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3개
-
마취과 약물2024.09.101. 마취에 사용되는 약물 1.1. 흡입마취제 흡입마취제는 폐를 통하여 혈액으로 잘 용해되어 신속하게 작용하며 마취 유도 및 유지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주요 흡입마취제로는 세보플루란, 데스플루란, 아산화질소 등이 있다. 세보플루란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낮은 용해도로 인해 빠른 마취 유도 및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혈압과 호흡기계 억제를 동반한 심폐 기능 억제, 오심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마취의 회복이 빠르므로 통증 사정과 관리가 필요하다. 데스플루란은 또 다른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외상...2024.09.10
-
제왕절개 PROM 간호과정 케이스 분석2025.05.261. 제왕절개 PROM 간호과정 케이스 분석 1.1. 산부간호 자료수집 1.1.1. 일반적 배경 성명: 조OO 연령: 36세 종교: 무교 교육정도: 대졸 결혼상태: 기혼 직업: 주부 본 대상자는 36세 여성으로 대졸의 학력 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기혼 상태이다. 직업은 주부이며 종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단명은 응급 제왕절개분만(35+3주), 쌍태임신, 이태반성 이양막성, 조기양막파수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22-34주 임신기간의 조산진통 없는 분만, 37주 이상-37주 미만의 임신기간 중 경부무력증 등이다. 이를...2025.05.26
-
자연분만 간호과정2025.05.261. 자연분만 간호과정 1.1. 회음절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회음절개술은 분만 중 회음부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시행되는 외과적 절개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조직의 연속성이 손상되면서 세균 침입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환자는 상처 부위의 분비물, 악취, 발열 등의 초기 감염 징후를 보이고 있어 감염으로 진행될 위험성을 시사한다. 회음절개 부위의 감염 위험성은 크게 세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첫째, 회음절개로 인한 피부 장벽의 손상이 그 주요 원인이다. 둘째, 분만 후 회음부 관리의 부족으로 인한 세균 증식이 감...2025.05.26
-
간절제술 간호진단2025.05.211. 간호과정 1.1. 대상자 사정 대상자는 간암 진단을 받고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이다. 대상자의 주관적 호소로는 "수술한 데가 아파요.", "욱신거리고 정말 죽겠어요.", "간호사님 진통제 들어갔어요?"와 같이 수술 부위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객관적 자료를 통해 살펴보면, 대상자는 전신마취하에 개방형으로 간절제술을 받았으며 상복부에 절개가 있는 상태이다.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IV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를 적용하였고, 수술 직후 활력징후 상 혈압과 맥박이 수술 전에 비해 상승...2025.05.21
-
여성간호학실습 제왕절개 케이스 보고서2025.05.211. 서론 1.1. 제왕절개술(C-sec) 문헌고찰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제왕절개 분만(cesarean delivery)은 로마시대의 케사르(Cesar)가 산모의 배를 가른 후 꺼내졌다 하여 붙여진 용어라는 설도 있으나, 이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이며, 미국의 경우 32% 정도이다. 85% 이상의 경우에서 이전 제왕절개 수술력, 난산, 태아 곤란, 태아의 위치 이상으로 수술하게 된다. 수술 ...2025.05.21
-
외상성 혈기흉2025.03.1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질병관리청의 2020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에 따르면 중증외상 환자의 수는 8435명으로 인구 10만명당 16.4명으로 적지 않은 수이다. 중증외상의 비율은 TA가 54.9%, 추락 및 미끄러짐이 37.5%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TA의 경우, 넘어진 경우, 떨어진 경우 등 다양한 사고에서 우리는 늑골이 골절된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2008년 대한외상학회지 다발성 늑골골절의 외상성 혈기흉 발생에 대한 영향에서는 늑골 골절이 발생하면 대상자들의 70%에서 혈기흉이 발생한...2025.03.10
-
회복실 간호과정 불안2025.05.151. 회복실 간호과정 불안 1.1. 체온조절 이상과 관련된 불안 저체온과 관련된 불안 체온이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는 환자에게 심각한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 회복실에 입실한 환자는 수술실에서의 장시간 노출로 인해 체온이 저하되었고, 이에 따른 증상으로 떨림, 오한, 호흡수 증가, 피부의 차가움을 호소하고 있다. 환자는 자신의 체온이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어 "추워죽겠다"라며 불안감을 표현하고 있다. 저체온은 맥박과 호흡 저하, 혈압 감소 등의 위험한 생리적 변화를 동반할 수 있어 신속한 중재가 필요...2025.05.15
-
위절제술 간호과정2025.05.091. 위절제술 후 간호과정 1.1. 위 절제 후 식이와 관련된 지식부족 위 절제 후 식이와 관련된 지식부족이다. 대상자는 위 절제술 후 식이에 대한 간호사의 질문에 제한적으로 답변할 수 있다. 대상자는 위 절제술 후 식이 과정에 대해 잘 모르고 있으며, 덤핑증후군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자주 섭취하고 싶은 음식을 먹으려 한다. 간호사는 대상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위 절제 후 식이 교육을 실시한다. 덤핑증후군의 증상과 예방법, 위 절제 후 식이 단계 및 원칙, 관리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한다. 대상자가 식이 관리에 대한 지식을 습득...2025.05.09
-
대장내시경검사 간호2025.04.171. 대장내시경 검사의 개요 1.1. 대장내시경 검사의 정의와 목적 대장내시경 검사는 항문부터 직장, 결장, 맹장까지 장관 내부를 직접 관찰하는 검사이다. 증상이 없는 40대 이상을 대상으로 조기발견을 위해 실시하는 선별검사로, 배변 후 설사, 혈변, 검은 변, 통증, 작열감, 복통 등의 증상이 있거나 사전 검사에서 기형, 염증, 협착, 용종, 종양 등의 이상 소견 시 조직 생검을 통한 진단 목적과 폴립절제술, 출혈 부위 제거와 지혈, 장내 이물질 제거 등의 치료 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대장 조영술 결과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2025.04.17
-
자궁근종 산모2025.04.2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이 대상자는 39세의 고령 산모이고 단독 임신이며 초산모이다. 마지막 월경일은 2019년 8월 3일이고 예정분만일은 2020년 5월 9일이다. 위험 요인으로는 자궁 경부에 근종이 있음이 확인되어 제왕절개 수술이 계획되었다. 직업은 주부이고 교육 수준은 대졸이며 종교는 없다. 결혼 기간은 1년이고 무자녀 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편은 40세의 서비스직 종사자이며 교육 수준도 대졸이고 종교는 없다. 가족 관계는 좋은 편이며 진료비 지불 능력이 있다. 희망 자녀 수는 2명...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