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6개
-
성공영성2024.10.021. 일, 하나님의 황홀한 설계 1.1. 일과 쉼의 균형이 필요하다 하나님께서는 창조 사역의 과정에서 일을 하셨으며, 이후 쉼을 취하셨다. 이처럼 창세기 저자는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일로 묘사한다. 하나님께서 일하셨다는 것은 일이 뒤늦게 추가된 필요악이나 인간이 만들어 낸 제도가 아니라 창조주가 그리신 밑그림이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하나님은 일꾼들에게 일을 맡기기도 하시는데, 창세기 1장 28절에서 하나님은 인류에게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라고 말씀하셨다. 이는 인류로 하여금 창조 세계를 가꾸어나가게 하시는 명령이었다. ...2024.10.02
-
니고데모의 안경2024.11.291. 니고데모의 안경 개관 1.1. 저자 소개 저자인 신국원 교수님은 총신대학교 신학과,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조직신학, 변증학 전공),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철학적 해석학과 문화철학 전공), 캐나다 토론토 기독교학문연구소에서 수학하였으며, 미국 앤아버 한인성서교회를 담임한 바 있다. 또한 미국 미시간 주 칼빈대학교 언론학부에서 연구하셨고 어바나 샴페인에 있는 일리노이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연구소의 객원 연구 교수로 문화이론에 대해 저술하였다. 1994년부터 총신대학교 신학과에서 철학과 기독교 세계관, 문화연구 등의 강...2024.11.29
-
지혜문학에 나타난 고통에 대한이해2024.12.121. 구약성서의 지혜문학 1.1. 지혜문학의 정의와 특징 지혜문학은 일반적으로 삶에서의 올바른 길을 찾으려는 시도이다. 구약성서의 "지혜"는 사람들이 살면서 자신과 얽혀있는 여러 관계들, 인간의 행위와 그 결과를 숙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지혜자들은 삶에서 일어나는 반복적인 규칙들과 질서 체계를 알고자 했고, 그것을 문서화하고 지속적으로 인간의 경험과 연관시키고자 했다. 지혜문학은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님의 구원사에 대한 최소한의 관심과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에 대한 무관심, 신정론, 인생을 어떻게 성공...2024.12.12
-
종교관2024.12.271. 그리스도교의 세계관과 역사 1.1. 그리스도교의 역사와 발전 초기 그리스도교는 유대교의 분파로 시작되었지만, 다양한 병합 및 확대의 과정을 거쳐서 퍼지게 되었다. 18~19세기의 급변하는 시기를 거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가톨릭의 순교가 개신교의 선교를 위한 건강한 토양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그리스도교는 제3세계를 중심으로 성장해나가고 있다. 예수는 이스라엘의 나사렛 지역에서 주로 활동을 하며 유대인으로 태어나 유대인으로 십자가에서 생을 마감하게 되었다. 그러나 부활한 예수를 환상 중에 보았던 사도 바울이 구체...2024.12.27
-
상상과 창조2024.10.101. 상상력과 창조 1.1. 이미지로 그려라 (visualize) 나에게 문제를 풀 때 이미지란 어렸을 적부터 많은 퀴즈들을 봐왔고, 많은 도형 퍼즐들을 맞춰왔기에, 일종의 놀이 중 하나였다. 하지만,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3학년이 되어, 기하와 벡터라는 수학을 배웠을 때에는, 이러한 긍정적이었던 생각은 온데 간데 없었다. 높은 난이도를 가지는 2차원과 3차원에서의 공간의 도형은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이미지에 대한 내 상상력으로는 턱없이 부족했다고 느꼈었고, 그로인해 많은 좌절감을 겪었다. 하지만 이러한 좌절감은 대학에 와서 자연스...2024.10.10
-
존재사논의2024.10.011. 신학의 서설 1.1. 교의신학의 정의 "교의(敎義 : Dogma)"라는 말은 헬라어 '도케인'이라는 말에서 "자명한 진리", 또는 "종교의 승인된 교리" 라는 뜻으로 교리라는 말과 함께 쓰일 때도 있다. 그래서 교의신학이란 신조들에 표현된 대로의 교리들을 체계화하고 이에 대한 성경적인 근거들을 밝힘과 동시에 합리적인 증명을 하려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그리고 이 신학은 여러 교리들을 논리적으로 조직화하였다는 점에서 조직신학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1.2. 신론의 문제제기 신론의 문제제기는 하나님의 존재와 그 증명에 대한...2024.10.01
-
크리스챤 성장 프로그램 만들기2024.09.211. 기독교 세계관과 교육 1.1. 기독교 세계관의 이해 1.1.1. 하나님 중심의 세계관 하나님 중심의 세계관은 하나님을 모든 것의 근원이자 중심으로 보는 견해이다. 이에 따르면 하나님은 세상을 창조하셨으며, 인간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은 하나님께 절대적으로 의존적이다. 하나님은 전지전능하시며, 그의 주권은 절대적이다. 또한 하나님은 세상의 모든 일을 섭리하며 지배하고 계시다. 따라서 인간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며 살아야 하고, 하나님을 경외하며 섬겨야 한다. 이처럼 하나님 중심의 세계관은 하나님을 모든 존재의 근원이자 주인으로...2024.09.21
-
내 삶 속에서 만난 기독교와 문화2024.10.171. 기독교 윤리의 이해 1.1. 인간 존엄성의 기독교적 기반 인간 존엄성의 기독교적 기반은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는 성경의 가르침이다. 창세기에 따르면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 받은 존엄한 존재이다. 이는 인간이 신성한 존재이자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 속에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예수 그리스도의 인간 되심과 그분의 구속사역이다. 성경은 하나님이 인간의 모습으로 세상에 존재하기로 선택하셨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인간의 상태가 모든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야 함을 알 수...2024.10.17
-
삶과 철학2024.10.211. 행복과 삶의 철학 1.1. 행복에 대한 다양한 관점 행복에 대한 다양한 관점은 다음과 같다. 행복에 대한 관점은 개개인의 가치관, 환경마다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다"이다. 벤담은 '쾌락과 고통이 없는 상태'를 행복이라고 말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은 인간이 추구해야 할 최고선'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행복에 대한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다"이다. 저자는 '행복은 욕심을 버리는 것부터 시작'이라고 생각한다"이다. 예를 들어 음식을 오랜 시간 기다려 먹게 되면 처음에는 행복감을 느끼지만, 욕심으로 과하게 먹게 되면 오히려 ...2024.10.21
-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확정되었으며 왜 중요한지를 설명하시오2025.04.081.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에 대한 고찰 1.1.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 확립 과정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는 그의 신성과 인성이 완전하게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확정되었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약성경에서는 장차 오실 메시아에 대한 예언들을 통해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암시되어 있었다. 하나님의 아들이 육신을 입고 오실 것이라는 내용이 예언되고 있었던 것이다. 둘째, 신약성경에서는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을 통해 그의 신성과 인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게...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