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개
-
건축의 빛2024.12.161. 안도 타다오와 그의 건축 1.1. 안도 타다오의 전반적인 건축 특성 1.1.1. 서구의 근대건축 양식 수용 안도 타다오는 서구의 근대건축 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는 건축을 공부할 당시 도서관에서 르 코르뷔제의 책을 처음 알게 되었고, 그의 평면을 트레이싱지에 똑같이 그려보면서 건축 공부를 할 정도로 관심이 깊었다. 안도 타다오는 서양의 기하학적인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이는 그의 건축에서 잘 드러난다. 서양의 근대건축은 주로 기하학을 바탕으로 발달해 왔다. 안도 타다오는 유럽, 인도, 미국 등을 여행하...2024.12.16
-
물질의 세계2024.12.131. 물질의 세계 6가지 1.1. 물질 세계 우리는 지식과 정보같이 보이지 않는 가치가 우선시되고, 석유나 철, 소금과 모래 등 물질적 가치를 찾는 것은 구시대적이라고 생각하는 비물질의 세계에 살고 있다. 소셜미디어와 인터넷, 지식 산업과 서비스 중심의 현대 사회와 인공지능과 로봇 등 첨단 기술이 지배할 미래 사회는 물질을 벗어난 탈물질의 세계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미디어와 인터넷은 에너지와 전력망 없이는 존재할 수 없고,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자동차나 비행기 같은 이동 수단 역시 콘크리트와 시멘트, 화석연료와 배터리...2024.12.13
-
현대사회와 신소재2024.10.111. 건설재료의 현재와 미래 1.1. 기존 건설재료의 한계 건설재료의 현재와 미래에서 기존 건설재료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현대 사회에서 콘크리트 및 강재의 중요성은 절대적이다. 건설에 필수적인 콘크리트의 노후화 현상과 강재의 부식은 내구성 저하 및 구조적 문제 발생이 우려되어 안정성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유지 보수 비용이 들어간다. 2016년 미국부식 엔지니어협회(NACE)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연간 유지관리 비용으로 소모되는 비용이 2.5조 달러에 달한다. 이는 미국 GDP의 3~4%에 달하는 금액이다. 또한, 건설...2024.10.11
-
도함수의 활용 구조물 강도2024.10.071. 건축재료의 발달과 전망 1.1. 건축재료의 역사적 발전 우리나라에서 고대로부터 사용된 건축재료는 목재, 석재, 기와 및 벽돌, 진흙, 석회 등이다. 목재는 건축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우리나라 기후 특성상 좋은 재질을 가진 큰 목재를 얻기에 불리하였기 때문에 목재의 합리적 활용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는 한국의 건축문화를 형성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비해 석재는 풍부하여 화강암, 편마암, 석회암 등 다양한 종류의 석재가 산출되어 조적식 건축수법이 발달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는 고대부터 중국의 기와 및 벽돌 ...2024.10.07
-
마리오보타2025.07.071. 마리오 보타의 약력 소개 마리오 보타는 1943년 4월 1일 스위스 타치노 주 켄톤 지방의 맨드리시오에서 출생하였다. 1958-1961년 루가노의 칼로니/카메니시 건축사무소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하였고, 1961-1969년 이탈리아 밀라노 예술고등학교와 베니스 건축대학에서 수학하였다. 1969년 루이스 칸과 함께 베니스에서 회의장 계획의 전람회장 구성에 참여하였고, 베니스 건축대학에서 카를로 스카르파와 쥬세페 마치리올의 심사를 통해 졸업논문을 통과하였다. 이후 루가노에 자신의 건축사무소를 개설하고 건축가로서의 실무 활동을 시작하였...2025.07.07
-
역t형 옹벽2025.06.131. 서론 역T형 옹벽은 토사, 콘크리트, 철근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지반을 보강하고 토압을 지탱하는 구조물이다. 이는 도로, 철도, 항만 등의 건설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안전성과 경제성이 중요한 설계 요소이다. 본 보고서는 역T형 옹벽 설계에 필요한 주요 절차와 방법론을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 옹벽의 제원 및 재료 특성, 하중 조건, 토압 산정, 안정성 검토 등 설계 과정의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최신 연구 동향과 기술 발전을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옹벽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무...2025.06.13
-
콘크리트 구조물2024.08.201. 서론 1.1.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발전 과정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발전 과정은 약 2,000년 전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콘크리트의 기원은 약 2,000년 전 로마 시대로 추정되며, 1760년 영국의 Smeton이 Calder강의 수문에 사용하였다는 첫 번째 기록이 있다. 이후 1796년 Parkar가 로마인들이 사용한 자연산 시멘트를 발견하였고, 1811년 Vicat는 진흙과 석회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1824년 영국의 벽돌공 Joseph Aspdin이 포틀랜드시멘트 제조에 성공하였다. 1854년 ...2024.08.20
-
안도다다오 비평2025.05.201. 안도 다다오의 건축관 1.1. 건축에 대한 철학 안도 다다오의 건축에 대한 철학은 다음과 같다. 건축에 대한 안도 다다오의 철학은 모더니즘의 정신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그는 근대 건축의 단순성과 추상성을 지향하되,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성과 복잡성을 내포하고자 한다. 이는 마치 투쟁이자 고요한 삶 모두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안도 다다오는 기하학적 형태와 공간 구성을 통해 건축의 본질을 추구한다. 그의 건축물에서 볼 수 있는 완벽에 가까운 기하학은 르코르뷔제의 작품에서 볼 수...2025.05.20
-
일반역학에서 물리적적 관계를 나타내기위하여 취하는 기본역량과기본단위에설명중틀린것은2025.04.231. 일반역학에서 물리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취하는 기본 역량과 기본 단위 1.1. 입자의 물리학 근대 원자론의 탄생 - 돌턴과 아보가드로 우리는 반드시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관찰과 실험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연유로 사실을 근거로 한다고 해도 미리 어떤 상상을 하는 것은 당연히 허용되는(필연적으로 있을 수밖에 없는) 일이다. 특히 원자론과 같은 볼 수 없는 원리는 이러한 상상과 가설에서부터 형성될 수밖에 없으며, 물리학자가 해야 할 일은 가설의 증명이 실패할 경우 수정 혹은 새 가설로 미련없이 넘어가는 것이다. 돌...2025.04.23
-
수장공사2025.05.121. 수장공사 1.1. 총칙 1.1.1. 현장관리 공사현장관리는 원칙적으로 시공자가 자주적으로 한다. 시공자는 공사관리 기타 기술상의 관리를 담당하는 건설기술자를 배치하되 기술자격을 증명하는 자료를 제출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건설기술자 배치기준은 특기가 없으면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른다. 배치된 현장대리인과 건설기술자는 담당원의 승인없이 현장을 이탈하지 못하며, 공사관리·기타 기술상의 관리에 있어 부적당하다고 인정될 경우에 담당원은 시공자에게 그 교체를 요구할 수 있다. 공사현장에는 해당 공사에 관련된 "공사계약 일반조건"...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