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한국어 음운과 일본어 음운의 차이점2025.05.111. 서론 1.1.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성 한국어와 음운적으로나 구조적으로 친근하다고 평가받는 언어는 한국어와 같은 어족으로 추정되는 언어나, 문법적·음운적 유사성이 발견되는 언어들이다. 특히, 한국어와 일본어는 역사적·언어적 연구에서 자주 비교되며, 문법 구조와 높임말 체계, 어순과 조사의 용법, 고유어의 혼재, 교착어적 특성, 한자어의 발음 등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이러한 유사성으로 인해 일본어 학습자는 한국어를 배우거나, 한국어 학습자는 일본어를 배우는 데 있어 비교적 수월할 수 있다. 1.2. 한국어 발음 교육의 중요성 ...2025.05.11
-
초분절음2025.05.011. 서론 1.1. 개요 초분절음은 분절음소와 달리 절대적인 소릿값을 가지지 않으나 발화의 의미를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높이, 세기, 길이, 억양 등이 초분절음의 주요 요소이며, 이러한 요소들은 말소리의 일부로 실현되어 단어나 문장의 의미를 구별하는데 활용된다. 초분절음은 단일 분절음과 달리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분절음에 얹혀 발현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초분절음은 언어마다 그 실현 양상이 다르며, 동일한 언어 내에서도 개인차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초분절음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교육하는 것...2025.05.01
-
영어권에서 발음할수없는 한국어자음과 교수방안2025.05.021. 서론 1.1. 영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의 특성 영어는 모음과 자음의 유무성 대립이 발음의 주요 특징이다. 영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순치마찰음과 치간마찰음, 유성 치경마찰음과 유성 치경구개마찰음, 권설음 등이 존재하므로 한국어 학습 시 이러한 음소를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영어에서는 반모음이 자음으로 분류되지만 한국어에서는 모음으로 분류되는 차이가 있어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평음, 경음, 격음의 삼원대립이 있는데 영어에는 이러한 대립이 없어 이를 구별하여 발음하는 것이 쉽지 않다. 중국...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