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5개
-
약리학 문제2024.11.081. 약물의 특성과 분류 1.1. 약물의 일반명, 상품명, 화학명 약물의 일반명, 상품명, 화학명은 의약품을 구분하고 약물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다. 일반명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명칭으로 화학구조나 약리 작용을 반영하며, 상품명은 제약회사가 지정한 상업적 명칭이다. 화학명은 약물의 화학 구조와 조성을 나타내는 명칭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을 추측할 수 있다. 이처럼 세 가지 명칭은 약물 정보를 제공하는 데 각자의 역할을 한다. 일반명은 약물의 성분과 작용을, 상품명은 약물의 상품화 정보를, 화학명은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내...2024.11.08
-
약물요법과 간호2024.10.171. 약물요법 1.1. 항정신병 약물 1.1.1. 정형항정신병약물 정형 항정신병약물은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뇌신경 전달물질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조현병을 치료한다. 이는 약리작용이 도파민 수용체 차단 작용에만 국한되었다는 뜻으로 정형 항정신병약물이라 부르며, 항정신병약물 중 먼저 개발된 약물이어서 제1세대 항정신병약이라고도 불린다. 정형 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 작용이 강하고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 작용은 미약하므로 양성증상을 치료하는 효과는 강하지만 음성증상에는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악화시키는 작용을...2024.10.17
-
양극성장애 수면장애2024.10.211. 양극성장애 개요 1.1. 정의 및 특성 양극성장애는 기분 장애의 일종으로, 조증(mania)과 우울증(depression)이 교대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양극성장애 환자는 기분의 극단적인 변화를 경험하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우선 양극성장애의 정의를 살펴보면, 양극성장애는 기분이 정상적인 수준에서 극단적으로 흥분되거나 침체되는 증상이 교대로 나타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 있는 정신질환이다. 이 장애는 개인의 기분, 에너지, 활동수준, 일상적 기능 등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한다. 삽화...2024.10.21
-
신경정신과 약물2024.09.101.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약물 1.1. 신경원과 신경교 신경원은 뇌는 약 1000억 개의 뇌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에 반응하는 흥분성과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여 서로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전도성이 있는 기능적 단위이다. 신경원의 주요 구조에는 수상돌기, 세포체, 축삭이 있다. 수상돌기는 신경원의 종류에 따라 형태와 수가 다양하며 나뭇가지처럼 뻗어 수많은 다른 신경원의 축삭종말이나 세포체 등과 시냅스를 이루어 받아들인 정보를 세포체에 전달한다. 세포체는 수상돌기와 축삭을 제외한 세포질과 핵이 있는 부분으로 신...2024.09.10
-
약은 우리몸에2025.06.131. 약의 일반적 특성 1.1. 약의 역사적 발전 오랜 세월 동안 치료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 포함된 식물이나 음식으로 병을 치료하였다. 하지만 산업화가 진행된 100여 년 전부터는 필요한 성분을 추출하여 아주 작은 어디서든 복용할 수 있는 약을 만들어냈다. 약은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고 질병에 걸렸을 때 빨리 치료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약의 종류가 너무 많고 성분이나 작용 메커니즘도 다 다르기에 약의 성질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대부분이 화학물질이며 생각지 못한 부작용도 엄청나다. 때문에 환자들에게 불안감을 줄 수 ...2025.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