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0개
-
중환자실 장비2024.11.211. 중환자실 장비 및 실습 체험 1.1. CRRT(지속적 신대체요법) 1.1.1. 목적과 적응증 CRRT(지속적 신대체요법)의 목적과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CRRT는 투석은 혈액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하고,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며, 요독증상을 완화하고 고혈압을 조절하며 빈혈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사회적 재활을 가능하게 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행한다. 특히 중환자실 환자에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투석 방법이기 때문에 CRRT를 선택한다. CRRT의 주요 ...2024.11.21
-
응급의학용어2024.11.181. 응급실 실습 보고서 1.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1.1.1. KTAS의 정의 및 목적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2012년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도구인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우리나라 의료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개발된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의 영어 줄임말이다. KTAS는 단순히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병원 전 단계를 아울러서 응급의료체계 전반을 개혁하...2024.11.18
-
defibrillator사용법2025.06.091. 서론 1.1. defibrillator 사용법 개요 defibrillator 사용법 개요는 다음과 같다. defibrillator는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제거하기 위해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는 기기이다. 전기 충격을 주는 순간 심근 전체가 탈분극되어 정상적인 심장 작용을 회복하게 해준다. defibrillator는 응급 상황과 비응급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응급 상황은 혈압 하강, 폐부종, 의식 장애가 동반되는 빈맥 발생 시이며, 비응급 상황은 혈역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합병증 발생 가능한 빈맥 발생 시이...2025.06.09
-
부정맥 간호2024.10.211. 부정맥 개요 1.1. 정의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박동 리듬의 이상으로, 일반적으로 심박동수의 비정상적인 증가 또는 감소, 리듬의 불규칙성을 의미한다. 즉, 부정맥이란 정상 동성 리듬 이외의 심장 박동 양상을 말하는 것이다." 1.2. 발생 원인 부정맥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 심장 자체에 병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심근 경색과 같은 허혈성 심장병이 있으면 부정맥이 올 수 있다. 또한 승모판 협착과 같은 판막 질환 등 거의 모든 심장병은 부정맥의 원인이 된다. 허파의 병과 자율 신경에 이상이 있거나 약물의 부작용으...2024.10.21
-
심폐소생술 설문지2024.10.111. 심폐소생술의 필요성과 중요성 1.1. 심정지 환자 발생률 및 생존율 현황 심정지 환자 발생률 및 생존율 현황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119구급대가 2019년 한 해 동안 이송한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30,782건으로, 이는 2008년에 비해 약 1.5배 증가한 수치이다. 이러한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생존율과 뇌기능회복률은 2019년 결과 각각 8.7%, 5.4%에 그쳐 여전히 낮은 편이다. 이는 2006년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지만 아직 생존과 회복이 어려운 실정이다. 지역별로도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일반인...2024.10.11
-
제세동기 적응증2025.04.111. 제세동기의 개요 1.1. 제세동기의 정의 및 목적 제세동기는 치명적인 부정맥 상태인 심실세동 및 심실빈맥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해 정상 심장 리듬을 회복시키는 응급 치료 장치이다. 제세동기의 목적은 심실세동 및 비정상적인 심박동을 정상 리듬으로 전환시키는 데 있다. 강력한 전기 충격은 모든 심근 세포를 동시에 탈분극화시켜 완전한 불응기에 빠뜨린 뒤 가장 우세한 자동조율중추인 SA 노드가 회복되어 정상 리듬을 찾도록 하는 것이다. 제세동은 심장 활동의 비정상적인 양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혈액 순환을 회복시키고 주요 장기에 산...2025.04.11
-
고위험 의료기기2025.05.311. 서론 고위험 의료기기는 환자의 생명유지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중요한 의료기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 의료기기의 체계적인 관리와 안전한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이 보고서에서는 고위험 의료기기의 정의와 함께 이들 의료기기의 예방점검, 안전관리 지침, 주요 기기의 사용 및 관리 방법, 관련 핵심 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위험 의료기기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병원 내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2. 고위험 의료기기의 예방점검 2.1. 의료기기 점검 2.1.1. 예...2025.05.31
-
aha 심폐소생술2025.05.301. 심폐소생술의 개요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역사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resuscitation, CPR)은 미국의 SAFER 재단에서 처음 수행된 방법이다. 1962년 Anne이라는 여성이 처음으로 심폐소생을 받은 대상자였다. 1996년 CPR 학회가 시작된 이래 미국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를 중심으로 지침이 마련되어 왔다. 하지만 1992년 미국과 유럽의 국가가 모여 보다 과학적 근거에 의한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ILOT(International Liaiso...2025.05.30
-
심정지 간호과정 사례보고서2025.07.101. 서론 1.1. 응급, 재난 상황에 대한 관심 응급 및 재난 상황에 대한 관심은 보건의료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은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간호사는 응급상황 발생 시 현장에서 가장 먼저 대응하고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응급, 재난 상황에 대한 관심과 대응 능력은 간호사에게 필수적인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생인 나 또한 응급 및 재난 간호 교과목을 통해 이러한 상황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을 하게 되었고, 실제 사례를 ...2025.07.10
-
심장질환과 급사를 부검을 통해 분석2025.07.171. 서론 심장질환과 급사의 원인을 파악하고 부검을 통해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심장질환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심장성 심정지와 비심장성 심정지로 구분된다. 심장성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은 관상동맥질환이다.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에 의한 급성 심근경색은 급사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또한 심근의 비후를 초래하는 판막질환, 심근질환, 고혈압 환자에서도 부정맥이나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급사가 발생할 수 있다. 비심장성 심정지의 흔한 원인으로는 호흡부전, 외상으로 인한 출혈, 뇌졸중 등의 중추신경계 질환, 대사...202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