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
-
복막투석2025.05.15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투석의 정의는 확산, 삼투, 초여과라는 원리에 의해 수분과 용질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확산은 환자 체내의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등의 노폐물과 전해질을 제거하며, 삼투는 환자 체내의 과다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초여과는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반투막을 통한 수분의 이동으로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혈액 투석 시에는 인공 콩팥기에 있는 투석막을, 복막 투석 시에는 배안을 둘러싼 복막을 반투막으로 이용한다. 1.2. 투석의 목적 투석의 목적은 혈액요소질소와 ...2025.05.15
-
투석적절도2025.05.221. 투석적절도 1.1. 투석 전, 후의 혈중 요소 질소 투석은 환자의 몸집 크기, 식사량, 운동량, 잔여 신기능 등에 따라서 그 요구량이 다르고 같은 환자라도 상태 혹은 상황에 따라 필요한 투석량이 달라지게 된다. 투석 전후에 혈중 노폐물 농도를 측정하여 계산하면 환자마다 행해지는 현재 투석의 정도가 적절한지 파악할 수 있다. 객관적인 지표가 되는 검사는 처방된 투석의 용량이 적절한지에 대한 적절도(Kt/V) 검사이다. Kt/V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마다 측정하는 검사에 해당하며 Kt/V는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신...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