌경색 간호2025.03.1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뇌경색은 1년에 인구 10만명 당 약 70명이 사망하며 50대 이후 사망원인의 1위를 차지한다. 뇌경색은 증상 발견 시 빠른 치료를 한다면 사망 등의 극단적인 결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뇌경색의 위급상황 발생 시 대처하는 기술과 간호에 대한 지식을 자세히 공부할 필요가 있다. 1.2. 문헌고찰 뇌는 우리 몸 속에서 산소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이다. 산소와 영양분은 동맥을 통해 뇌조직으로 들어온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2025.03.18
-
간호교육의 표준화2025.03.181. 간호교육의 표준화 1.1. 표준주의 종류와 적용 표준주의는 모든 환자로부터 나온 혈액, 혈액추출물, 체액 등은 HIV, B형 또는 C형 간염바이러스 등과 같이 혈액으로 전파될 수 있는 병원체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조심성 있게 취급하여야 한다. 병원에서 감염원으로 확인되거나, 확인되지 않은 모든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환자의 진단명과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며,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점막과 손상된 피부에 적용된다. 표준주의에는 손위생, 장갑, 마스크/보호장비, 가운...2025.03.18
-
폐색전증2025.03.051. 서론 폐색전증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지만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진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만 예후가 좋아질 수 있다. 폐색전증은 주로 하지의 심부 정맥에서 발생한 혈전이 이동하여 폐동맥 혈관을 막음으로써 발생한다. 미국에서는 연간 약 50만 명의 폐색전증이 발생하며 약 5만 명이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폐색전증은 심한 경우 환자가 사망할 수 있는 비교적 흔한 급성질환이지만, 정확한 진단 후 적절한 치료가 조기에 이루어진다면 예후는 그다지 나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2025.03.05
-
경동맥내막절제술2025.01.271. 경동맥내막절제술 1.1. 경동맥 협착증의 개념 및 원인 경동맥 협착증은 경동맥의 혈관벽 내에 지방이 축적되고 근육세포들이 증식하면서 혈관 내경이 좁아지는 상태이다. 경동맥은 흉곽 내 대동맥에서 목을 지나 안면과 두개골 내로 들어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된 혈관으로, 좌우에 각각 있다. 경동맥은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으로 나뉘는데, 외경동맥은 주로 두개골 밖 피부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여 좁아져도 큰 문제가 없지만, 내경동맥은 두개골 내 뇌나 신경조직에 혈액을 공급하므로 좁아지거나 막히면 뇌에 혈액공급이 감소하여 뇌졸중의 원인이...2025.01.27
-
가족간호2025.03.111. 가족간호의 개요 1.1.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소증상으로 암의 3대 주요 국소증상은 압박, 인접조직의 괴사, 폐색이다. 압박의 경우 부위에 따라 암의 초기에 나타나거나 진행된 후에 나타날 수 있는데, 복강 내 암은 크기가 아주 커져서 복주 장기에 영향을 미치기전까지는 특징적인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뼈에 생기는 암은 단단한 뼈가 늘어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조기에 통증을 일으킨다. 인접조직의 괴사는 암이 계속 성장하여 정상세포뿐만...2025.03.11
-
뇌경색간호2024.09.071. 뇌경색 사례 보고서 1.1. 뇌경색 정의 및 원인 뇌경색은 뇌를 관류하는 동맥에 협착(stenosis)이나 폐색(obturation)이 일어나며 뇌순환장애가 발생해서 뇌기능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의미한다. 뇌신경세포는 혈액을 통한 산소공급과 포도당을 이용해서 살아가는데, 어떤 부위의 혈류가 차단되어 지속되면 뇌경색에 이르게 된다. 뇌경색의 원인으로는 동맥경화증과 동맥염 등으로 인한 혈관벽의 찌꺼기 축적으로 혈류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와, 심장 등에서 떨어져 온 혈괴가 뇌혈관을 갑자기 폐쇄시켜 혈류장애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2024.09.07
-
뇌경색 문헌고찰2024.09.071. 뇌경색의 정의 1.1. 뇌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조직 손상 뇌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조직 손상은 뇌경색의 주요 병태생리이다. 뇌는 산소와 영양분을 동맥을 통해 공급받는데, 이러한 동맥이 폐색되면 뇌조직으로의 혈류 공급이 차단되어 뇌조직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손상된다. 동맥이 폐색되면 5분 이내에 뇌조직에 에너지가 고갈되어 세포가 죽게 된다. 이렇게 뇌조직이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는 상태를 뇌경색이라고 한다. 뇌경색은 대부분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발생하며, 때로는 혈관의 압박이나 혈관 폐쇄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2024.09.07
-
heparinization2024.12.251. 항응고요법(Heparinization) 1.1. 혈액 응고기전 혈액 응고기전은 혈관 손상 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으로, 혈소판 응집, 혈액응고, 섬유소 용해라는 단계적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혈액응고계와 섬유소용해계는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혈전형성 위험 인자들에 의해 이 균형이 깨지면 혈전 형성이 과도하게 일어나 혈전성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혈관 손상 시 혈관수축 반응이 먼저 나타난다. 다음으로 혈소판이 손상된 혈관 벽에 부착되고 서로 응집되면서 일시적인 혈소판 마개가 형성된다. 이후 혈액응고 과정...202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