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마취종류2024.10.211. 마취의 종류 1.1. 전신마취 1.1.1. 전신마취의 정의와 특징 전신마취는 뇌의 기능을 억제하여 의식, 감각, 운동 등의 소실을 유발함으로써 수술이나 시술 중 환자의 통증을 차단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방법이다. 전신마취에서는 의식과 감각이 없어지고 골격근이 이완되며, 폐환기와 심혈관계 기능의 손상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침이나 연하, 구토, 교감신경계 반응과 같은 체성 신경, 자율신경과 내분비 반응이 소실된다. 전신마취제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기도 내 흡입이나 혈관 내 주입 또는 밸런스 마취(정맥...2024.10.21
-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의식2024.09.051. 수술실 간호 1.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1.1. 소독간호사(Scrub nurse) 소독간호사(Scrub nurse)는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물품과 수술기구를 준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독간호사는 손소독을 하고 무균적으로 가운을 입고 장갑을 착용하여 수술부위를 제외하고 소독포로 덮는 것을 돕습니다. 수술과정 동안 무균술을 엄격히 지키며, 외과의에게 필요한 기구를 제공합니다. 또한 수술과정 동안 사용된 거즈와 바늘, 기구의 수를 순환간호사와 함께 정...2024.09.05
-
여성간호학 케이스2025.06.101. 문헌고찰 1.1. 임신오조증 정의 임신오조증이란 지속적이고 조절하기 힘든 구토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임신 전 체중의 5% 또는 그 이상의 감소, 탈수, 기아로 인한 산성증, 케톤뇨 상승, 위액의 염산 감소로 인한 알칼리증, 저칼륨증 등이 나타난다. 임신오조증은 간효소 상승으로 인한 간기능장애, 비타민 K 결핍으로 인한 응고장애, 그리고 비타민 B1결핍으로 인해 뇌병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침과다증(ptyalism) 등의 증상 또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 자체가 임부를 힘들게 할 뿐만 아니라 입원치료의 필요성과 태아...2025.06.10
-
간절제술 간호진단2025.05.211. 간호과정 1.1. 대상자 사정 대상자는 간암 진단을 받고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이다. 대상자의 주관적 호소로는 "수술한 데가 아파요.", "욱신거리고 정말 죽겠어요.", "간호사님 진통제 들어갔어요?"와 같이 수술 부위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객관적 자료를 통해 살펴보면, 대상자는 전신마취하에 개방형으로 간절제술을 받았으며 상복부에 절개가 있는 상태이다.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IV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를 적용하였고, 수술 직후 활력징후 상 혈압과 맥박이 수술 전에 비해 상승...2025.05.21
-
마취과 약물2024.09.101. 마취에 사용되는 약물 1.1. 흡입마취제 흡입마취제는 폐를 통하여 혈액으로 잘 용해되어 신속하게 작용하며 마취 유도 및 유지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주요 흡입마취제로는 세보플루란, 데스플루란, 아산화질소 등이 있다. 세보플루란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낮은 용해도로 인해 빠른 마취 유도 및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혈압과 호흡기계 억제를 동반한 심폐 기능 억제, 오심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마취의 회복이 빠르므로 통증 사정과 관리가 필요하다. 데스플루란은 또 다른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외상...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