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부정맥2024.10.111. 부정맥 1.1. 부정맥의 개념 부정맥은 심장 전도체계의 비정상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기 자극이 심장에서 만들어질 때나 그 전도 과정에 이상이 있는 증상을 말한다. 정상적인 경우 성인의 심박수는 분당 60~80회이며, 분당 60~100회까지를 정상 맥박이라고 한다. 하지만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박동수가 너무 빠른 빈맥과 너무 느린 서맥의 두 가지로 나뉜다. 빈맥은 심방 또는 심실에서 기원하며, 규칙적인 빈맥과 불규칙적인 빈맥으로 구분된다. 특히 심실에서 발생한 빈맥은 심실세동으로 진행될 수 있어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는 심...2024.10.11
-
약리학 약물정리2024.10.211. 신경계 약물 1.1. 도파민 작용제 도파민 작용제는 도파민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거나 도파민의 생성을 촉진하여 도파민 활성을 높이는 약물들이다. 이 약물들은 파킨슨병, 근긴장이상증, 우울증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레보도파(levodopa)는 파킨슨병의 가장 유효한 치료제로, 체내에서 도파민으로 전환되어 도파민 결핍을 보충한다. 레보도파는 벤세라지드나 카르비도파 등의 도데카르복실라아제 억제제와 병용하여 투여하여 말초조직에서의 대사를 억제하고 중추신경계로의 도파민 유입을 촉진한다. 초기에는 증상 개선 효과가 뛰어나지만 장기 투여...2024.10.21
-
부정맥 치료2024.10.211. 서론 간호학 321 심혜원 Package part.1에서 만나게 된 심혜원(F/56)님은 part.2에서 chest pain이 지속되어 CAG를 시행하였으나 part.3에서 찡그리는 표정과 끙끙거리는 소리를 내며 가슴이 빨리 뛰고 두근거린다고 호소하여 Patient monitor를 보며 cartoid sinus massage를 시행하였고 EKG 리듬과 HR이 서서히 느려지다가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심혜원님은 힘없는 목소리로 힘들다고 호소하였다. 현재 부정맥은 40세 이상 4명 중 1명에게 발생하는 흔한 질환이...2024.10.21
-
호흡기병동 실습2024.09.101. 호흡기계 병동 실습 1.1. 호흡기 관련 용어 및 약어 호흡기 관련 용어 및 약어는 다음과 같다. 용어 및 약어는 호흡기계 병동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들로, 이해하고 숙지해야 효과적으로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는 동맥혈 가스분석으로, 혈액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 pH 등을 확인하여 호흡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는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을 말하며, 폐에 중증의 염증반응이 발생하여 호흡...2024.09.10
-
심장내과 약물2025.06.191. 심장내과 약물 1.1. 칼슘 채널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는 혈관과 심장근육이 수축하는 데 필요한 칼슘의 이동을 막아주어 혈관을 확장시키고 심장박동 속도와 심장박동력을 줄이는 약물이다. 주요 약물로는 딜티아젬(diltiazem), 베라파밀(verapamil), 암로디핀(amlodipine) 등이 있다. 처방에 따라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며, 의사나 약사와 상의 없이 임의로 용량을 바꾸거나 중단해서는 안 된다.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목표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시적으로 혈압이 떨어질 수 있어 갑자기 움직이면...2025.06.19
-
심정지 문헌고찰2025.07.231. 서론 심정지는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여 발생하며 모든 생체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고 조직의 기능이 정지된다. 최근 들어 급성심질환 및 순환계질환이 사망 및 장애의 중요한 요인으로 차지하게 되었으며 사망원인 통계결과 암에 이어 뇌혈관질환과 심혈관질환이 2,3위를 차지하고 있다. 심정지는 심질환과 순환계질환의 심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고,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의 심한 손상이 야기되고 5분 이상 지속되면 사망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의료인이라면 심정지에 대한 대처방안은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 ...2025.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