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0개
-
하버마스 공론장2024.11.271. 하버마스와 공론장 1.1. 하버마스의 사상과 이론적 전략 하버마스의 사상과 이론적 전략은 다음과 같다. 하버마스는 근대철학 이후의 주체와 대상의 분리라는 이원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주체와 대상을 분리하여 파악하는 것은 잘못되었으며, 주체와 대상은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를 "상호주관성"이라 부르며, 완벽한 주관도 완벽한 객관도 없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버마스는 현대사회가 체계적으로 왜곡되어 있다고 보았다. 관료제나 거대기업에서는 진리가 아닌 명령과 집단의 이익을 위...2024.11.27
-
정의로운 전쟁과 평화주의2024.12.101. 전쟁과 평화 1.1. 전쟁 개념정의 1.1.1. 사전적 의미 전쟁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국가와 국가사이의 무력에 의한 투쟁"이다. 즉, 집단과 집단, 국가와 국가간의 의견 대립으로 인한 무력적 충돌을 의미한다. 이는 전통적으로 내면적 의미에서의 '我와 非我의 대립'으로 볼 수 있다. 전쟁이 발발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결국 한 집단의 목적을 관철시키기 위해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는 데에서 시작된다. 1.1.2. 사회과학적 정의 라이트(Quincy Wright) 교수는 전쟁을 '상당기간 동안 걸친 상당규모의 무장력에 의해 행...2024.12.10
-
철학의이해 고대 그리스 아테네 정치 요약2024.11.261. 서론 철학의이해 교과목에서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정치, 자본주의적 생산, 그리고 소비사회에 대한 반성과 생태적 삶의 실천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단순한 학문적 활동을 넘어서 우리의 실제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정치는 오늘날 민주주의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공동체 문제 해결의 전통은 여전히 현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자본주의적 생산 방식이 초래한 심각한 환경 파괴와 생태계 위기는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대두되고 있...2024.11.26
-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이 현대 문학에 미친 영향2024.08.241. 소개 책 정보 '맥베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1606년에 쓴 희곡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작품은 스코틀랜드의 군사 맥베스가 왕위를 차지하려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작품 초반에는 맥베스가 선량한 군사로 등장하지만, 점차 자신의 욕망에 빠져들면서 갈등과 사건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작가는 인간의 권력 욕망과 타락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셰익스피어의 대표작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작품에서 다루는 주제와 등장인물의 내면 변화, 그리고 풍부한...2024.08.24
-
세속2024.10.121. 세속의 철학자들 1.1. 애덤 스미스 애덤 스미스는 어린 시절부터 공상에 잠기는 버릇이 있었으나 영리한 학생이었다. 17살에 옥스퍼드대학교에 장학생으로 입학했으며, 1759년 "도덕감정론"이라는 책을 출간하여 당시 영국 철학자들 가운데 선도적인 입지를 가지게 되었다. 그는 1776년 "국부론"을 출판하였는데, 이 책에서 그의 시장법칙을 단순하게 설명하였다. 스미스는 시장기능이 망가질 수 없는 이유가 첫째로 사람들로 하여금 자기이익을 사회가 그 대가를 기꺼이 내려 한다면 어떠한 일도 떠맡아 할 수 있기 때문이며, 둘째로 시장...2024.10.12
-
정치의삼각형2025.02.271. 서론 1.1. 정치의 삼각형 소개 정치는 사회적 가치를 구성원들이 합의하고 분배하는 것이다. 정치를 삼각형 구도로 제시하면 철학, 세력, 정책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으로 제시될 수 있다. 어떤 세력이 좋은 사회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아이디어와 관점 등을 자신들의 이익과 결부시켜 이상적인 사회상을 그리는 철학을 형성하게 된다. 이 이상은 어떤 과정을 거치든, 또는 누구의 머리에서 나오든지 여러 다양한 사람들의 공감을 이루어 자신들만의 공통 철학으로서 이를 세력화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들 세력은 정치과...2025.02.27
-
한글운동에 대해서2024.09.081. 한글의 탄생과 발전 1.1. 한글의 창제와 세종대왕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 임금으로, 한글 창제의 주인공이다. 그는 당시 백성들이 한자 문화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안타깝게 여겼다. 그래서 백성들이 제대로 된 자신들의 글자를 가지지 못한 채 소외되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세종은 민중을 위한 새로운 문자를 만들기로 마음먹었다. 세종은 당시 집현전 학자들을 불러 모아 한글 창제 작업에 몰두하였다. 그들은 천지자연의 이치에 근거해 한글 글자 모양을 디자인하였다. 자음과 모음의 구조 및 결합 원리에 이르기까지, 세부적인...2024.09.08
-
대상관계이론 입문 요약본2024.09.081. 서론 동아시아 국가에서도 특히나 선진국, 그리고 세계에 위력을 떨치고 있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이 세 국가는 사실상 항상 서로를 견제하고 또 서로를 잘 알기 위해서 탐색전을 벌이곤 한다. IT기술을 바탕으로 큰 성장을 빨리 이루어낸 대한민국, 차근차근한 성장으로 국가를 키워온 일본, 그리고 막대한 자본과 인구수로 단숨에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을 견제하게 된 중국까지 그야말로 동아시아는 세계에서 그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세 나라로 구성되게 된 것이다. 그중에서도 중국은 앞서 말했듯 막대한 자본으로 기술력과 수출을 바탕으로 세...2024.09.08
-
사피엔스 인지혁명에 대한 반대의견2024.09.081. 서론 1.1.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은 지금까지도 많은 학자들 사이에서 끊임없는 논쟁이 이어져 왔다. 3만~20만 년 전에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폭넓게 분포했던 네안데르탈인은 호모 사피엔스와 매우 유사한 문화적 특성을 나타냈기 때문에, 네안데르탈인을 호모 사피엔스의 아종(亞種)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호모 사피엔스와는 다른 독립된 종으로 볼 것인지를 둘러싸고 오랜 기간 논쟁이 지속되어 왔다. 초기에는 네안데르탈인을 구인(舊人) 단계에 해당하는 별개의 종(種)으로 보고 '호모 네안데르탈엔시스(Homo...2024.09.08
-
자연적권리와평등2024.09.091. 법의 기본 개념 1.1. 법의 어원 및 정의 법의 어원 및 정의는 다음과 같다. 법(法)의 어원은 서양의 경우 라틴어 'lex'에서 비롯된 것으로, 법률(statute)을 의미한다. 동양의 경우 중국어 '法'이 그 뿌리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본래 실제 형벌 집행에 사용되는 "율목(律木)"을 뜻했으나 점차 그것이 실정법을 통칭하게 되었다. 따라서 법은 국가권력에 의해 제정되어 실질적으로 강제력을 가지고 있는 규범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법의 정의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국가권력에 의하여 제정되...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