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7개
-
일반화학 개념의 핵심2024.09.05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pH의 개념을 이해하고 pH 측정을 통해 적정 곡선을 그려 종말점과 완충 영역을 알아보는 것이다" 1.2. 실험 원리 이 실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pH는 수소이온 농도를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용액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단이다. pH는 -log[H+]로 나타내며, pH 단위가 1만큼 변화하면 [H+]는 10배씩 변한다. 산성 용액은 [H+] > 10^(-7) M이고 pH는 7 미만이며, 중성 용액은 [H+] = 10^(-7) M이고 pH는 7, 염기성 ...2024.09.05
-
코니컬2024.08.291. 적정산도 실험 1.1. 실험의 목적 및 원리 식품 중의 총 산량을 알칼리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구한 값을 말하는 적정산도는 식품의 신맛의 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알칼리 표준용액으로서 0.1N의 NaOH용액을 사용하며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으로 중화적정한다. 시료의 색이 변화하여 종말점을 찾고, 적정에 소비된 NaOH용액의 양을 시료의 대표적인 산으로 환산하여 %로 나타낸다. 이를 통해 식품의 신맛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2. 실험방법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뷰렛 콕을 닫고 깔때기를 사용하여 0.1N의...2024.08.29
-
아스코르브산 함량 측정2024.09.061. 서론 1.1.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산화-환원 적정법 중 아이오딘 적정법을 이용하여 시판되는 비타민 C 영양제에서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비타민 C 영양제의 질량과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도 실험의 목적에 포함된다. 1.2. 실험 이론 1.2.1.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의 이동을 수반하는 화학 반응으로, 산화는 물질이 산소를 얻거나 수소 또는 전자를 잃는 것을 의미하고, 환원은 물질이 산소를 잃거나 수소 또는 전자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산화와 환원은 항상 함께 일어...2024.09.06
-
생활 속의 산 염기 분석2025.03.241. 실험의 목적 산-염기 중화 반응을 이용해 생활 속의 산과 염기의 농도를 알아내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산과 염기가 반응하면 물과 염이 생성되는 중화반응이 일어난다. 이 중화반응은 화학량론적으로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중화 적정을 통해 용액 속의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지시약의 색 변화를 이용해 중화 반응의 당량점을 확인하면 반응 물질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NaOH 용액의 표준화와 식용식초의 아세트산 농도 분석을 진행한다. NaOH 용액을 0.5M 옥살산 표준용액으로 적정...2025.03.24
-
아스피린정량분석2025.01.281. 서론 실험 주제인 '아스피린 정량분석'은 아세트산과 아세틸살리실산을 대상으로 하는 산-염기 적정 실험이다. 이 실험을 통해 몰 농도(M), 산과 염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식초의 아세트산과 아스피린의 아세틸살리실산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적정 방법을 활용하여 식초의 아세트산 함량과 아스피린의 아세틸살리실산 함량을 실험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실험에 이용되는 실험 기구와 시약의 특성에 대해서도 확인할 것이다. 2. 산과 염기의 개념 2.1. 아레니우스의 정의 아레니우스의 정의에 따르면, 산은 수용액에서 수소이온을 생성...2025.01.28
-
hcl 표준용액 제조2025.03.221. 서론 1.1. 표준용액의 중요성 표준용액의 중요성이다. 표준용액은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는 시약으로, 분석실험에서 미지시료의 구성성분 농도를 구하는데 사용된다. 표준용액은 분석물과 빠르게 반응하여 정확한 종말점을 얻을 수 있어야 하며,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농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표준용액의 정확한 농도는 실험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실험에 앞서 표준용액의 농도를 정확히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2. 용량분석법과 표준용액 제조의 필요성 용량분석법과 표준용액 제조의 필요성이다....2025.03.22
-
산 염기 적정 탄산나트륨2025.04.011. 서론 산 염기 적정은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법이다. 특히 중화반응을 이용하는 중화적정은 화학물질의 농도와 조성을 알아내는데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중화적정은 산과 염기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특징적인 pH 변화를 이용하여 당량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정 과정에 사용되는 지시약의 색 변화를 관찰하여 종말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중화적정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결정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물을 대상으로 중화적정을 수행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2025.04.01
-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혼합물의 정량2025.04.061. 서론 수산화나트륨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정량하는 실험은 산-염기 반응과 침전 반응을 이용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 구하는 것이다. 이 실험에는 직접적정법과 역적정법이 사용되는데, 총 알칼리의 양을 구하기 위해 염산 표준용액으로 직접적정하고, 탄산수소나트륨의 양을 구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 표준용액을 먼저 가하여 반응시키고 남은 수산화나트륨을 염산 표준용액으로 역적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탄산염 침전반응을 이용하여 탄산나트륨의 양을 간접적으로 구하는 방법도 활용된다. 이 실험을 통해 수산화나트륨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 중 각 성...2025.04.06
-
산-염기 표준용액 만들기 및 표준화2024.09.151. 산-염기 표준용액 만들기 및 표준화 1.1. 실험 소개 산-염기 표준용액 만들기 및 표준화 실험은 일차 표준물질에 대한 이해와 이를 이용한 산-염기 용액의 표준화 과정을 다루는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는 일차 표준물질인 탄산소듐(Na2CO3)을 이용하여 0.10M HCl 표준용액과 0.10M NaOH 표준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일차 표준물질은 순도가 99.99% 이상으로 매우 높고 일정한 조성을 갖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용액을 제조하면 계산한 농도와 실제 농도가 거의 일치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2024.09.15
-
인산적정과 완충용액2024.10.131. 인산의 적정과 완충 용액 1.1. 개요 및 목적 이 실험의 개요 및 목적은 인산의 적정을 통해 다양성자산의 적정 곡선을 익히고, 완충 용액의 원리와 중요성을 배우는 것이다. 인산은 3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어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적정하면 3단계의 중화반응이 일어난다. 이를 통해 제1당량점, 제2당량점과 완충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인산의 경우 두 번째 해리단계인 H2PO4-가 HPO42-로 해리되는 과정에서 pKa값이 7.20으로 pH 7 근처의 완충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실험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 완...202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