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6개
-
기독교윤리학의토대와흐름2025.02.011. 서론 1.1. 기독교윤리학의 토대와 흐름 기독교윤리학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해왔다. 고전적 기독교 윤리학의 주요 모델로는 어거스틴, 토마스 아퀴나스, 그리고 루터와 종교개혁자들의 사상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자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철학적 사고와 윤리를 기독교적으로 해석하고자 노력했다. 어거스틴은 혼란스러웠던 교회 내부에서 기독교 윤리의 토대를 정립했다. 그는 신플라톤주의 철학에 기반하여 하나님을 완전한 선으로 보았고, 인간의 타락한 의지로 인해 악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그의 윤리학은 하나님을 사...2025.02.01
-
기독교윤리학의토대와흐름2025.02.011. 기독교윤리학의 토대와 흐름 1.1. 고전적 기독교 윤리와 믿음 1.1.1. 어거스틴 어거스틴은 교회집단의 중요성보다는 그리스도의 보증을 강조함으로써 개인의 신앙을 변호하였다. 펠라기우스 논쟁에서 펠라기우스가 죄를 개별적 존재들의 모방행위로 본 반면, 어거스틴은 인간이 죄 없이 창조되었지만 아담의 타락으로 인해 우리 의지가 하나님에게서 돌아섰고, 때문에 그 분의 은혜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어거스틴은 혼란스러웠던 교회 안에서 기독교적 윤리를 정립시켰다. 그는 신플라톤주의 철학의 바탕아래 기독교 윤리를 이해하고자 ...2025.02.01
-
ppt2024.08.121.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1.1.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마르틴 루터는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성 교회 문에 95개조의 반박문을 게시하면서 종교개혁을 시작했다. 이는 중세 유럽 사회에 큰 울림을 주었다.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은 당시 카톨릭 교회가 판매하던 면죄부에 대한 비판이 골자였다. 면죄부는 돈을 내면 죄가 赦免된다는 믿음으로 교회의 중요한 수입원이었다. 그러나 루터는 이를 부패한 행위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그는 오직 신앙과 진실된 회개를 통해서만 죄가 赦免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95개조 반박문은...2024.08.12
-
문화의 키워드로 신약성서 읽기2024.11.221. 기독교 역사와 역사의식 1.1. 기독교 역사관 1.1.1. 실증주의의 극복 실증주의의 극복은 기독교 역사관이 나아가야 할 중요한 방향이다. 실증주의는 역사를 인문학이 아닌 실증학문으로 보는 전제적인 오류를 범하고 있다. 계몽주의는 과학을 학문의 한 분야에서 학문들의 왕이 되게 함으로써, 윤리, 정치, 역사, 종교와 같은 학문을 인문학의 영역에서 빼앗아 과학적 학문에 편입시켰다. 하지만 종교를 어찌 과학적인 철칙으로 설명할 수 있겠는가? 결국 실증주의도 객관성을 빙자한 매우 주관적인 역사관이라고 볼 수 있다. 기독교 역사관은...2024.11.22
-
게할더스 보스 성경신학2024.11.111. 개선된 방법론의 모색 1.1. 개혁정통주의 신학의 방법론적 특징 개혁정통주의 신학의 방법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종교개혁 운동에서 신학의 개혁은 신학 내용의 개혁과 신학 방법론의 개혁을 의미했다. 스콜라적 방법론에 대한 반발, 즉 중세 신학에 대한 반발이었다. 종교개혁 운동은 개혁정통주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신앙고백문을 통해 바른 가르침을 전했고, 가톨릭 교회와 다른 것을 규명하는 작업이었다. 신앙고백문의 작성은 신학 전반에, 신학의 정교화와 체계화의 발전을 가져왔다. 정통주의는 신학의 체계를 세우면서 스콜라 신학의...2024.11.11
-
교회2024.08.301. 교회론의 개관 1.1. 서 론 교회론의 연구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경외심을 더욱 깊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회는 하나님께서 구약에서부터 신약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백성을 부르시어 세우신 역사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구약에서는 에덴동산의 교회, 노아의 방주 교회, 광야의 교회, 다윗의 왕국 등으로, 신약에서는 그리스도의 교회로 이어지는 하나님의 백성 공동체가 지속되어 왔다. 이처럼 교회는 하나님께서 역사적으로 불러모아 세우신 백성의 공동체이자,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과 통치를 경험하는 거룩한 공동체이다. 교회...2024.08.30
-
기독교로보는 세계역사2025.01.231. 기독교로 보는 세계역사 1.1. 그리스도교의 시작 그리스도교는 본래 유대교의 한 분파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헬레니즘 문화를 흡수하고 유럽 지역으로 뻗어나가면서 독자적인 세계 종교로 자리 잡았다. 이렇게 형성된 그리스도교는 다양한 종파로 나누어지며 독특한 역동성을 유지하게 되었다. 한국에서도 18~19세기에 그리스도교가 전해지기 시작했으며, 이때 천주교 순교가 훗날 개신교 선교의 발판이 되었다. 그 후 대학을 설립하고 교육을 통해 교리를 널리 알리며 점차적으로 신자 수가 늘어갔다. 그리스도교 교리는 문화 간의 ...2025.01.23
-
근대교회의역사적 사건2025.03.081. 근대교회의 역사적 사건 1.1. 종교개혁과 근대 사회의 변화 종교개혁은 유럽 사회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먼저 종교개혁은 가톨릭 교회에 대한 도전으로 시작되었지만, 이후에는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종교개혁으로 인해 교회와 국가가 분리되었고, 이는 국가의 세속적 영향력을 낮추고 개인의 종교적 자유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종교적 자유와 개인의 책임 강조는 사회 질서의 변화를 가져왔다. 더불어 종교개혁은 교육 체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개신교에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교육의 접근...2025.03.08
-
조직신학 루이스2025.03.091. 서론 1.1. 조직신학 루이스 벌콥의 조직신학 개론 조직신학자 루이스 벌콥은 20세기 개혁주의 신학의 확립과 전수에 일생을 바쳤다. 그는 네덜란드 엠멘 태생으로 8살 때 미국으로 이민하여 그랜드 래피즈에 정착하였다. 기독교 개혁교회의 전통 안에서 교육받았으며, 칼빈 신학교와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수학하며 네덜란드 계통의 개혁파 신학자들과 헤르만 바빙크, 게할더스 보스 등 저명한 칼빈주의 신학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여러 목회지에서 사역하였고, 주로 칼빈 신학교에서 구약성경과 조직신학 등을 가르쳤으며, 칼빈 신학교 교장으로 ...2025.03.09
-
현장 예배의 대안2025.03.121. 현장 예배의 대안 1.1. 예배학 지도 그리기 우리는 흔히 목회를 종합 예술이라고 부른다. 목회자는 성경을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선포할 뿐 아니라 성도들을 심방하고 상담해야 하며, 교회 음악에 조예를 가지고 예배의 전반적인 부분들을 지도할 수 있어야 하고, 성경과 교리, 교회사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교회의 실천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해답을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배학 역시 신학의 다양한 분과를 아우르는 신학의 정점이라고 부를 수 있다. 예배학 과목이 왜 대체적으로 신학대학원의 마지막 과정에 필수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을까?...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