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9개
-
임상병리검사 종류와 목적 및 의의2024.11.151. 임상병리 검사 1.1. 임상병리 검사의 정의 임상병리 검사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체액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고 다시 얻어진 검사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질병 진단이나 치료방침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검사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1.2. 임상병리 검사 종류 1.2.1. 혈액검사 1.2.1.1. Hematology(혈액학) Hematology(혈액학)은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악성 혈액질환의 진단 및 추적관찰...2024.11.15
-
진균의정의2024.11.131. 미생물에 대한 이해 1.1. 박테리아 1.1.1. 세균의 정의 세균은 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는 무핵(無核)의 단세포성 생물이다. 엽록소를 갖지 않고, 세포의 2등 분열에 의해 늘어나는 생물이다. 전체 생물 중 그 수가 가장 많으며, 지구 환경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1.2. 세균의 특징 세균은 하나의 세포로, 동·식물보다 단순한 형태의 생물이다"" 세균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여 땅, 물, 공기, 동식물, 사람의 몸속 등에서 양분을 얻어 살아가야 한다"" 따라서 세균은 생물의 몸이나 자연환경 등 어...2024.11.13
-
주변에서2024.10.091. 우리 주변의 미생물 1.1. 미생물이란 무엇인가 1.1.1. 미생물의 정의 미생물이란 사전적 의미로 육안으로 관찰이 어렵거나 불가한 미세한 생물을 말한다. 대부분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마이크로미터 (1/1,000mm) 혹은 나노미터(1/1백만mm) 단위의 작은 생물이다. 이러한 미생물의 범주에는 일반적으로 진균(Fungi), 세균(Bacteria), 바이러스(Virus), 원생동물(Protozoa), 조류(Algae) 등을 포함한 20만 여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약 1,000만 여종의 미...2024.10.09
-
병리학 암 이론2024.08.221. 병리학의 개요 1.1. 병리학의 정의와 분류 병리학은 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로, 병을 일으킨 원인 또는 병에 의한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형태적,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리학은 크게 인체병리학과 실험병리학으로 분류된다. 인체병리학은 질병으로 시달한 사람(부검)이나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생검)에게서 얻은 인체 시료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진단검사의학(임상병리학)은 인체에서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 검체를 대상으로 이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분야...2024.08.22
-
의료사회복지사2024.08.151. 서론 1.1. 의료사회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의료사회복지는 질병과 사회적 문제의 상호 역동성에 기반하여, 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의료복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의료사회복지는 예방에서부터 치료, 재활, 건강증진에 이르는 포괄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회정의와 인간의 존엄성을 추구한다. 의료사회복지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병과 사회적 문제는 상호 밀접한 영향을 미치므로, 의료 문제에 대한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팬데믹 상...2024.08.15
-
임상병리 미생물 지원동기2024.09.011. 간호학과 입학하기 1.1. 간호학과의 이해 1.1.1. 간호관 나는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질병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간호라고 생각한다. 우선 정확한 질병의 명칭과 원인을 알고 있어야 하며, 원인이 불분명할 때는 여러 가지 이유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또한 단순히 약물 처방만이 아니라 어떤 점 때문에 그 약을 사용하는지, 그 약을 사용하면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를 알려주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정형적인 말투가 아닌 환자의 가족처럼 진심으로 관심을 보이고 세심하게 돌봐주는 ...2024.09.01
-
현대인과 질병2024.11.021. 건강과 질병의 개념 1.1. 생의학적 관점 전통적으로 의학은 신체 기능과 질병에 대한 생물학적 이론에 치중하여 연구 및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때 의학의 기본이 되는 이론적 방법이 바로 생의학적 접근 방식의 모형(biomedical model)이다. 생의학적 접근에 따른 의학적 접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과 질병의 판단 기준이 절대적이다. 특정 생리학적, 심리학적 증세에 의존하여 의사, 간호사 등 전문 의료인이 진단한다. 둘째, 생의학적 접근은 크게 세 가지의 기본 가정을 지니고 있다. 질병은 정상범주를 벗어난...2024.11.02
-
스트레스 대처방법2024.11.211. 스트레스의 이해 1.1. 스트레스의 개념 1.1.1. 스트레스의 어원 및 정의 스트레스의 어원은 라틴어 "Stringer"에서 유래했으며, "팽팽하게 조이다"라는 기본 뜻을 담고 있다. 17세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나 상태, 18~9세기에는 외부적 압력이나 압박이라는 뜻으로 쓰이다가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의학과 생물학 분야에서 이 단어를 사용하면서 현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즉, 스트레스는 심리적 압박이나 근육긴장과 같은 생체반응처럼 정신과 몸과의 예측할 수 있는 흥분상태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1.2. 스트레스에...2024.11.21
-
노인간호학 실습 느낀점2024.09.031. 요양시설 노인의 간호요구도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우리사회는 평균 수명의 연장, 핵가족화, 주거환경의 도시화 및 가족구조의 변화, 부양의식의 변화, 고령화에 들어서면서 노인을 위한 양로시설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장기요양시설에서 160만 명 이상이 간호를 받고 있고 노인인구를 위한 간호요구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노인요양 시설은 노인의 현재의 신체기능을 유지시키며, 정신적, 사회적 기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돌봄 서비스를 장기간에 걸쳐 제공하는 시설이다. 하지만 우리...2024.09.03
-
카라기난2024.08.141. 카라기난의 육가공품에서의 이용 1.1. 카라기난의 성분과 성상 카라기난은 진두발, 돌가사리와 같은 홍조류의 세포각 물질을 추출, 정제한 고분자 전해질의 산성다당류이다. 분자구조에 따라 통상 kappa(κ-)형, lambda(λ-)형, iota(ι-)형의 세자기 형으로 분류되며 결합하는 알칼리 금속의 종류, 구성비에 따라 동일한 분자구조에도 물성이 다르다. 분자량은 약 100,000~800,000 정도이며, 현재까지 밝혀진 이들의 종류는 전부 7가지이다. 1.2. 카라기난의 성질 1.2.1. 용해성 카라기난은 열수에서는 70...202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