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정부관 비교2024.10.311.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사상 1.1.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적 배경 1.1.1. 인간 삶의 목적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 삶의 목적을 행복이라고 말한다. 그는 행복을 그 자체로 추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으므로, 물질적 행복 및 당시 그리스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던 명예 등은 타율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고 진정한 행복이 아니라고 보았다. 그가 말하는 진정한 행복은 관조와 중용 같은 비교적 정신적인 것들을 말한다. 이에 따라,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과 지혜를 추구하는 데 있어서 실천지성과 이론지성 모두 필요하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실천...2024.10.31
-
우리나라 사회제도는 노직과 롤스의 정의론 중 어디에 더 가까운가2024.09.211. 정의의 존재와 실현의 차이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최근 한국에서 정의(正義), 사회 양극화 등이 또다시 화두가 된 바 있다. 2011년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2012년에는『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그리고 2014년에는 Thomas Piketty의 『21세기 자본』 역시 선풍을 일으켰다. 이와 같은 사람들의 관심은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정의라는 관념을 결부해 반성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 사회에...2024.09.21
-
리바이어던 독후감2024.12.251. 소개 리바이어던은 토마스 홉스가 저술한 대표적인 정치철학 저서이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1부 '인간에 대하여'와 2부 '코먼웰스에 대하여'를 읽고 이 독후감을 작성하게 되었다. 홉스는 이 책에서 인간의 본성과 자연 상태, 그리고 국가의 형성과 권력 구조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먼저 1부 '인간에 대하여'에서는 인간이 본래 자연 상태에서 평등한 존재로 창조되었지만, 이 자연 상태에서 인간들 간의 경쟁, 자기 확신의 부족, 명성에 대한 욕구 등으로 인해 전쟁 상태에 빠지게 된다는 논지를 ...2024.12.25
-
영국의 Hobbes와 Locke의 사상은 인간의 본성, 사회의 성격, 혼란을 막기 위한 효과적인 정치 형태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2025.04.071. 서론 사회계약론은 정치철학의 근본적인 이론으로, 인간 사회의 정치적 권위와 통치의 정당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답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상이다. 이 이론은 개인들이 자발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정치적 권력과 사회 질서를 창출한다는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17세기 유럽의 정치적, 사회적 혼란 속에서 토마스 홉스와 존 로크와 같은 철학자들은 인간 사회의 질서와 통치의 정당성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을 모색했다. 당시 종교전쟁과 정치적 불안정은 인간 사회의 근본적인 조직 방식에 대한 심도 있는 철학적 성찰을 요구했다. 사...2025.04.07
-
철학하기의 의미 요약 및 윤리적 기준 분석2025.04.081. 서론 인간은 자신의 존재와 의미, 삶의 방향을 끊임없이 탐구하며 질문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물음들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우리가 어떤 가치관을 형성하고 어떻게 행동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사회복지와 같은 윤리적 실천이 중요한 분야에서는 이러한 질문이 더욱 필수적이다. 우리가 어떤 철학적 기반 위에서 인간을 바라보고, 공동체를 조직하며, 사회적 실천을 펼칠 것인가에 따라 복지의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철학하기란 단순히 철학자들의 사상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사고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논리를...2025.04.08