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비중시험 및 함수비2024.10.041. 토질역학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흙의 함수비 실험의 목적은 흙 지반이 흙 입자, 물, 공기로 이루어진 삼상 물질이며, 물의 양에 따라 흙 지반의 공학적 성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함수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함수비는 지반의 공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며, 모든 토질 시험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이를 실험을 통해 측정하고자 한다. 1.2. 실험 대상 흙의 함수비 및 비중 실험의 대상은 실험실에서 준비된 토양 시료이다. 토질역학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채취한 토질 시료를 이용하여 흙의 성질을 분석한...2024.10.04
-
친환경농업2024.10.031. 서론 1.1. 시설재배와 토양의 관계 시설재배와 토양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시설재배는 토지에 유리온실이나 플라스틱하우스 등의 시설을 건설하여 작물을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농업 형태이다. 이러한 시설재배는 외부 환경과 단절된 환경 조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계절적 영향이나 날씨의 영향 등에 자유롭게 다양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시설재배는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시설 내부의 환경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점도 존재한다. 시설재배 토양은 외부 환경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비료를 자주 시용하면서...2024.10.03
-
식용작물학1 벼 필리핀재배 문제점2024.10.041. 서론 벼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량 작물 중 하나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서 널리 재배되고 소비된다. 특히 한국과 같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벼가 주요 식량 자원으로서 국민의 생활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는 다양한 벼 품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이들 품종은 기후와 토양 조건에 맞춰져 있어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자랑한다. 그러나 이러한 벼 품종을 필리핀과 같은 다른 나라로 보급하려는 시도는 여러 도전 과제에 직면할 수 있다. 필리핀은 한국과는 매우 다른 기상 생태형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벼 품...2024.10.04
-
원충류2024.10.151. 감염경로 1.1. 간접전파방법 1.1.1. 토양 토양은 다양한 기생충의 감염원이 될 수 있다. 특히 회충, 편충, 분선충, 안킬로스토마 속의 선충류와 같은 선충들은 토양 내에서 생활환을 거치기 때문에 토양이 주요 감염경로가 된다. 이들 선충류는 토양 중 존재하는 충란 또는 유충 형태로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 토양 내에 존재하는 기생충의 감염경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토양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회충이나 분선충의 자충포장란이나 편충, 안킬로스토마 속 선충의 사상유충이 토양 중...2024.10.15
-
나무의 주요 병2024.09.051. 식물병의 전염원과 전반방법 1.1. 식물병 전염원의 종류 1.1.1. 병든 식물의 조직이나 잔재 병든 식물의 조직이나 잔재는 주요한 식물병 전염원이다. 식물의 병든 조직이 죽어도 그 죽은 조직의 표면이나 내부에서 병원체는 살아남곤 한다. 따라서 병든 이파리, 나뭇가지, 열매 등의 잔재를 꼼꼼히 제거하는 것이 병의 예방이 된다. 예를 들어 벼깨씨무늬병균, 벼도열병균은 병든 볍씨나 볏짚에서 여러 해를 생존할 수 있고, 사과탄저병균, 감귤궤양병균, 배나무검은무늬병균은 병든 열매나 가지에서 겨울을 버티기도 한다. 오이노균병균, 맥...2024.09.05
-
개원에서 묘목재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4.301. 개원에서 묘목재식 방법 1.1. 구덩이 준비와 토양 개선 과수를 개원할 때는 묘목을 심기 전에 구덩이를 준비하고 토양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덩이를 크게 파는 것이 묘목이 깊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유리하지만,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m 크기의 60~90cm 정도의 구덩이를 준비한다. 구덩이를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배수이다. 배수가 잘 되지 않는 토양은 토양 미생물이 잘 살아갈 수 없어 토질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점질 토양에서는 구덩이를 독립적으로 파지 않고 경사와 평행하게 도랑 모양으로...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