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ECMO ICU2025.04.031. 서론 1.1. ECMO ICU 주제 소개 체외막 산소화 장치(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는 호흡기능이나 심장기능이 상실된 환자에게 적용되는 치료법이다. 산소화막장치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심장을 보조함으로써 가스교환 및 체외순환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처방전 없이는 사용할 수 없는 중요한 응급 치료 기술이다. ECMO는 심장수술에 사용되는 CPB(cardiopulmonary bypass)와 유사하지만, ECMO는 폐쇄적이고 장기적으로 적용되는 반면 CPB는...2025.04.03
-
심방세동 사례 연구 성인간호실습2024.09.2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방세동은 치료를 요하는 부정맥 중 가장 빈도가 높으며, 일반 대중의 1% 정도에서, 60세 이상에서는 4%까지 관찰된다. 최근 심방세동이 문제가 되는 것은 고령화 때문인데,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심방세동'의 유병률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아직은 1%에 불과해 대부분 위험성에 대해 잘 모르지만, 앞으로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심방세동의 합병증 중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합병증으로 심방 내 혈전이 생기면서 이로 인한 뇌졸중 등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그래서 사례연...2024.09.25
-
혈전성 정맥염2024.09.151. 정맥혈전증 1.1. 정의 혈전증이란 혈관 안에서 액체 상태로 흘러야 할 피가 핏덩어리로 굳어 혈관이 막혀 피가 흐르지 못하게 되는 질환을 말한다. 심장에서부터 동맥을 통해 나온 혈액이 여러 장기를 순환하고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는 길인 정맥 중 근육 깊은 곳에 있는 심부정맥에 혈전이 생겨 발생하는 증상을 심부정맥 혈전증이라고 한다. 또한 정맥주사를 투여 받은 환자의 약 65%에서 혈전성 정맥염이 나타난다. 심부정맥혈전증은 장골정맥, 대퇴정맥에서 호발하며 외과환자의 5%에서 나타날 수 있다. 심부정맥혈전은 혈전이 폐로 들어가 색...2024.09.15
-
폐색전증2024.11.061. 폐색전증의 개요 1.1. 정의 및 병태생리 폐는 몸에 필요한 가스 교환을 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이를 위하여 폐에는 우심실로부터 나오는 폐동맥이 폐 전체에 걸쳐 분지되어 있으며, 이후 모세혈관을 지나 가스 교환을 하고 난 후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대부분의 폐색전증은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의 혈괴가 골반이나 하지에서 떨어져 나와 대정맥과 우심방을 거쳐 폐동맥의 작은 혈관을 폐쇄한다. 환기가 정상적일지라도 폐동맥이 부분 또는 완전히 폐쇄되면 혈류가 감소되거나 정지되어 관류장애...2024.11.06
-
심방세동 사례 연구 분석2024.10.251. 서론 1.1. 문헌 고찰 1.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양쪽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 기관으로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횡경막 위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위치상 첨단부(Apex)는 좌측 제 5늑간 부위와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곳이며, 심저(Base)는 제 3늑간 부위에 위치하며 상대 및 하대 정맥이 유입되는 곳이다. 심장조직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심외막(epicardium)은 심장의 가장 바깥 층, 심근(myocardium)은 선 모양의 근섬유...2024.10.25
-
폐색전증2024.11.051. 폐색전증의 개요 1.1. 정의 및 원인 폐색전증은 색전에 의해 폐혈관의 일부가 막힌 상태를 의미한다. 폐색전증의 대부분은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의 혈전이 떨어져 나와 폐동맥을 막는 것이 원인이다. 심부정맥혈전증은 다리의 깊은 곳에 있는 정맥에 혈전이 생기고, 이것이 떨어져 나와 우심방,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으로 이동하여 폐혈관을 막는 상태를 말한다. 그 외에도 지방, 공기, 종양세포, 양수, 이물질, 주사된 입자, 감염성 섬유소 응고물, 농 등이 정맥계에 들어가서 폐색전증의 원인이 될 ...2024.11.05
-
폐색전증2024.10.191. 폐색전증의 정의 및 원인 1.1. 폐색전증의 정의 폐색전증은 폐동맥의 혈관이 막힌 상태로 정의된다"". 폐는 몸에 필요한 가스 교환을 하는 주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위해 폐에는 우심실로부터 나오는 폐동맥이 전체에 걸쳐 분지되어 있다. 이후 모세혈관을 지나 가스 교환을 하고 난 후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의 혈전이 골반이나 하지에서 떨어져 나와 대정맥과 우심방을 거쳐 폐동맥의 작은 혈관을 폐쇄하게 되면 이를 폐색전증이라고 한다""...2024.10.19
-
항응고요법을 받는 심방세동 환자2024.10.171. 심방세동의 정의 및 특성 1.1. 정의 심방세동은 심방 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 부위가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하는 상태로,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질환이다. 심방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데, 이에 대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고, 이로 인하여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1.2. 특징적 증상 심방세동은 심방 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 부위가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2024.10.17
-
DVT 케이스2024.12.151. 서론 심부정맥혈전증, DVT(Deep Vein Thrombosis)는 다리 깊숙한 곳에 있는 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것으로 이 혈전이 떨어져 혈류를 타고 폐로 들어가 혈류를 막게 된다면 치명적일 수 있다.""심부정맥혈전증은 좁고 불편한 비행기의 일반석(이코노미 클래스)에서 장시간 비행하면 피가 제대로 돌지 않아 다리가 붓고 저려 오며, 이것이 오래되면 혈액응고로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하여 요즘에는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이라고도 불리운다.""또한 현대인들은 회사에서 장시간 앉아서 일하거나 학생들의 경우도 책상에서 앉아 매일 긴 수...2024.12.15
-
성인간호학실습 폐색전증 사례 연구 A2025.05.211. 서론 1.1. 연구 필요성 폐색전증은 병의 원인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고 진단법과 치료법 또한 급속히 발달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까다로운 질환이다. 폐색전증은 증상이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진단을 쉽게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으며, 이로 인해 환자들이 큰 위험에 직면하기도 한다. 국내에서 폐색전증의 발생률은 정확한 통계가 나와 있지 않으나 실제 폐동맥 색전증의 발생률은 생각보다 상당히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0년 동안 폐색전증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진단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여...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